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슨, 대기오염 속 피부 관리까지 도와주는 가습 공기청정기 출시

  • 환절기 피부 문제, 건조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가 주범… 한국은 1년 중 절반은 실외보다 실내 공기 오염 수치가 더 나빠
  • ‘다이슨 휴미디파이+쿨 가습 공기청정기 PH2 De-Nox’로 공기 정화부터 가습까지
  • 새로운 K-카본 필터 탑재, 기존 공기 정화 성능은 지키고 동시에 50% 더 많은 이산화질소(NO2) 제거

글로벌 기술 기업 다이슨이 이산화질소(NO₂) 제거 성능을 50% 높인 'PH2 De-Nox' 가습 공기청정기를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이 제품은 새로운 K-카본 필터를 탑재해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를 크게 높였다.

'PH2 De-Nox'의 주요 특징으로는 탄산칼륨(K₂CO₃)이 포함된 K-카본 필터로 이산화질소 제거 효율을 50% 증가시켰다는 점이 있다. 또한 최대 36시간 연속 가습이 가능한 5리터 대용량 물탱크를 갖추고 있어 효과적인 가습 기능을 제공한다. 공기 정화 면에서는 HEPA H13등급 필터를 사용해 0.1마이크론 크기의 초미세먼지를 99.95% 제거할 수 있다. 스마트 기능으로는 LCD 화면과 MyDyson™ 앱을 통해 실시간 공기질 모니터링과 필터 교체 시기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이슨의 연구에 따르면, 이 제품을 사용한 후 3시간 동안 피부 보습이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조한 환경에 노출된 피부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이는 적정 습도 유지가 피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내 공기 오염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도 강조된다. 다이슨의 '세계 공기질 커넥티드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은 1년 중 약 절반의 기간 동안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실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리나 차량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이산화질소는 피부 질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PH2 De-Nox'는 화이트/골드와 니켈/골드 두 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소비자가격은 129만원이다. 다이슨의 이번 신제품 출시로 국내 소비자들은 더욱 효과적인 실내 공기질 관리와 피부 건강 유지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제품은 기존 다이슨 가습 공기청정기의 모든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이산화질소 제거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실내 공기 오염이 심각한 한국의 환경에서, 이산화질소와 같은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은 소비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팀뷰어가 전망하는 2025년 인공지능 발전 방향은?

이번 전망과 관련해 팀뷰어 측은 “AI가 주도하는 변화는 초기 징후를 보고 있지만 진정한 변화는 AI 기능들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될 때 일어날 것”이라며 AI가 기술 지원을 위한 30초짜리 튜토리얼 비디오를 생성한다거나 교육을 위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등의 방식을 언급했다.  

딥엘이 전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의 시대가 온다”

딥엘의 주요 임원들은 내년에 AI가 단순한 툴을 넘어 협업하는 동료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며,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띤 맞춤형 AI 솔루션이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부터 딥엘 전문가들이 전하는 예측하는 2025년 AI 트렌드를 살펴본다.

아하 커뮤니티 앱 토론 결과, 윤석열 대통령 하야·탄핵 81% 찬성

윤석열 대통령의 향후 거취를 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1주일 간 뜨거운 토론이 벌어져 관심을...

유튜브, 4,600만 사용자로 국내 모바일 앱 1위…AI·가상화폐 앱 급성장

유튜브가 2024년 하반기 국내 최다 이용 모바일 앱으로 집계됐다. 전체 순위를 보면 카카오톡(4,539만 명), 네이버(4,341만 명), 크롬(3,741만 명), 구글(3,682만 명)이 2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쿠팡(3천160만명), 네이버지도(2천626만명), 삼성인터넷(2천268만명), 인스타그램(2천262만명), 배달의민족(2천166만명) 등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