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했다가 큰 코 다칩니다 (feat. 하인리히)

하인리히 법칙, 들어 보셨나요?

한 번의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 같은 원인으로 수십 번의 작은 사고와 수백 번의 작은 징후가 나타난다는 건데요. 이런 경고를 무시하면 돌이킬 수 없는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를 우리는 불행히도 종종 목격해왔습니다. 

우리 조직에서도 문제의 조짐을 발견하면 즉각 드러내서 논의하면 빨리 해결할 수 있는데요. 그렇지 않고 덮어두고 방치하면 더 큰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하면 직원들이 두려움 없이 즉각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과 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마존 '안돈 코드'

글로벌 유통사, 아마존(Amazon)은 고객불만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안돈(andon) 코드’를 도입했습니다. 

안돈코드란, 원래 도요타(Toyota)에서 처음 만든 장치로, 자동차 생산 공정에서 전체 조립 라인을 따라 이어진 줄을 지칭합니다. 제품 결함이나 문제를 발견하면 누구든 그 즉시 줄을 당겨 생산을 멈출 수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한 경우에만 생산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죠. 

도요타의 안돈코드 (출처: Toyota)도요타의 안돈코드 (출처: Toyota)

아마존이 안돈코드를 어떻게 활용했냐고요? 고객이 배송 받은 제품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리면, 고객서비스 담당자는 안돈코드를 발동합니다. 그럼 그 즉시 판매가 중단되고 조사가 시작되죠. 제품 판매를 멈춘다는 것은 당장의 손실을 가져오는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조스(Jeff Bezos)는 이를 강력하게 지지했습니다. 문제 발생 후 해결에까지 이르는 시간을 파격적으로 줄일 수 있고, 더 큰 문제로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죠.  


문제가 진짜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사소한 것들을 방치했기 때문입니다.

우리 회사, 우리 팀의 구성원들이 솔직하게 실수와 문제를 드러낼 수 있는 문화를 위해, 리더 여러분은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본 기사의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IGM세계경영연구원

insightlab@igm.or.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반짝 아닌 롱런! 위대한 기업은 20마일씩 나아간다

탐험가 아문센과 스콧 이야기 노르웨이의 탐험가 아문센, 그리고 영국의 해군 장교 스콧, 이 둘 중 누가 먼저 남극점에 도착하느냐를 두고 탐험이 시작됐다....

아이들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글에서 내놓은 핏비트 에이스 LTE 스마트워치 for kid 스마트폰이 생겨난 이후 우리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등장한 이후 우리 사회나...

성과나는 팀에는 이 역할 하는 구성원들이 꼭 있다

R&R(Roles & Responsibilities, 역할과 책임), 직장인이라면 너무나 익숙한 단어죠?  역할이라고 하면 주로 직무와 관련된 ‘기능 역할(Functional role)’을 떠올리셨을 겁니다. 예를 들어,...

올림픽 e스포츠

 ‘e스포츠’는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사람 간 또는 팀 간의 대결 경기인데, 젊은 콘텐츠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는 비디오 게임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받아들일 것인가는 IOC의 심각한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