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하면서 소통 불편하셨죠?" 당근마켓, '당근전화' 출시

당근마켓에 중고물품을 매매하면서, 채팅만으로는 만나는 위치나 시간 확인이 원활하지 않아서 고생했던 기억이 한번 쯤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당근마켓이 이웃 간 통화 기능을 업그레이드 한 '당근전화'를 정식으로 출시했다.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마켓은 당근채팅에서 바로 음성 통화가 가능한 '당근전화' 기능을 정식 오픈했다고 14일 밝혔다.

당근전화는 지난 4월부터 시범 서비스로 제공된 통화 기능의 정식 버전이다. 개인 전화번호 노출 없이 거래 상대방과 실시간 음성 소통이 가능하다. 당근마켓은 약 3개월의 테스트 기간 동안 실제 음성 통화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로 개선했다.

당근전화, 어떻게 거나...약속시간 기준 1시간 전후 사용

새로워진 당근전화는 수신자와 발신자 각각의 통화 연결 화면에 거래 상대방의 당근 아이디가 표시된다. 기존 050으로 시작하는 가상 전화 번호, 또는 발신자번호제한 표시에서 훨씬 직관적으로 개선됐다. 통화 종료 후 당근채팅에서 통화 기록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당근전화는 당근마켓이 자체 개발한 기능으로 구현, 기술적인 부분을 직접 지원해 이전보다 훨씬 빠르고 막힘없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졌다.

당근전화는 거래약속을 잡은 이웃끼리 사용할 수 있다. 거래약속은 당근채팅 좌측 상단에 '거래 약속 설정'을 눌러 상대방과 만나기로 한 직거래 날짜와 시간을 입력하면 된다. 약속이 설정되면, 상대방에게도 일정이 공유된다.

당근전화는 약속시간 기준 1시간 전후로 최대 2시간 동안 이용할 수 있다. 당근채팅 우측 상단에 통화 모양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대방 아이디(당근마켓 이웃)' 화면과 함께 통화로 연결된다. 당근전화는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모두 이용 가능하다.

당근전화 서비스를 개발한 변규현 총괄은 "테스트 기간 동안 많은 이용자들이 실시간 통화에 대한 니즈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기능적인 부분들을 보완해 정식 버전인 당근전화로 출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사용자 중심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 나가며 서비스 편의를 높여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당근전화는 중고거래 과정에서 이웃과 실시간 소통이 필요한 순간에 전화번호 노출 없이 빠르고 편리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갑자기 약속을 변경해야 하거나, 사람이 많은 공공장소에서 상대방을 찾기 어려울 때, 거래 직후 상품에 대한 문의가 있을 때 등 실시간 통화가 필요한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팀뷰어가 전망하는 2025년 인공지능 발전 방향은?

이번 전망과 관련해 팀뷰어 측은 “AI가 주도하는 변화는 초기 징후를 보고 있지만 진정한 변화는 AI 기능들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될 때 일어날 것”이라며 AI가 기술 지원을 위한 30초짜리 튜토리얼 비디오를 생성한다거나 교육을 위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등의 방식을 언급했다.  

딥엘이 전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의 시대가 온다”

딥엘의 주요 임원들은 내년에 AI가 단순한 툴을 넘어 협업하는 동료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며,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띤 맞춤형 AI 솔루션이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부터 딥엘 전문가들이 전하는 예측하는 2025년 AI 트렌드를 살펴본다.

아하 커뮤니티 앱 토론 결과, 윤석열 대통령 하야·탄핵 81% 찬성

윤석열 대통령의 향후 거취를 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1주일 간 뜨거운 토론이 벌어져 관심을...

유튜브, 4,600만 사용자로 국내 모바일 앱 1위…AI·가상화폐 앱 급성장

유튜브가 2024년 하반기 국내 최다 이용 모바일 앱으로 집계됐다. 전체 순위를 보면 카카오톡(4,539만 명), 네이버(4,341만 명), 크롬(3,741만 명), 구글(3,682만 명)이 2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쿠팡(3천160만명), 네이버지도(2천626만명), 삼성인터넷(2천268만명), 인스타그램(2천262만명), 배달의민족(2천166만명) 등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