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남극···물·광물 선점 경쟁 의미와 우려

2023년 8월 23일 인도가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도달하자 전세계가 환호했다. 특히 각국 정부의 환호속엔 환호와 함께 부러움 섞인 묘한 감정도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빌 넬슨 미항공우주국(NASA·나사) 국장은 자국과 친한 인도(찬드라얀 3호에 카메라 등 기기 제공)의 성공을 즉각 축하한 반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뒤늦게 축하하는 모습을 보인 데서도 이를 읽을 수 있다. 이는 인도가 미국, 러시아, 중국을 앞질러 가장 중요한 달 식민지 구축을 위한 전초전에서 승리한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 2017년 이래 달에 물과 희토류, 헬륨 등이 묻혀 있다는 게 드러나면서 지구상의 우주 기술을 가진 모든 국가가 서로 먼저 달 남극에 도달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여 왔다. 그리고 인도가 그 첫 스타트를 끊었다.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이 1962년 9월 12일 라이스 대학에서 한 “우리는 달에 가기로 했습니다”라는 연설을 한 지 7년만인 1969년 미국의 역사적 인류최초 달 정복이 있었고 1972년 이후 51년째다. 케네디의 역사적 연설이 있은 지 60년도 더 지난 지금 새로운 역사를 쓰려는 노력이 또다시 재현되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추가로 더많은 국가들이 관련돼 있고 달 탐사의 동기가 바뀌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뒤늦게 불붙은 달 탐사 경쟁 배경과 의미 등을 풀어본다.

뒤늦게 불붙은 달 탐사 경쟁엔 4000조달러라는 천문학적 경제 가치가

달에서 물과 헬륨, 희토류를 채굴하면 이를 가공해 또다른 행성, 예를 들면 화성으로 가는 기지로 삼을 수 있다. (사진=ESA)

사실 달 남극 지표면 아래에서 채굴할 수 있는 물, 헬륨 및 금속의 경제적 가치는 약 4000조 달러(약 530경 원)의 가치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만큼 제 2의 달 탐사 경쟁이 불붙은 것은 놀랄 일도 못된다.

인도, 러시아, 유럽, 미국 및 중국 정부는 물론 민간 기업들까지 수천억 달러 규모의 달 광물 의 파이를 차지하길 원한다.

중국, 러시아, 인도, 미국과 같은 나라들은 이제 국가적 자부심과 기술적 우위를 확립하는 것이 아니라 달의 귀중한 자원과 그것들을 어떻게 채굴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희토류 금속에서부터 귀중한 에너지원을 제공할 것으로 여겨지는 헬륨에 이르기까지, 달 표면은 발굴된 수천조 달러의 부를 가진 온상으로 기대를 모은다.

물론 아무도 달을 영유할 권리를 부여받은 게 아니다. 하지만 이곳에 우선 도착해 기지를 구축하고 광물을 채굴한다면 또다른 행성, 즉 화성으로 가는 전초 기지로 삼을 수 있게 된다. 달 개척 기술을 갖고 선점하는 국가가 화성 개척에도 한발 앞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달의 남극에는 사람이 마시는 용도뿐만 아니라 달기지를 건설해 로켓을 발사하게 될 때의 수소 연료, 그리고 호흡하기 위한 산소로 분해될 물 얼음이 흩어져 있다.

이것이 니사가 2025년까지 인간을 또다시 달로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위한 일련의 착륙 장소를 달 남극 주변으로 제시한 이유다.

인도는 달 남극에 가까운 만지누스 크레이터(Manzinus crater) 근처에 찬드라얀 3호 우주선을 착륙시켰고, 러시아는 이달 초 루나-25 탐사선이 추락하기 전에 보구슬라우스키 크레이터(Boguslavsky crater) 근처의 비슷한 장소를 탐사하길 희망했다.

이 국가들과 많은 민간 기업들이 달에서 채굴하고 싶어하는 물, 헬륨, 희토류은 도대체 어떻게 사용되길래 이처럼 전력투구하는 걸까.

물···마실 물로, 숨쉴 산소로, 로켓 연료로

미국의 달궤도정찰위성(LRO)이 발견한 달 남극 주변 물 얼음이 포함된 지도. (사진=나사/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나사의 달궤도 정찰위성(LRO)의 분석 덕분에 전문가들은 적어도 달의 남극과 북극에 6000억 kg이 넘는 물 얼음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는 최소한 올림픽 규격 수영장 24만개 규모다.

인류가 지구에 10억km³ 이상의 물을 두고도 달탐사를 하면서 물에 물에 집착하는 것은 이상해 보인다. 그러나 달에서 물을 반드시 찾아야 할 가치를 매길 수 없는 귀중한 자원으로 간주하는 것또한 경제성 때문이다. 지구에서 지구 저궤도에 1m³의 물을 가져가는 데만도 터무니없을 정도라 할 16억원 정도가 들기 때문이다. 달로 물을 가져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이처럼 이미 달에 있는 물에 접근해 물을 추출하는 것이 우주비행사들이 마시고 씻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태양계의 먼 행성(예를 들면 화성)으로 데려가기 위해 매우 귀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 분자는 수소(H) 원자 2개와 산소(O) 원자 1개로 구성된 H₂0이기 때문에 로켓 연료를 만드는 데 필요한 액체 산소와 수소를 가지고 있다.

