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방식을 닮아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Roam Research

 

일하는 사람에게 디지털 기기는 필수품입니다. 그 안에는 업무를 위한 SW가 있죠. 일을 조금이라도 더 일을 잘 해내기 위해서요.

문서나 PT 작성은 HWP나 파워포인트, 숫자를 다루신다면 엑셀을, 개발자라면 젯브레인, 기획자는 스케치(Sketch), 디자이너라면 포토샵, 그리고 이를 연동하는 제플린 등 이외에도 수많은 SW가 있습니다.

궁금합니다. 당신은 일을 해내기 위해 어떤 SW를 어떻게 쓰시나요?

저는 기자입니다. 

글 쓰는 게 매일의 작업이다 보니, 언제나 글쓰기 가장 좋은 디지털 환경을 찾아 왔습니다.

장인이 망치 탓할까 싶지만, 장인에게도 좋은 망치를 찾아가는 시행착오는 있었을 테니까요.

제가 업무 툴로 선택하고 사용 중인 SW는 'Roam Research(이하 Roam)'입니다.

(출처: Roam Research)
(출처: Roam Research)

 

아이디어의 확장이 어려운 카테고리식 글쓰기

대부분의 문서 작성 SW는 카테고리에 따라 문서의 소속을 지정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구조는 벽이 되어 아이디어를 파편화시킵니다. 

예를 들어, 이세돌과 AI에 관련된 글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글의 상위 폴더는 어떤 것일까요?  'AI'일까요? '이세돌'일까요? 아니면 그것도 아니라면 오늘 날짜인 '3월 11일'일까요?

물론 쉽게 적고자 어떤 기준을 설정하지만, 그 기준이 오히려 벽이 되어 생각의 확장을 방해합니다. 

독립적으로 작은 파편으로 존재할 뿐, 연결된 큰 덩어리는 만들어내지 못하죠. 

또 데이터의 양이 늘어날수록 연결은 어려워지고요. 

저 역시 같은 고민을 했습니다. 기사를 쓰고 저장해두어도 결국 뇌에서 기억해내지 못하면 없는 글이 되어버리니까요.

문서함에 1,000개의 글이 쌓여도 단지 저장됐을 뿐, 1,001번째는 새로 작성하는 꼴입니다.

그리고 이는 결국 아이디어의 고갈로 이어집니다. 

네트워크화된 생각을 실제화한다

이런 그런 고민을 하다가 Roam을 알게 되었습니다.

글쓰기의 일이란 뇌 안의 글을 실제로 불러내는 작업입니다.

Roam은 여기에 '네트워크화된 생각'이라는 개념을 차용합니다. 

이미 뇌 속에 생각과 생각은 모두 연결돼 있으니, 이를 그대로 잘 옮길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이죠.

이미 우리의 생각은 자신도 모르게 네트워크화가 된 상태입니다. 그래서 뇌 안의 생각을 잘 꺼낼 수 있느냐가 일이 잘되느냐의 관건입니다.

그래서 Roam은 우리 뇌가 여러 아이디어에서 관련성 있는 주제들을 양방향으로 연결해내듯, 글과 글이 연결되도록 설계했습니다.

무엇보다 폴더 방식의 분류나 위계가 없기 때문에 유연한 사고가 가능합니다. 

이세돌에서도 AI과 기계학습을 불러오고, 반대로도 가능해지는 것이죠. 뇌에서가 아니라 Roam 안에서도요.

그래프 오버뷰(Graph overview) 기능을 통해 이를 시각화해서 볼 수도 있습니다.

(출처: NESS LABS, Roam Research)
(출처: NESS LABS, Roam Research)

물론 기대했던 연결과 확장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벽도 존재합니다. 

우리의 뇌가 아이디어를 위해 학습했듯, Roam 역시 연결 가능한 글(아이디어)이 필요합니다.

초기 메뉴도 데일리 노트(Daily notes), 그래프 뷰(Graph overview), 모든 페이지(All pages) 뿐이라 무엇이든 적어야 합니다. 뇌가 학습하듯이요.

하지만 일정량의 데이터가 축적된 후에는 Roam은 네트워크 기능을 발휘해 뇌에서 옮기듯 글을 써 내릴 수 있습니다. 

이제 잘 학습된 뇌가 일을 하는 것처럼요. 

단점이라면 아직 웹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것. 네이티브 앱이 나온다면 더 높은 생산성을 낼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윤거성 펄스애드 대표 “셀러의 광고 효율을 높여주는 글로벌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설립 직후 시드 투자 유치에 이어 아마존 광고 기술 분야 파트너 선정, 이어진 CJ ENM으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팁스 선정 등이 모두 지난 몇 개월 사이에 펄스애드가 이뤄낸 일들이다. 놀랍도록 빠른 속도로 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는 펄스애드의 전략과 무기, 다가오는 새해의 계획은 무엇일까? 오는 28일 개최되는 ‘디지털 마케팅 인사이트 2025(DMI 2025)’에서 ‘리테일 미디어의 성장과 브랜드의 채널 전략 변화’를 주제로 발표를 앞둔 윤거성 대표를 만나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어봤다.

‘2024 빅테크 성적표’ AI 지출과 기업 점유율 보기

올해 빅테크의 AI에 대한 기업지출이 올해 500% 급증해 약 19조원을 쏟아부은 것으로 집계됐다. 그동안 AI 시장의 선두에 있었던 오픈AI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50%에서 올해 34%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경쟁사인 앤트로픽의 챗봇 모델 클로드 3.5의 활약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AI부터 암호화폐까지 ‘트럼프 2기’ 변화할 핵심 ‘기술 정책’

도널드 트럼프가 백악관으로 복귀하고 공화당이 양원을 장악하면 의심할 여지 없이 기술 분야가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철학과 함께, 규제보다 혁신에 기반한 그의 행정부 정책은 AI, 사이버 보안 및 기타 핵심 기술 정책 분야의 글로벌 역학을 크게 바꾸면서 급속한 기술 발전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킬러 위성이 등장했다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1977)에 등장한 ‘데스스타’(죽음의 별)는 가상의 우주 정거장이자 슈퍼무기다. 이 영화에 영감을 받은 중국 과학자들이 실제로 ‘데스 스타’를 만들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이 무기는 마이크로파 빔을 집중시켜 적의 위성을 쓸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