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챠가 일본으로 간 이유는?

토종 OTT 왓챠가 일본 시장에 진출한다. 

지난 16일 국내 OTT 서비스인 왓챠(WATCHA)는 16일 일본 전역에서 서비스를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왓챠는 2012년 영화 평가 및 추천 서비스 ‘왓챠피디아(구 왓챠)’로 출발한 기업으로,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인 넷플릭스와 경쟁하며 연평균 191%의 매출 증가율로 빠르게 성장했다. 

현재 570만건 이상의 앱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고, 8만편 가량의 영화·드라마·다큐멘터리·예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왓챠의 일본 시장 공략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정된 국내 시장을 여러 기업이 땅따먹기해서는 성과가 없다고 판단한 것. 왓챠는 일본에서도 국내와 마찬가지로 일본에도 100% 구독형 월정액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며, 월 요금 베이직 790엔 프리미엄 1200엔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박태훈 왓챠 대표는 “일본 서비스 출시는 왓챠가 글로벌 OTT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첫걸음이다”고 말했다.

점유율로만 보면 왓챠는 국내에서도 넷플릭스와 웨이브 등에 밀렸다. 물론 왓챠가 영화, 드라마 콘텐츠에 강점을 가지고 있고, 국내 OTT는 방송 등에 치중됐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규모의 차이가 크다.

 

 

데이터와 ‘K’ 내세워 승부한다면 승산 있어

왓챠는 일본은 다르다고 판단했다. 데이터가 그렇지 않다는 것. 왓챠는 일본에서 2800만개의 데이터를 확보해, 일본 고객층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게다가 실질적인 점유율은 다르다고 봤다.

일본 시장은 넷플릭스, 아마존프라임, 훌루, 유넥스트 등 글로벌, 현지 OTT가 경쟁하고 있지만 최근 일본에 진출한 디즈니플러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10%의 점유율로 독주하는 플랫폼은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OTT 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워낙 커서 차별점만 있다면 꾸준히 수익 창출할 수 시장"이라며, “국내 콘텐츠를 일본에서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K’로 상징되는 영화와 드라마 팬을 잡는다면 승산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일본 OTT 시장의 상황은 그리 녹록치 않다. 우선 국내와 마찬가지로 강한 경쟁 상태가 즐비하다. 임프레스 종합 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유료 OTT 시장 1위는 아마존 프라임비디오로 67.9%, 넷플릭스가 약 19.5%를 차지하고 있다.

 

 

 

유다정 기자

yoodj92@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온라인 플랫폼 규제 논의 신중하게 접근해야…중요한 것은 ‘소비자 후생’과 ‘혁신 보호’

최근 논란이 재점화 된 플랫폼 규제 입법과 관련해 각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섣부른 규제 도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지만 한편으로 플랫폼의 관행적인 영업 방식에 따른 폐해를 단속할 규제 도입에 대한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다. 최근 ‘플랫폼 규제 공정성 그리고 디지털 신보호주의, 쟁점 및 진단’을 주제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가 주관해 국회에서 진행된 세미나에서는 이렇듯 복잡다단한 플랫폼 규제에 대해 주목할 만한 의견들이 나왔다.

‘AI 예방?’ 미국이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는 법

전기자동차가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되면서, 이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사고는 배터리 안전에 대한 경각심과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그렇다면 전기차를 소유하는 것이 잠재적인 화재사고를 안고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기후테크 스타트업, 지역에서 발견하는 기회와 가능성은?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대한 후속 조치로 지난 5월 전국 17개 광역지자체가 같은 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제1차 시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제출했다. 이에 전북특별자치도와 제주도, 울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테크 사업 현황을 알아봤다.

한국 찾은 알렉스 블라니아 TFH CEO, 월드코인과 월드체인 확장 통한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 비전 소개

알렉스 블라니아 TFH CEO 겸 공동창업자는 “월드코인은 인류 대다수가 소유하는 글로벌 신원 및 금융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며 “월드코인의 핵심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신원 증명 프로토콜인 월드ID”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