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클린, 업계 최초 ‘재생 면화’ GR인증 대상품목 지정

GR인증 재생면사로 제작된 고급 타올 ‘리[Re;]타올’. (사진=제클린)

기후테크 스타트업 제클린은 자사가 개발한 ‘재생 면화(recycled cotton)’가 업계 최초로 우수재활용제품(Good Recycled Product, 이하 GR)인증 대상품목으로 지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운영하는 GR인증은 품질 및 환경성이 우수한 재활용제품에 특화된 법정인증제도로,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녹색제품으로 공공기관 의무구매 및 조달 가점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되고 있다.

제클린에 따르면 ‘재생 면사’의 GR인증 대상품목 지정은 업체 첫 사례다.

제클린 측은 “다시 원료로 만들거나 재활용이 어려운 기존 선형 재활용 모델과 달리 소비자가 사용한 이후 제품을 지속적으로 재활용해 제품화하는 면화기반 순환형 재활용 모델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얻었다”며 “특히 섬유 산업이 유발하는 심각한 환경문제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흐름 속에 기존 유리병이나 종이팩, 알루미늄 캔 등을 위주로 진행되어오던 순환형 재활용 모델을 섬유 원료영역으로 확대, 새로운 환경가치 창출에 나서기로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강조했다.

면화기반의 재생 원사로 가공해 만든 제클린의 면100% 기반 재생 고급타월 ‘리[Re;]타올’은 지난 해 소비자가 직접 뽑은 ‘2023년 대한민국 올해의 녹색상품’에 선정되며 이미 우수한 환경성은 물론 높은 상품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또한 제주관광공사 주관 J-스타트업 6기에 선정되어 제주도내 관광 사업자 및 호텔과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2018년 설립된 제클린은 B2B 섬유 제품의 친환경 케아, 재생, 공급, 인증을 SaaS 기반으로지원하는 기후테크 스타트업이다. 한 해 제주도 내 버려지는 숙박용 침구 및 의류 폐기물의 99%인 6600여 톤이 소각되는 환경 문제에 주목하고 이를 면화기반의 섬유류 및 원료, 원사, 원단으로 재생하는 업사이클링 솔루션을 통해 면화 기반의 Closed Loop 구축, 친환경 재생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차승수 제클린 대표는 “이번 GR인증 대상품목 지정은 친환경 상품들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기울여 온 노력과 혁신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앞으로 GR인증 평가기관인 한국자원순환산업인증원과 함께 ‘재생면화’ 제품의 품질인증기준을 표준화해, 섬유 재생 생태계 구축 및 확대에 힘쓰며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친환경 재생 상품 개발을 통해 새로운 환경 가치 창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업템포글로벌 VSS 얼라이언스 1기 모집

비즈니스 현지화 전문기업인 ‘업템포글로벌’은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Venture Synergy Studio (VSS) 얼라이언스 1기를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이는 베트남에 진출하고자...

태블릿 학습 앱 오르조, 대화로 학생 맞춤형 문제풀이 돕는 ‘오르조 AI 코치’ 출시

에듀테크 기업 슬링은 자사가 운영하는 중·고등학생 대상 태블릿 학습 앱 오르조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으로 학생 맞춤형 문제풀이 해설을 지원하는 대화형...

SBVA, AI 기반 검색 엔진 유닷컴(You.com)에 투자

SBVA(에스비브이에이)는 인공지능(AI) 기반 검색 플랫폼인 유닷컴(You.com)의 미화 4600만달러(약 617억원) 규모 시리즈 B투자에 참여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 투자에는 캐나다 벤처캐피털...

온라인 플랫폼 규제 논의 신중하게 접근해야…중요한 것은 ‘소비자 후생’과 ‘혁신 보호’

최근 논란이 재점화 된 플랫폼 규제 입법과 관련해 각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섣부른 규제 도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지만 한편으로 플랫폼의 관행적인 영업 방식에 따른 폐해를 단속할 규제 도입에 대한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다. 최근 ‘플랫폼 규제 공정성 그리고 디지털 신보호주의, 쟁점 및 진단’을 주제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가 주관해 국회에서 진행된 세미나에서는 이렇듯 복잡다단한 플랫폼 규제에 대해 주목할 만한 의견들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