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엽충에게 배웠다… 3cm~1.7km 초점 맞추는 광시야 카메라

미국립표준기술연구원(NIST) 과학자들은 삼엽충 눈에서 영감을 받아 지금까지 증명된 것 중 가장 피사계 심도가 큰 광시야(light field) 카메라를 만들어 시험에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이 카메라 렌즈로부터 3cm에서 1.7km 사이의 모든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유자재로 맞출 수 있었다. (이미지=NIST)

지금까지 등장한 것 가운데 가장 뛰어난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를 가진 카메라(광시야 카메라·light field camera)가 만들어졌다. 미국 과학자들이 렌즈로부터 3cm~1.7km 사이에 있는 피사체의 초점거리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며(피사체 상을 또렷하게 맺히게 하며)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놀라운 광학 카메라 렌즈를 개발했다.

미국립표준기술원(NIST) 연구원들이 개발한 광시야 카메라는 지금까지 기록된 것 가운데 가장 깊은 피사계심도를 가진 카메라다. (*사진촬영 시 초점이 맞은 것으로 인식되는 범위다. 예를 들어, 시야의 심도가 얕으면 피사체가 또렷하게 유지되지만 전경과 배경의 많은 부분이 흐릿해진다)

광시야 카메라의 개발의 배경은 놀랍게도 고대 삼엽충의 눈이었다. 삼엽충은 약 5억년 전에 지구의 바다를 뒤덮었던 생물이며, 오늘날 투구게의 먼 사촌이다.

이들의 시각 시스템은 매우 복잡했는데, 복합 눈을 포함해 수십에서 수천 개의 작은 독립된 단일체들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에 각막, 렌즈, 그리고 광수용체 세포를 가지고 있다. 연구원들은 여기서 영감을 얻었다.

삼엽충의 특이한 눈 구조···가까운 먹잇감·멀리서 오는 포식자 모두 본다

고대 삼엽충 눈 위쪽 수정체의 돌출부는 이 곤충의 눈에 가까운 점과 먼 점에 동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능력을 주었다. (사진=NIST)

특히 삼엽충 가운데 한 종인 달마니티나 소시알리스(Dalmanitina socialis)는 독특한 복합 눈 구조 때문에 NIST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화석 기록 조사에 따르면 이 작은 곤충은 시각계 전반에 걸쳐 이중 층으로 된 렌즈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오늘날의 어떤 절지동물(나비, 가재, 새우, 거미 등이 있다)의 눈과도 차별화된다.

그리고 이 삼엽층 이중 층 렌즈의 위쪽 층 중간에는 두 번째 초점을 만들어내는 돌출부가 있다. 이는 이 삼엽충이 바로 앞에 있는 먹잇감과 더 먼 곳에서 다가오는 적들(포식자들)에게 초점을 맞출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물체가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있다면 상이 흐려져서 분해능과 색상 대비가 나빠진다. 따라서 삼엽충이 이처럼 가까이부터, 멀리서까지 피사계 심도를 자유자재로 잘 조절한다면 생존에 크게 도움이 된다.

삼엽충의 이중 층 눈 구조를 본뜨다

원형 편광과 두 개의 메타렌즈에 의해 결정되는 두 개의 초점거리가 일치하면서 가까운 초점과 먼 초점이 동일한 이미지 평면으로 수렴한다. (사진=NIST)

연구팀은 이같은 삼엽충 눈의 얼개에 기반한 아이디어를 광시야 카메라에 적용해 보고자 했다.

일반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빛을 받아들여 2차원 그리드에 걸쳐 색상 및 휘도 정보를 기록하는 반면, 광시야 카메라는 색과 휘도뿐만 아니라 센서로 들어오는 각 광선의 방향까지 계산하기에 훨씬 더 복잡하다.

그러나 삼엽충의 이중 층 방식으로 전체 광시야가 포착되면 색상, 깊이, 투명도, 특이도, 굴절 및 흡장(occlusionm·그림자를 더해주는 기술) 측면에서 장면을 재구성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사진이 촬영되면 초점, 피사계 심도, 기울기 및 투시 이동과 같은 것들도 조정할 수 있다.

NIST 팀에 따르면 기존 카메라 렌즈는 공간 분해능이나 색상 정보을 잃지 않고 피사계심도를 확장하거나, 또는 조리개를 너무 많이 조이면서 셔터 스피드의 문제를 일으켰다. 이들은 바로 이 부분에서 삼엽충의 이중 층 눈 렌즈 원리를 이용해 문제 해결의 영감을 얻었다.

삼엽충의 눈처럼 보게 되다

재구성 알고리즘은 수차 보정된 일련의 하위 이미지에서 3cm의 오른쪽 상단 NJU 텍스트에서 1.7km의 고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선명한 이미지를 조합할 수 있다. (사진=NIST)

실마리를 찾은 연구원들은 이 놀라운 렌즈 제작에 들어갔다.

이들은 작은 직사각형에 나노 크기의 이산화티타늄 기둥들이 가득 박힌 평평한 유리 표면인 메타렌즈 배열을 설계했다. 이 기둥들은 각각 특정한 방법으로 빛을 조작하기 위해 정확하게 모양을 만들고 방향을 잡았다. 여기서 편광화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노기둥들은 왼쪽 원 편광(LCP) 또는 오른쪽 원 편광(RCP)일 경우 빛을 다른 양만큼 구부린다. 굽힘의 양이 다르면 초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이미 효과적으로 두 개의 초점을 맞췄다.

