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차세대 AI '가우스2' 공개..."기존 오픈소스 모델보다 3배 빨라"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2세대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2'를 공개했다. 기존 오픈소스 AI 모델 대비 처리 속도가 최대 3배 빠르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21일 온라인으로 개최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에서 차세대 AI 모델 '삼성 가우스2'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공개한 '삼성 가우스1'의 후속 버전이다.

가우스2는 텍스트, 코드, 이미지를 통합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델로, 용도에 따라 '콤팩트', '밸런스드', '슈프림' 세 가지 버전으로 구성됐다. '콤팩트'는 기기 내 구동에 최적화된 소형 모델, '밸런스드'는 클라우드 기반의 범용 모델, '슈프림'은 최고 성능을 목표로 하는 고성능 모델이다.

특히 '밸런스드'와 '슈프림' 모델은 현재 공개된 주요 오픈소스 AI 모델과 비교해 영어, 한국어 등 다양한 언어 답변 생성과 코딩 등에서 동등 이상의 성능을 보이며, 처리 속도는 1.5~3배 가량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은 "가우스2를 통해 업무 생산성 향상과 단계적 제품 적용으로 더욱 편리하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가우스2는 사내 소프트웨어 개발자 지원 서비스 '코드아이'와 문서 요약, 번역, 메일 작성 등을 지원하는 '삼성 가우스 포탈'에 적용돼 있다. 특히 '코드아이'는 서비스 시작 후 월별 사용량이 4배 이상 증가했으며, DX부문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약 60%가 활용 중이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 비전 아래 전 제품군에 AI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며, 향후 지식 그래프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한층 강화된 개인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정재엽 기자

anihil@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오순영 AI 미래포럼 공동의장 “2025년은 AI 대전환 시기",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평균적인 인간과 AI 시스템을 붙여놨더니 잘하는 AI와 잘하는 인간보다 못한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결국 AI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은 내부 직원의 업스케일링(최신기술 교육)과 리스케일링(기존 전문가 대상 교육)을 챙겨야 한다는 거예요. AI 시대의 인재는 어느 한 가지를 잘 하는 사람은 아니죠. 특정 단위의 업무는 모두 AI로 대체될 테니까요. 그 보다는 환경과 조직을 폭넓게 이해하고 AI를 운용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죠. 앞으로는 협력, 소통과 같은 소프트 스킬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될 겁니다. 또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에게는 사용성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어요.”

베스핀글로벌, 디케이테크인과 AI 컨택센터 혁신 위한 업무 협약 체결

AI 매니지드 서비스 전문 기업 베스핀글로벌은 카카오 IT 솔루션 개발 자회사 디케이테크인과 AI 기반 컨택센터(AI Contact Center, AICC) 기술 강화...

올인원 HR 플랫폼 플렉스(flex) ‘비용 관리’ 신규 서비스 출시

올인원 HR 플랫폼 ‘플렉스(flex)’는 ‘비용 관리’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플렉스에 따르면 이 서비스는 HR 플랫폼을 기반으로 해 기존 조직·구성원...

타다, 임산부 위한 ‘예비엄마타다’ 프로모션 운영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 운영사 브이씨엔씨(이하 타다)는 가족 친화적 이동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 임산부 탑승객 대상 프로모션 ‘예비엄마타다’를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