이 로켓 연료는 달에서 화성과 그 너머까지 유인 우주선을 쏘아 보내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달에 물이 있다는 증거는?

이 지도는 달 극지방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물 콘텐츠의 일반적인 트렌드를 보여준다. (보라, 녹색, 노랑) .점은 아폴로 착륙 지점. (사진=브라운대)

나사는 달의 햇빛이 비치는 지역에 물(H₂O)의 존재를 확인했는데, 이는 물이 달 표면에 널리 분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러한 발견은 미래의 달 식민지들이 지구에서 물을 가지고 오지 않고도 달에서 물을 수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자들은 이들을 로켓 연료가 될 수소나 인간이 달에서 숨쉬게 할 산소로 바꿀 수 있다고 말한다.

지난 2018년 2월,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의 우주과학연구소(Space Science Institute)에 의해 달 표면 전체에서 H₂O의 반응성이 더 높은 OH(hydroxyl Radical) 즉, 수산기(水酸基) 형태의 물이 발견됐다.

2017년 9월, 전문가들은 달의 토양의 가장 윗부분에 갇힌 물과 그것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첫 번째 지도를 만들었다. 그들은 이러한 형태의 물이 달 표면의 거의 모든 곳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달 연구는 달의 표면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물을 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달 내부에 깊은 물 저장고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발견은 놀랍게도 달의 맨틀에 풍부한 물이 있어서 미래의 우주 탐험을 위해 그것을 식민지화하는 것을 훨씬 더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

마션의 작가 앤디위어의 달식민기지를 주제로 한 SF소설 ‘아르테미스(2017)에는 달 식민지를 세운 인류가 알루미늄, 산소, 실리콘, 칼슘으로 이뤄진 달의 암석에서 알루미늄을 추출하고 부산물로 산소를 얻는다는 설정이 나온다.

희토류 금속광물···각종 전자기기·전기차용

1992년 12월 7일 우주선이 달의 북쪽 지역 위를 비행할 때 갈릴레오의 영상 시스템에 의해 세 개의 스펙트럼 필터를 통해 촬영된 일련의 53개의 이미지로 구성된 인공 색상 모자이크. 각기 다른 색상은 서로 다른 물질을 나타낸다. (사진=위키피디아)
달 남극 크레이터 부근에서 가장 많은 물이 발견된 지역(붉은색과 노란색)을 보여주는 채색 달 지도. 나사의 달궤도 정찰위성(LRO) 데이터 분석 덕분에 전문가들은 적어도 달의 남극과 북극에 6000억 kg이 넘는 물 얼음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달에 있는 물 얼음의 양은 이는 최소한 올림픽 규격 수영장 24만개 규모인 엄청난 양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진=브라운대)

과학자들은 섀클턴(Shackleton), 슈메이커(Shoemaker), 드 게를라슈(de Gerlache), 그리고 하워스(Haworth)같은 달 남극의 차갑고 어두운 분화구에 많은 희토류 금속이 숨겨져 있을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금속은 스마트폰, 컴퓨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 및 의료 장비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신기술에 필수적이다.

전문가들이 달에 대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희귀 금속 중에는 스칸듐과 이트륨이 있는데 이들은 자동차 엔진에 사용되고 유리나 도자기, 전자 장치와 레이더 시스템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자원으로는 현무암, 철, 석영 및 실리콘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지구의 창문, 석기(石器) 및 태양 전지판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전자제품 제조용 희토류 금속으로는 백금, 팔라듐, 로듐이 포함된다.

과학자들은 심지어 지구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10배나 더 풍부한 티타늄 광석을 발견했다.

헬륨-3···방사능 없는 원자력 발전 연료

헬륨-3를 연료로 사용하는 핵융합로. (사진=링크드인)

핵융합은 지구상 화석 연료의 잠재적 대안으로 제기돼 왔고 에너지의 ‘성배’로 여겨지고 있다.과학자들은 태양이 수소를 헬륨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모방하기를 희망한다.

핵융합을 위한 한가지 방법은 바닷물에서 추출할 수 있는 희귀한 종류의 수소(중수소)를 헬륨-3로 알려진 더 희귀한 종류의 헬륨과 함께 취하는 것이다.

헬륨-3는 지구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1969년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고요의 바다를 포함한 달의 일부 지역에는 표면 물질에 20ppb(1ppb=10억분의 1) 농도를 가진 헬륨-3가 있다.

달은 지구와 달리 대기가 없기 때문에 헬륨-3는 태양풍에 의해 그곳에 퇴적된다.

그 동위원소는 방사능이 없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를 위한 우라늄의 대안으로 유용하다.

누가 먼저 도착할까?

