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자체 플랫폼 출시로 NFT 시장 주도권 경쟁 점화

[AI요약]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이른바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 간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NFT 플랫폼과 콘텐츠 개발에 나서는 이유는 돈이 되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댑레이더에 따르면 NFT 판매액은 지난해 2분기 25억달러(한화 약 2조 9887억원)에서 4분기 230억달러(27조 4965억원)로 9배 이상 성장했다.

NFT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미지: 픽사베이)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이른바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 간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해 복제·위변조를 막고 소유권의 판매 및 구매 이력 등이 모두 남는 가상 토큰이다.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NFT 플랫폼과 콘텐츠 개발에 나서는 이유는 돈이 되기 때문이다. NFT 시장의 가능성과 함께 판매 수수료가 5~20%로, 가상화폐 거래 수수료인 0.05~0.25%보다 훨씬 높은 점도 이유 중 하나다.

시장조사업체 댑레이더에 따르면 NFT 판매액은 지난해 2분기 25억달러(한화 약 2조 9887억원)에서 4분기 230억달러(27조 4965억원)로 9배 이상 성장했다.

세계 NFT 시장 점유율이 80%에 이르는 NFT 거래소 오픈씨의 지난달 거래액은 58억 달러(약 7조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투자은행 제프리는 2025년 NFT 시장 규모가 현재의 두 배 수준인 800억달러(약 96조원)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NFT 규모 폭발적 증가세, 매력적인 시장으로 급부상

가장 먼저 NFT 거래소를 오픈한 코빗은 ‘NFT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고도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는 글로벌 NFT 거래소 오픈씨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빌려 사용 중이지만, 상반기 중 자체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지난해 11월 출시한 ‘업비트 NFT 베타’의 결제 방식을 개선할 예정이다. 다음 달 11일부터 원화와 비트코인뿐 아니라 글로벌 NFT 시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더리움 거래도 허용한다.

블록체인 기술과 메타버스, 카드 등이 결합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BC카드와 업무 협약도 맺었다. 향후 두나무 BC카드로 특정 상품을 구입하면 해당 상품을 두나무 메타버스 플랫폼인 ‘세컨블록’에 NFT로 구현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나아가 하이브 엔터테인먼트와 미국에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미국 NFT 거래소 설립을 비롯한 다양한 해외 사업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관계사를 통해 NFT 사업에 간접적으로 참여해온 빗썸은 LG CNS와 협력해 NFT 거래소를 개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2월 말에서 3월 초쯤 NFT 거래소를 론칭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빗썸은 관계사인 버킷스튜디오와 메타버스·NFT·블록체인·라이브커머스를 결합한 ‘빗썸라이브’를 설립했다. 이를 통해 NFT와 메타버스 등 가상자산 결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코인원은 국내 최초 NFT 분할 투자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다. 분할 투자 플랫폼은 여러 사람이 한 NFT에 공동 투자해 리스크를 줄이는 모델이다. 또한 명품 시계나 와인, 부동산 현물 소유권도 NFT로 거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라인프렌즈, 카카오 등 IT·게임 업체들도 NFT 시장에 가세

국내외 대기업과 국내 정보기술(IT)·게임 업체들도 NFT 플랫폼 구축에 적극적이다.

두산그룹의 IT서비스를 총괄하는 계열사 두산 디지털이노베이션은 자체 NFT 플랫폼인 ‘두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프로야구 두산베어스 선수들의 사진과 경기영상을 활용한 NFT 상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카카오는 계열사 그라운드X를 통해 지난해 12월 NFT 거래소 ‘클립 드롭스’를 내놓았다. 라인도 올해 일본 엔화를 통한 거래를 지원하는 ‘라인 NFT’를 선보일 계획이다.

IPX로 사명을 바꾼 라인프렌즈 (이미지: 라인프렌즈)

라인프렌즈는 사명을 IPX로 바꾸고 최근 IP 생성 플랫폼 ‘프렌즈(FRENZ)’를 출시했다. 이용자가 직접 자신의 취향에 맞는 캐릭터를 만들고 IP화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향후 메타버스, NFT 서비스와 연계할 계획으로 NFT 거래소도 준비 중이다.

위메이드는 게임 콘텐츠와 연동된 NFT 거래소를 이미 운영 중이며,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컴투스홀딩스 등 게임사들도 NFT 거래소 구축에 나섰다.

다만 해외 거래소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NFT로 발행할 수 있지만, 국내 거래소에서 NFT를 발행하려면 창작자 인증 등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벌어진 오픈씨(OpenSea) 피싱 공격 사건과 센트(CENT)의 NFT 표절 등도 국내 거래소들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다.

조인숙 기자

aloh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부터 암호화폐까지 ‘트럼프 2기’ 변화할 핵심 ‘기술 정책’

도널드 트럼프가 백악관으로 복귀하고 공화당이 양원을 장악하면 의심할 여지 없이 기술 분야가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철학과 함께, 규제보다 혁신에 기반한 그의 행정부 정책은 AI, 사이버 보안 및 기타 핵심 기술 정책 분야의 글로벌 역학을 크게 바꾸면서 급속한 기술 발전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킬러 위성이 등장했다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1977)에 등장한 ‘데스스타’(죽음의 별)는 가상의 우주 정거장이자 슈퍼무기다. 이 영화에 영감을 받은 중국 과학자들이 실제로 ‘데스 스타’를 만들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이 무기는 마이크로파 빔을 집중시켜 적의 위성을 쓸어버린다.

[마루에서 만난 사람] 이혜환 메텔 COO “B2B 분야의 마케팅 성과 측정이 가능한 수요 창출 엔진을 만들고 있습니다”

메텔이 무대로 삼는 것은 글로벌 최대 B2B 플랫폼, 링크드인이다. 이들은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해 B2B 고객 발굴에 특화된 콘텐츠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B2B 기업과 그 고객의 페르소나를 분석하고 이를 자동화해 명확한 정체성을 담으면서도 고객의 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콘텐츠 마케팅을 가능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들은 그간 막연히 추정만 가능했던 B2B 마케팅의 성과 측정까지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실리콘밸리 이민법 전문 변호사 주디 장, “트럼프 2.0시대 미국 진출 스타트업 비자 발급 쉽지는 않겠지만...”

트럼프 2.0시대를 앞두고 현지 창업을 준비하는 한국 예비 창업자 혹은 미국 진출이나 플립(FLIP, 본사 해외이전)을 고려하는 한국 스타트업은 다급해지고 있다. 이번 미 대선에서 트럼프 측이 강력한 이민정책으로 이민자를 줄이겠다는 공약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트럼프 집권 1기 당시를 복기했을 때도 확실한 사실 하나는 트럼프 2.0시대에 미국으로 가려는 이민자 혹은 외국인들의 비자 발급이 굉장히 까다로워질 것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