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요약]
제주시는 도내 편의점과 주유소, 버스정류장을 스마트 허브를 생활 밀착형과 지역 거점형으로 구축하고, 이를 친환경 모빌리티를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e-3da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다. 본 사업에서는 주유소 전환형, 생활관광 밀착형, 마을 타운 연계형으로 나눠 구축될 예정이며, 제주 스마트 허브 이러한 스마트 허브의 확장은 친환경 모빌리티로의 변화를 예고한다. 제주도 내 전기차 비중은 5.4%로, 전국 1위가 전기차 비율에 이른다. 이용 가능한 모빌리티 인프라만 갖춰진다면 전기차 수량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가 공유 기반 친환경 모빌리티 인프라를 섬 전역으로 확장한다.
제주도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본 사업 대상지로, 오는 2023년까지 220억원을 투입해 인프라를 새롭게 구축한다. 테마는 '시민주도형 스마트허브 기반 'e-3DA' 미래 생활 도시'다. 여기 3D는 '탄소 중립(DeCarbon)', '공유경제(DeStruction)', '분산형(DeCentralization Actor)'를 의미한다.
제주시는 도내 편의점과 주유소, 버스정류장을 스마트 허브를 생활 밀착형과 지역 거점형으로 구축하고, 이를 전기차,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친환경 모빌리티를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e-3DA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다.
차량 대수 줄이면서, 이동 편의성 높일 방법은 '공유 모빌리티'
스마트허브와 e-3DA 플랫폼 구축을 통해 제주도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명확하다.
바로 교통 문제와 친환경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제주도 내 매년 약 4300건에 달하는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인구 10만명당 649.1건 수준으로, 전국 평균인 422.2건 보다 1.5배 높다.
게다가 자동차 보유 비율도 전국 기준 2배 높다. 제주도 세대당 보유 차량 대수는 2.05대다. 이 때문에 공항 등 도심 지역의 교통 체증이 높고 주차난이 심각하다.
또 렌터카 이용자의 교통사고 비율도 높다. 제주 지역 교통사고의 10% 이상으로, 전국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중 렌터카 비율보다 3배 높은 수치다.
전체 교통사고의 90%가 운전자의 운전 미숙 및 부주의 운전 등 사람 요인을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제주도는 절대적인 주행 차량의 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모빌리티 사용성을 높여야 한다.
제주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 모빌리티와 스마트허브로 제주도 내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주행 차량을 유지 혹은 감소시키려는 의도다.
제주시는 2020년 스마트 허브 구축 예비 사업을 통해 실증은 진행했다. 제주는 GS칼텍스 혁신도시주유소 등 4곳에서 전기차 17대, 전동 킥보드 등 퍼스널 모빌리티 50대, EV충전소 6대를 운용해 사용 수요를 검증한 바 있다.
본 사업에서는 주유소 전환형, 생활관광 밀착형, 마을 타운 연계형으로 나눠 거점에 맞춰 구축될 예정이다.
이러한 스마트 허브의 확장은 친환경 모빌리티로의 변화를 예고한다.
제주도 내 전기차 비중은 5.4%로, 전국 1위다. 0.5%에 불과한 전국의 전기차 비율에 10배에 달한다.
인천글로벌캠퍼스 스탠포드대 연구센터(SCIGC)에 따르면, 현재 제주도 내 약 190개 주유소는 2030년까지 80% 이상 전기차 충전소 혹은 수소차 충전소로 바뀔 예정이다. 이용 가능한 모빌리티 인프라만 갖춰진다면 전기차 수량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빌리티 관계자는 "제주는 이미 4대 중 1대가 렌터카가 다니고 있다"며, "공유에 대한 인식은 자리 잡은 상태이니 인프라만 구축된다면 코로나 이후 관광 증가로 발생할 교통 문제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스마트시티 제주에서 구현될 모빌리티는 어떤 모습일까요?
'제주 스마트 모빌리티 2021'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