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의 2021년 갈 길은?

[AI 요약] 삼성sds는 2017년 지향점은 솔루션, 클라우드 그리고 물류의 디지털 확장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기업의 시스템과 솔루션 시장은 디지털전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우드와 스마트 팩토리 사업 쪽으로 집중하겠다는 전략을 가진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물류 확장, 고객사 맞춤 it기술 제공 플랫폼 전담 조직을 신설한다. 가명 정보 결합사업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향후 디지털 산업과 글로벌 물동량 증가에 따라 혁신 사업 및 고객 발굴에 더욱 집중한다.


삼성SDS의 2021년 지향점은 솔루션, 클라우드 그리고 물류의 디지털 확장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기업의 시스템과 솔루션 시장은 디지털전환(DX)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클라우드와 스마트 팩토리 사업 쪽으로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삼성SDS는 28일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불확실성 속 언택트 및 클라우드 부문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회사의 4분기 매출은 3조465억원, 영업이익 2838억원(잠정실적)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2.6%, 영업이익은 29.1% 증가한 수치다. 2020년 연간 매출은 11조174억원, 영업이익은 871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비 매출액은 2.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12% 감소했다.

강석립 IT혁신 사업 부장은 "지난해 보류됐거나 축소됐던 IT투자가 올해 활성화되고, 특히 비대면 관련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올해는 고객의 혁신과 성장을 지원하는 디지털전환 조력자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큰 갈래는 3가지로 솔루션, 클라우드, 물류 확장이다. 또한 가속화되는 고객사 맞춤 IT기술 제공 플랫폼 전담 조직을 신설한다. 확대된 컨설팅의 일환이다.

솔루션 사업 부문에서 삼성SDS는 데이터 3법 개정 이후 진행되는 가명 정보 결합사업에 기대를 걸고 있다. 삼성SDS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선정한 민간부문 1호 가명정보 결합 전문기관이기 때문이다. 현재 이 회사는 암호화 기술과 인공지능(AI) 분석 플랫폼에 기반을 두고 가명정보 결합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AI 애널리틱스와 연계해 고객사 최적화 클라우드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재택근무 및 비대면 업무환경 확산으로 클라우드시장 성장이 전반적 IT업종 성장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삼성SDS는 예측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삼성SDS는 고객 업무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조/연구개발 분야에 집중됐던 역량을 금융/공공 클라우드로 확대해 나간다.

삼성전자 반도체, 삼성SDI, 삼성전기 등 제조관계사의 스마트팩토리 사업도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그룹 관계사의 신규·증설 라인에서 물류자동화사업을 확대하고 전장·2차전지 등 소재·부품분야에서도 스마트팩토리 대외 신규사업을 발굴하는 데 주력한다.

더불어 물류 자동화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자동차 전장, 2차전지 등 소재·부품 관련 신규 사업 발굴에도 나선다. 글로벌 물동량 증가에 따라 물류 사업은 올해 반등이 기대된다. 관계사 사업은 온라인 판매 증가에 따라 해외 판매법인에서 소비자까지 연결하는 최종단계 배송(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솔루션을 강화한다.

강석립 IT혁신 사업 부장은 “삼성SDS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AI,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과 업종 전문성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 신규 사업 및 고객 발굴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토스인증서, 누적 발급 2600만 건 돌파..‘연말정산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이하 토스)는 토스인증서 누적 발급이 2600만 건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2021년 11월 토스가 전자서명인증사업자...

‘휴대폰 2초 충전· 팔 달린 로봇청소기’ CES 2025 혁신기술 ‘TOP 10’

매년 기술분야에서 가장 큰 축제인 CES 주간이 돌아왔다. 박람회 첫날 데뷔한 제품들이 기술 애호가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는 가운데, 빅테크들이 속속 공개하는 미래 기술 비전에 놀라움이 더해지고 있다.

2025년 스타트업이 직면한 현실은 ’혹한기’넘어 ‘빙하기’…위기 속에 기회는?

2025년은 지난해에 이어 생성형 AI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지속적인 주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단 전제 조건은 기술력도 중요 하지만 기술을 서비스에 접목해 ‘돈’을 만들어 내는 성과가 뒷받침 돼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생성형 AI 기술 기반 AI 에이전트 서비스가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또 그간 모바일, 노트북 기반 디지털 서비스로만 국한 됐던 AI 기술이 물리적인 현실세계에 적용되는 자율주행을 비롯해 휴머노이드(로봇)을 통한 공간지능으로 구현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오순영 AI 미래포럼 공동의장 “2025년은 AI 대전환 시기",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평균적인 인간과 AI 시스템을 붙여놨더니 잘하는 AI와 잘하는 인간보다 못한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결국 AI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은 내부 직원의 업스케일링(최신기술 교육)과 리스케일링(기존 전문가 대상 교육)을 챙겨야 한다는 거예요. AI 시대의 인재는 어느 한 가지를 잘 하는 사람은 아니죠. 특정 단위의 업무는 모두 AI로 대체될 테니까요. 그 보다는 환경과 조직을 폭넓게 이해하고 AI를 운용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죠. 앞으로는 협력, 소통과 같은 소프트 스킬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될 겁니다. 또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에게는 사용성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