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21 신상 효과...삼성 '모바일' 1Q 영업익 날았다

삼성전자가 2021년 1분기 실적에서 9조3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어닝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이 중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부문의 영업이익 예상치가 4조원을 훌쩍 넘어, 갤럭시S21 신제품 효과를 톡톡히 봤다.

삼성전자는 7일 공시를 통해, 1분기 매출은 65조원으로 전년 동기 55조 3300억원 보다 17.48%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조 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6조 4500억원 보다 44.1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전했다. 

특히 증권가에서는 IM부문의 영업이익 추정치가 4조 1590억~4조 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2조 6500억원으로 57% 가량 증가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위기돌파 및 경쟁사 신제품 출시 등을 의식, 예년에 비해 조기 출시한 프리미엄폰 갤럭시S21의 판매 호조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출하량은 약 7600만대로 전년 동기 6440만대 보다 늘었다. 이 기간 갤럭시S21은 1000만대 이상의 출하량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갤럭시S21 시리즈
삼성전자 갤럭시S21 시리즈

또 스마트폰 외에도 갤럭시버즈(무선이어폰)과 스마트워치, 태블릿의 판매량도 동반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갤럭시버즈의 경우 스마트폰에 비해 마진율이 높은데, 판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실적 호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1분기 태블릿 PC 출하량이 800만대 수준으로, 전년 동기 500만대 보다 증가한 것으로 전망한다. 

삼성전자의 IM부분은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와 더불어, 평균판매가격 상승으로 매출액이 증가했고, 비용 개선과 제품믹스(기업이 생산하는 모든 제품의 배합) 개선에 따라 수익성이 향상됐다. 이에 따라 IM부문 영업이익률도 13.5%로 전년 동기 10.2% 대비 개선됐다고 증권가는 내다보고 있다. 

다만 2분기 영업이익은 제품믹스의 악화(신제품 출시 부재 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예상돼 1분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2조원 중후반대다.

한편, 반도체는 2월 미국 텍사스 한파에 따른 오스틴 공장 가동 중단으로 기대 이하의 실적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자동차 업계에 직면한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스마트폰과 컴퓨터 분야까지 확대돼 완제품 생산 차질에 따른 악재까지 겹쳤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의 영업이익은 3조원대 중후반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가량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팀뷰어가 전망하는 2025년 인공지능 발전 방향은?

이번 전망과 관련해 팀뷰어 측은 “AI가 주도하는 변화는 초기 징후를 보고 있지만 진정한 변화는 AI 기능들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될 때 일어날 것”이라며 AI가 기술 지원을 위한 30초짜리 튜토리얼 비디오를 생성한다거나 교육을 위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등의 방식을 언급했다.  

딥엘이 전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의 시대가 온다”

딥엘의 주요 임원들은 내년에 AI가 단순한 툴을 넘어 협업하는 동료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며,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띤 맞춤형 AI 솔루션이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부터 딥엘 전문가들이 전하는 예측하는 2025년 AI 트렌드를 살펴본다.

아하 커뮤니티 앱 토론 결과, 윤석열 대통령 하야·탄핵 81% 찬성

윤석열 대통령의 향후 거취를 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1주일 간 뜨거운 토론이 벌어져 관심을...

유튜브, 4,600만 사용자로 국내 모바일 앱 1위…AI·가상화폐 앱 급성장

유튜브가 2024년 하반기 국내 최다 이용 모바일 앱으로 집계됐다. 전체 순위를 보면 카카오톡(4,539만 명), 네이버(4,341만 명), 크롬(3,741만 명), 구글(3,682만 명)이 2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쿠팡(3천160만명), 네이버지도(2천626만명), 삼성인터넷(2천268만명), 인스타그램(2천262만명), 배달의민족(2천166만명) 등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