문제는 이렇게 만들어진 단일 센서가 이 초점들 중 하나에서만 초점을 맞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가깝게도 멀게도 초점을 맞추는 삼엽충의 이중 층 눈의 기능을 따라잡을 방법이 필요했다.

그래서 연구원들은 각각의 나노 기둥 메타렌즈를 배치해 각 렌즈에 들어가는 빛 중 일부는 직사각형의 긴 면을 통과하고, 일부는 더 짧은 경로를 통과하도록 했다.

이것이 빛을 두 개의 다른 양만큼 구부려 두 개의 다른 초점들을 만들었다. 하나는 매크로(접사) 렌즈처럼 가까이 초점을 맞추고, 다른 하나는 망원 렌즈처럼 먼 거리에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연구원들은 이것과 편광 사이에서 네 개의 이미지를 확보했다.

연구원들은 이어 망원 초점 광선빔의 왼쪽 원 편광판(LCP)이 매크로 초점 광선빔의 오른쪽 원 편광판(RCP)과 정확히 같은 평면에 초점을 맞추게 하는 정확한 메타렌즈 기하학을 알아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이는 그들이 단일 광시야 센서로 어떤 공간 해상도도 잃지 않고 또렷한 초점 안에서 이 두 가지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게 해 주었다.

근초점 3cm, 원초점 1.7km에 설정된 성공적 39⨯39 메타렌즈 성공

인공지능 훈련방식으로 사용되는 합성곱신경망(CNN)은 렌즈 배열의 이상을 보정하도록 빠르게 훈련되며, 그 후 매우 가변적인 피사계심도로 완전히 또렷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일련의 수차(收差)보정된 서브 이미지를 이용했다. (사진=NIST)

연구팀은 39⨯39 메타렌즈 어레이를 설계하고 제작했는데, 근초점은 3cm에, 원초점은 1.7km에 설정됐다.

이들은 나노미터급의 정밀성을 요하는 렌즈 제작에서 가장 어려운 엄격한 제조공차(오차허용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 과정에 인공지능(AI) 훈련법을 사용했다.

즉, 1521개의 작은 이중 목적 메타렌즈에 의해 발생하는 많은 이상(aberrations)들을 교정하기 위해 다중 축척(multi-scale) 컨볼루션 신경망(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을 이용한 재구성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코드화했다. (*CNN은 인공신경망에 필터링 기법을 적용해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심층 신경망 기법이며, 행렬로 표현된 필터의 각 요소가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도록 자동 학습 과정을 통해 이미지를 분류하는 기법이다.)

간단한 보정 프로세스와 교육 세션 후에, 이 렌즈는 색 수차, 흐릿함, 그리고 다른 광학 결함의 관점에서, 특정 메타렌즈 어레이가 어디에서 어떻게 (완벽성에서) 이탈하는지 정확히 알아낼 수 있고, 어떤 촬영된 이미지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수정을 할 수 있게 됐다.

게다가 그것의 두 초점은 1.6km 이상 떨어져 있지만, 재구성 알고리즘은 그들 사이에 놓여진 어떤 대상도 또렷하게 재구성한다. 이는 지금까지 보여진 그 어느 이미지보다도 깊는 시야계 심도를 갖는 최종 이미지를 만든다. 여기서 렌즈로부터 1.5인치 떨어져 있는 물체들은 초자연적으로 선명하고 또렷하다.

실제로 이 재구성 알고리즘은 오류 수정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기에 연구팀은 이 기술을 사용하는 광시야 카메라가 극단적으로 정밀하게 제작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즉, 이 방식이 고성능임에도 제작을 비교적 용이하게 해 줄 것이란 게 연구팀의 생각이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된 연구 논문은 놈내용은 “생체에서 영감을 받은 이 나노광(nanophotonic) 광시야 카메라는 컴퓨팅 후처리와 함께 최고의 피사계심도(DoF)를 가진 풀컬러 이미징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타 광학에 의해 유도되는 광학적 이상도 제거할 수 있다”고 요약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소비자 사진 촬영, 광학 현미경 검사, 머신 비전 등의 분야에서 유용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상당히 새로운 연구이기 때문에 출시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내용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4월 19일자에 공개됐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쿤텍-고려대,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서비스 안정성 강화 지원

DX 융합보안 전문기업 쿤텍은 과기정통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사이버 레질리언스 중심의 핵심 보안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인터뷰] 백명현 스테이지랩스 대표 “아티스트와 팬을 연결하는 양방향 라이브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 백명현 대표가 창업한 스테이지랩스는 K-팝 디지털 포토카드 플랫폼 ‘tin(틴)’을 비롯해 CJ ENM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탄생한 글로벌 K-팝 컬쳐 플랫폼 ‘엠넷플러스’, 최근 론칭한 ‘링크(liNC)라는 삼각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그렇게 확보한 글로벌 이용자 수가 무려 1200만명에 이른다. 특히 자체 개발 플랫폼 ‘링크(LiNC)의 경우 이용자의 84%, 누적 매출의 95%가 글로벌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다. 갖 론칭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놀라운 지표가 아닐 수 없다.

트럼프 2기 행정부, AI규제 완화한다는데... AI 산업계 어떻게 달라질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으로 미국의 AI 정책이 큰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AI 혁신과 국가안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바이든 행정부의 AI 규제를 대폭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AI챗봇, 온라인 데이트를 완전히 바꾼다

데이트 기업들이 AI 기술을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연결하고 만나는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올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기업들은 사용자를 위한 AI 코칭을 통해 보다 개인화된 매칭 결과를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AI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용하고 더욱 잘 이해하는 스마트한 알고리즘을 제공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