빅테크 '면책특권' 수정되나...미국 법정서 다툰다

[AI요약] 미국 내 두 건의 대법원 소송이 수십년 동안 유지된 인터넷 규칙을 바꿀 수 있을까. 빅테크가 플랫폼에 게시된 콘텐츠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지 않도록 하는 면책특권인 ‘섹션230’의 수정 여부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미국 대법원에서 유튜브·트위터·페이스북 등 빅테크 면책특권 허용 여부에 대한 소송이 시작됐다. (사진=위키피디아)

‘기업은 사용자가 게시한 유해 콘텐츠에 대해 법적 책임을 져야 하는가?’ 이번 소송은 그동안 꾸준하게 제기된 질문에 대한 것이다

22일(현지시간) 더가디언, CNN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과 트위터를 상대로 한 대법원 소송에서 지금까지 빅테크의 콘텐츠에 대한 사실상 면책특권이 바뀔 수 있을 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두 건의 소송 모두 소셜미디어 기업이 알고리즘으로 폭력을 조장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는 테러 공격 피해자 가족이 제기했다.

첫 번째 사건인 구글과 곤잘레스 가족의 소송은 21일 첫 심리를 가졌으며, 이들은 미국 최고법원에서 구글 소유의 동영상 웹사이트인 유튜브가 이슬람 국가 테러 동영상 추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했다.

이번 주중으로 공개될 두 번째 사건은 구글 외에도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포함됐다. 2017년 IS가 자행한 것으로 추정되는 테러 공격의 피해자인 탐네 가족은 소셜미디어가 극단주의 부상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소송은 현지에서 구글, 트위터 같은 빅테크가 플랫폼에서 공유하고 권장하는 콘텐츠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고 보호되는 법령, 사실상 면책특권인 ‘통신품위법 제230조’(Section 230 of the Communications Decency Act, 이하 섹션230)에 대한 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27년된 법령에 대한 개혁 시도인 셈이다.

섹션230은 미국에서 1996년에 통과됐으며 사용자가 게시한 콘텐츠에 대해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등 빅테크가 법적 책임을 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으며, 이에 시민단체들은 해당 법령이 기술 플랫폼에 과도한 검열없이 일련의 정보를 호스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잘못된 표현의 자유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번 소송에서 대법원은 섹션230에 의해 부여된 빅테크의 면책특권 외에도 해당 면책이 ‘정보표적추천’을 하는 플랫폼 적용 여부를 지속해도 되는지에 대한 판결도 촉구받고 있다. 빅테크의 콘텐츠 책임을 묻는 이번 소송에 대한 판결은 크고 작은 모든 플랫폼에서 잠재적인 소송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미국 내 공화당과 민주당의 분위기도 상반된다. 공화당은 플랫폼이 보수적 관점을 억압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플랫폼의 알고리즘이 혐오 발언 및 기타 유해 콘텐츠를 증폭시키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섹션230에 대한 논쟁은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드문 합의를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조차도 “일부 콘텐츠에 대한 기업의 법적 책임 공방은 있을 수 있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일단 구글과 곤잘레스 가족의 소송 심리에서 대법관들은 이번 사건이 불러올 많은 잠재적 소송을 의식한 듯 섹션230에 대한 신중한 어조를 취한 모양새다. 현지 언론은 역사적으로 빅테크에 대해 강경한 비판을 해온 판사들조차 섹션230을 변경하는 것을 주저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보도했다.

대법관들은 플랫폼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테러리즘을 선동했는지 불분명하다고 관측하고 있다. 곤잘레스 가족측 변호인은“ 빅테크에 대한 보호 조치가 너무 광범위하다”는 의문을 제기했지만, 대법원은 “판결하기 전 많은 것들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폴 바렛 뉴욕대학교 스턴경영대학원 기업·인권센터 부국장은 “소셜미디어가 하는 일이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이니만큼, 이번 소송의 결과를 업계 전체가 면밀히 지켜볼 것”이라며 “빅테크를 통제하는 것은 인터넷 자체 시스템을 바꾸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류정민 기자

znryu@daum.net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부터 암호화폐까지 ‘트럼프 2기’ 변화할 핵심 ‘기술 정책’

도널드 트럼프가 백악관으로 복귀하고 공화당이 양원을 장악하면 의심할 여지 없이 기술 분야가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철학과 함께, 규제보다 혁신에 기반한 그의 행정부 정책은 AI, 사이버 보안 및 기타 핵심 기술 정책 분야의 글로벌 역학을 크게 바꾸면서 급속한 기술 발전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킬러 위성이 등장했다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1977)에 등장한 ‘데스스타’(죽음의 별)는 가상의 우주 정거장이자 슈퍼무기다. 이 영화에 영감을 받은 중국 과학자들이 실제로 ‘데스 스타’를 만들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이 무기는 마이크로파 빔을 집중시켜 적의 위성을 쓸어버린다.

[마루에서 만난 사람] 이혜환 메텔 COO “B2B 분야의 마케팅 성과 측정이 가능한 수요 창출 엔진을 만들고 있습니다”

메텔이 무대로 삼는 것은 글로벌 최대 B2B 플랫폼, 링크드인이다. 이들은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해 B2B 고객 발굴에 특화된 콘텐츠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B2B 기업과 그 고객의 페르소나를 분석하고 이를 자동화해 명확한 정체성을 담으면서도 고객의 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콘텐츠 마케팅을 가능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들은 그간 막연히 추정만 가능했던 B2B 마케팅의 성과 측정까지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실리콘밸리 이민법 전문 변호사 주디 장, “트럼프 2.0시대 미국 진출 스타트업 비자 발급 쉽지는 않겠지만...”

트럼프 2.0시대를 앞두고 현지 창업을 준비하는 한국 예비 창업자 혹은 미국 진출이나 플립(FLIP, 본사 해외이전)을 고려하는 한국 스타트업은 다급해지고 있다. 이번 미 대선에서 트럼프 측이 강력한 이민정책으로 이민자를 줄이겠다는 공약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트럼프 집권 1기 당시를 복기했을 때도 확실한 사실 하나는 트럼프 2.0시대에 미국으로 가려는 이민자 혹은 외국인들의 비자 발급이 굉장히 까다로워질 것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