지금까지 달에 안착한 달 착륙선 분포도. 러시아(구소련),미국, 중국, 그리고 인도 4개국만이 지금까지 달에 착륙선을 안착시켰다. (사진=위키피디아)
8월초 달탐사선을 착륙시키려다 실패한 러시아 루나-25호의 착륙예정지도 달 남극이었다. (사진=위키피디아)

2022~2032년 중 계획된 공공 및 민간 달 탐사 임무는 무려 400개 이상으로 예상된다. 놀랍게도 1년 전만 해도 같은 기간중 달 탐사임무는 250개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예측에는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최소 6개국과 민간 기업이 포함돼 있다. 우리 정부는 2032년 달에 착륙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국은 오는 2032년 자체 기술로 제작한 무인(無人) 탐사선을 달 표면에 착륙시킬 계획이다. 1단계 사업으로 2030년에 달 주변을 도는 달 궤도선을 보내고, 이듬해 시험용 달 탐사선을 제작해 달 착륙 가능 여부를 테스트한다. 2032년에는 로봇 등 탐사 장비가 들어간 실제 달 탐사선을 한국형 발사체에 실어 달에 보내는 목표를 세웠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032년까지 달 착륙선 개발 사업에만 6000억원의 예산이 들어간다.)

이 중 많은 것들은 영구적인 달 기지 계획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달 자원을 평가하고 활용하려는 야망에서 동기부여가 되고 있다.

누가 먼저 도착할 것인지, 무엇을 확인할 것인지, 추출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미국 나사의 첫 번째 아르테미스 착륙 임무는 2025년으로 예정되어 있는 반면, 중국은 10년 안에 달 표면에 우주 비행사들을 착륙시키기를 희망하고 있다.

러시아, 인도, 일본이 대기하고 있는 동안 민간 기업들은 크게 뒤처지지 않을 것이다.

더많이 달 착륙할수록 더많은 분쟁 가능성

점점 더 분명해지는 것은 달의 엄청난 부를 나누고 관심 지역에 대한 권리 주장과 관련해서는 상황이 훨씬 더 험악해지고 훨씬 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사진은 인도 찬드라얀 3호 달착륙 모습.(사진=ISRO 유튜브)
달 남극(왼쪽)의 푸른 부분이 물이 있는 부분인데 오른쪽 북극과 확실하게 차이를 보인다. (사진=위키피디아)

하지만 분명한 것은 달의 엄청난 부를 나누고 관심 지역에 대한 권리 주장과 관련해서는 상황이 훨씬 더 험악해지고 훨씬 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작가 팀 마셜은 우주 정치에 관한 그의 책인 ‘지리의 미래(Future of Geography)’에서 “지배적인 힘은 영토를 점령하고 그것을 단속하려고 시도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야망을 방해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쓰고 있다. 그는 “가장 먼저 자리를 잡은 자가 가장 먼저 달의 잠재적인 부를 얻는 자가 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한편 중국은 2030년까지 달 표면에 자국의 우주비행사들을 보낼 계획이며, 미국 나사와 유사한 달 착륙 지점들을 다수 확인함으로써 양국의 달에서의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빌 넬슨 나사 국장이 표명한 우려 중 하나는 중국이 과학 연구를 가장해 달의 영토에 대한 주장을 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이를 무시했지만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달의 자원이 어떻게 감시될 것인지에 대해 여전히 상당히 불안해하고 있다.

1979년의 달 협정을 포함한 이전의 달 관리 시도는 미국, 러시아, 중국 어느 나라도 서명하지 않은 채 국제적 합의를 얻지 못했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전세계 기업 오픈소스 연 7.7억 달러 규모 투자...86%는 인력비용"

깃허브-리눅스재단 조사, 기업 오픈소스 투자 실태 조사 전 세계 기업들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생태계에 연간 약 77억 달러(약 11조원) 규모의 투자를...

‘드론? UFO?’ 미국 상공 ‘자동차 크기 비행체’ 정체는?

바다 위를 비정상적인 패턴으로 비행하는 자동차 크기 만한 비행체 50대를 목격한다면? 내 머리 위를 날고 있는 스쿨버스 크기 만한 비행체를 목격하게 된다면? 현재 미국 전역 상공에서 목격되고 있는 미스터리한 비행체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가면서, 진실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1km 밖 인마살상’ 소형드론엔···초강력 레이저 총 탑재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중국 국방과기대학(國防科技大學) 연구진이 그동안 불가능한 것으로만 여겨져 왔던 사람은 물론 장갑차 철판까지 뚫는 초강력 레이저총을 탑재한 소형 드론 개발에 성공했다. 소형 드론에 강력한 레이저총을 탑재할 수 있는 기술력은 지금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기에 주목받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육안으로는 피아 식별조차 불가능한 1km 밖 거리에서도 적군을 정확히 공격할 수 있다.

쿤텍-고려대,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서비스 안정성 강화 지원

DX 융합보안 전문기업 쿤텍은 과기정통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사이버 레질리언스 중심의 핵심 보안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