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당 대전역점 '수수료 논란' 어디서 왔나 Oh Ay

진짜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은 사실 따로 있습니다

성심당 로고(사진=성심당 홈페이지 캡처)

수수료 논란의 주요 쟁점은

성심당 대전역점의 재계약을 둘러싼 수수료 논란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가장 침예하게 의견이 엇갈리는 건, 결국 월 입점 수수료 금액인데요. 코레일유통은 적어도 내부 규정에 따른 최저 수수료인 17%에 맞춰 4억 4천만 원을 받아야 한다고 하는 반면, 성심당은 기존 금액이 1억 3천여 만원 가량이었는데, 이를 갑자기 4배 가까이 올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입니다. 현재 해당 매장 자리에 대한 공개 입찰은 4차례나 유찰되어, 현재 5차 입찰이 진행 중인데요. 성심당은 여기에 참여는 하되 기존 수수료에 준하는 금액을 낸다고 밝힌 상황이라, 끝내 대전역을 떠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실 여론은 초기부터 지금까지 성심당에 대체로 우호적이었습니다. 코레일유통이 요구한 수수료는 연 50억 원 수준으로, 그 금액을 내느니 차라리 근처에 새로 매장을 내는 것이 나을 정도였기 때문인데요. 더욱이 성심당이 그간 쌓아온 선한 브랜드 이미지도 대중들의 우호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는 데 한몫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조금씩 성심당을 탓하는 의견들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아무리 성심당이라 할지라도 원칙은 지켜야 하며, 특혜성 지원은 경계해야 한다는 논리인데요. 더욱이 얼마 전 성심당이 파리크라상과 CJ푸드빌을 제친 영업이익 실적으로 화제가 되었던 터라, 그만큼 잘 벌면 충분히 수수료를 감당할 수 있지 않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사실 악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선 초기 기사들의 논조처럼 코레일유통을 무작정 악덕 기업으로 몰고 가는 것은 부당합니다. 이들은 어쩔 수 없이 운영 원칙을 따를 수밖에 없는 입장이고, 더욱이 감사원과 국정감사에서 연이어 지적을 받았기에 눈치가 더욱 보였을 상황이거든요.

그리고 성심당에게도 피치 못할 사정은 있습니다. 아무리 현재 돈을 잘 벌고 있다 하더라도, 3~4억 원 수준의 임대료를 지불하면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소리가 단순한 엄살이 아니기 때문인데요. 애초에 성심당 비즈니스 모델은 철저한 박리다매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800명 가까이를 고용할 정도로 인건비 부담이 큰 사업 구조를, 압도적인 매장 회전율로 극복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만들어낸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원재료 매입도 효율화한 덕택에, 품질은 뛰어나면서도 가성비까지 갖춘 빵을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높은 영업 이익률을 기록하고 있긴 하지만, 생각보다 성심당의 수익 구조는 취약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인건비의 절대적 규모는 크게 늘어나고 있고, 물가 상승에 따라 원재료 비중 역시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앞으로도 높은 회전율로 극복하려면, 매출액에서 원가와 변동비를 차감한 공헌이익률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하는데요. 기존에는 수수료를 높은 매출 성장으로 상쇄하여, 실질 수수료는 4%대로 운영해 왔지만, 이것이 갑자기 17% 내외로 올라간다면, 당연히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그래도 작년 수준의 영업 이익률이라면, 이를 감당하면서도 돈을 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건비는 매년 인상되어야 한다는 점과, 최근 물가 상승이 심상치 않다는 걸 고려하면 현재의 마진은 결코 충분치 않습니다. 더군다나 절대적인 매출액 규모 자체의 변동성까지 고려한다면, 이는 더욱 피하고 싶을 건데요. 과거 비슷한 일을 겪고 부산역을 떠난 삼진어묵 역시, 매출 하락이 이별을 결심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였다고 합니다. 갑자기 성심당 매출이 급격히 하락하는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겠으나, 현재의 성장세가 정체되기만 해도, 수익성은 떨어지게 됩니다. 당장 내년이라도, 매출 성장이 정체되거나 혹은 소폭 빠지기만 해도, 대전역점은 바로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건데요. 괜히 성심당이 독하게 마음을 먹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알아보고 있는 것이 아닌 겁니다.

진짜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따라서 어쩌면 이번 문제의 본질은 결국 공공기관 특유의 경직된 문화와 비효율성에 있지 않나 싶습니다. 성심당을 비판하는 기사들을 보다 보면, 코레일유통은 국유 재산을 성실히 관리할 의무가 있고, 따라서 성심당에게만 낮은 수수료를 주는 건 직무유기라는 식의 주장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낡은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정말 성실한 것일까요? 모든 경우에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편의주의적 업무 방식이, 오히려 무수한 기회비용을 만들고 있는데, 이것이 오히려 직무유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왜 코레일유통은 이렇게 융통성이 없는 걸까요? 애초에 그런 구조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사기업들에서는 성심당과 같은 핵심 콘텐츠를 유치하기 위해, 각종 특혜를 봐주는 것이 오히려 너무도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리가 상대적으로 적은 건, 내부 감사 제도 덕분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매장의 성과가 직원의 평가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코레일유통은 아무래도 공공기관이라, 성과 기준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내부 인사이동이나 승진 적체가 심한 편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사기업처럼 유연한 업무 환경과 이에 따른 적절한 보상 체계가 있었다면, 이미 예전에 이번 성심당 수수료 논란이 아예 나오지 않도록 관련 제도들이 정비되었을 겁니다.

안타까운 건, 이렇게 크게 화제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간 내 코레일유통의 수수료 정책이나 기준이 바뀔 것 같지 않다는 겁니다. 하지만 애초에 17~50%에 달한다는 현재의 수수료 체계는, 업주에게 과도한 부담을 줄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낮은 수준의 서비스가 고객에게 제공되는 걸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걸 기억해야 합니다. 이는 결국 정말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역사 내 상업 시설 이용을 주저하게 만들어, 고객도, 입점 매장 업주도, 더 나아가 역내 상점을 운영하는 코레일유통까지 모두가 불행해지는 결과를 만들게 될 거고요. 따라서 하루빨리 이번 성심당 수수료 논란을 계기로 오히려,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트렌드라이트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커머스 버티컬 뉴스레터로, '사고파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매주 수요일 아침, 가장 신선한 트렌드를 선별하여, 업계 전문가의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함께 메일함으로 전해 드릴게요.

뉴스레터 무료 구독하기


본 기사의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기묘한

tech42@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뉴스젤리 선정 2024 최고의 데이터 시각화를 공개합니다!

데이터 시각화 전문 기업이 선정한 올해 최고의 데이터 시각화 사례는? 벌써 2024년도 막바지에 접어들었습니다. 오랜만에 못 보던 지인, 소홀했던 가족들과...

2025년 이커머스 시장, 한번 예측해 보겠습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며, 내년 커머스 업계를 전망하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1편에서는 온라인 중심의 주요 이슈를, 2편에서는 오프라인에서 주목할 트렌드와 기회를 트렌드라이트...

AI 에이전트(Agent)

Next Big Thing ? 정말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은 당장이라도 세상을 뒤집어 버릴 기세로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다....

리더의 '극단적 자기확신'이 조직과 사회를 망친다

1980년대 미국 미시건 주의 한 도시, 플린트.  수많은 주민들이 떠나가고, 도시 전체는 점차 황폐해져 갑니다. 플린트는 한 때 살기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