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에 생성형 AI 제공

구글 클라우드는 삼성전자와 다년간의 신규 파트너십을 발표하고 전 세계 삼성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기술을 제공한다고 18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개최된 ‘갤럭시 언팩 2024(Galaxy Unpacked 2024)’ 행사에서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를 공개하며,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중 최초로 클라우드를 통해 자사 스마트폰 기기에 구글 클라우드 버텍스 AI(Vertex AI)의 제미나이 프로(Gemini Pro)와 이마젠 2(Imagen 2)를 탑재하게 된다고 밝혔다.

윤장현 삼성전자 MX사업부 소프트웨어 담당 부사장은 “구글과 삼성은 모든 사람이 기술을 더 유용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오랫동안 공감해 왔다”며 “갤럭시 S24 시리즈가 스마트폰 최초로 버텍스 AI의 제미나이 프로와 이마젠 2를 탑재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부사장은 “구글 클라우드와 삼성은 수개월에 걸친 엄격한 테스트와 경쟁 평가를 통해 갤럭시에서 제미나이 기반 최고의 AI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고 덧붙였다.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

삼성은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중 최초로 소비자에게 버텍스 AI 기반의 제미나이 프로를 제공하게 된다. 개발 초기부터 멀티모달(multimodal)로 구축된 제미나이는 텍스트, 코드,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일반화하고, 원활하게 이해하며, 활용 및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삼성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해 삼성 노트, 음성 녹음, 키보드 에서 요약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보안, 안전, 정보보호, 데이터 규제 준수 등 구글 클라우드의 핵심 기능이 버텍스 AI의 제미나이 프로를 통해 삼성 제품에 제공된다.

이외에도 갤럭시 S24 시리즈 사용자는 구글 딥마인드의 최신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인 이마젠 2를 바로 경험할 수 있다. 버텍스 AI의 이마젠 2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직관적인 사진 편집 기능이 제공되며, S24 갤러리 앱의 생성형 편집  기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삼성은 제미나이 울트라(Gemini Ultra)를 테스트하는 최초 고객사 중 한곳으로 참여한다. 제미나이 울트라는 가장 강력한 성능을 지닌 구글의 대규모 모델로, 고도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24 시리즈에는 안드로이드 14 운영 체제의 일부로 온디바이스(on-device)용 거대 언어 모델(LLM)인 제미나이 나노(Gemini Nano) 또한 사용될 예정이다. 제미나이 나노는 온디바이스 작업에 가장 효율적인 제미나이 모델이다.

토마스 쿠리안(Thomas Kurian) 구글 클라우드 CEO는 “구글 클라우드는 삼성과 함께 생성형 AI가 수많은 사람들을 연결하고 소통을 강화하며, 의미 있는 모바일 경험을 창출할 것으로 굉장히 기대하고 있다”며 “삼성의 개발자들은 제미나이를 통해 구글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와 최첨단 성능 및 유연성을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삼성 스마트폰 기기에서 안전하고 신뢰도 높은, 매력적인 생성형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크래용 정래준 대표, 이선영 부대표 “폐원단으로 고부가가치 인테리어 자재를 만들었습니다”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차별적인 디자인의 인테리어 자재를 만들 수 없을까?’ 크래용 팀의 새로운 시도는 이와 같은 질문으로 시작됐다. 그리고 이들은 단기간에 특별한 소재를 개발하고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시중에 존재하지 않은 커스터마이징된 디자인을 탑재한 인테리어 자재를 선보였다. 크래용 팀이 선택한 소재는 다름 아닌 폐기되는 의류 원단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양자 컴퓨팅 상용화 이정표 세우나…‘마요라나 1’ 공개

손바닥 크기의 마요라나 1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토폴로지 코어(Topological Cor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양자 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Qubit)를 단일 프로세서에 100만 개 이상 집적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졌으며, 오류 저항성을 하드웨어에 갖춘 내결함성 구조(fault-tolerant)로 더욱 안정적인 양자 연산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방식으로 큐비트를 제어할 수 있어 신뢰성을 높였다.

메디웨일, 망막AI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조기 예측 가능성 확인…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메디웨일은 망막 이미지에서 측정한 생체 나이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한 연구를 발표했다고 18일...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대로 로봇팔 조작해 글씨 썼다

미국 뉴럴링크(Neuralink)사가 사지마비 환자에게 자사의 무선 뇌 임플란트 칩(N1)을 이식한 후 생각만으로 마킹펜을 쥔 로봇 팔을 조종해 화이트보드에 ‘Convoy’(‘호송’이라는 뜻)라는 글자를 쓰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