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독보적 컨셉의 에어택시, ