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인컴퍼니, 한국에 이어 일본서도 앱 보안 기술 특허 등록

글로벌 모바일 앱 보안 전문 기업 락인컴퍼니는 일본에서 모바일 앱 보안을 위한 접속 차단 기술의 특허를 등록했다고 31일 밝혔다.

락인컴퍼니에 따르면 이번 특허는 앱에서 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해킹이나 정보 유출, 위·변조 등 위험 요소를 지닌 접속자를 탐지하고, 관리자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접속을 차단하거나 정상 실행을 허용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금융부터 게임, 헬스케어 등 보안이 필요한 모든 앱에 적용 가능해 폭넓은 범용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락인컴퍼니는 2022년 국내에서 특허를 취득했으며, 해당 기술은 자사 앱 보안 서비스 ‘리앱’에도 적용돼 기업 고객사들의 앱 내 정보 탈취 방지와 고객 데이터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락인컴퍼니는 현재 카카오게임즈, KB금융그룹, 아시아나항공, 당근 등 국내 기업을 비롯해 아시아 대형 게임 퍼블리셔, 인도네시아 국영 은행 등 글로벌 기업까지 고객사로 두고 있다.

락인컴퍼니는 이번 특허를 계기로 일본에서도 기술 신뢰도를 확보하게 되면서 일본 보안 시장 진출에 탄력을 받게 됐다. 앞서 락인컴퍼니는 일본어 홈페이지 신설은 물론 라인게임즈를 비롯한 각 분야의 현지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확장을 준비해왔다.

최명규 락인컴퍼니 대표이사는 "국내 보안 시장보다 규모가 3배 가량 큰 일본에서 특허 취득에 성공하면서 락인컴퍼니 보안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게 됐다"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특허 확보에 주력해 차세대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락인컴퍼니는 스파크랩 5기 배치 프로그램에 선정돼 시드 투자를 유치했으며 한국,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총 5개국에 모바일 앱 및 키패드 보안 관련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무하유 '프리즘', GPT킬러로 자소서 분석... 48.5%가 AI 작성 의심

자연어를 이해하는 실용 AI 기술 기업 무하유는 2024년 자사 AI 서류평가 솔루션 '프리즘'에서 'GPT킬러' 기능을 활용해 평가된 자기소개서의 데이터 분석...

잡코리아 클릭(KLiK), 프로필 등록 건수 500% 증가… ‘AI 도입 효과’

AI·데이터 기반 HR 테크 플랫폼 잡코리아는 자사의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클릭(KLiK) 구직자 프로필 등록 건수가 론칭 6개월 여 만에 500%...

벡터, SDV 2.0 발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개발 속도 높인다

글로벌 자동차 및 항공우주, 교통 등 전자 시스템 개발 소프트웨어 기업인 벡터코리아는 25일 차세대 SDV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플랫폼 SDV...

디노티시아, 파인더스와 보험 AI 공동 개발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디노티시아는 보험 설계사 비교 플랫폼 ‘보인다’를 운영하는 파인더스와 보험 AI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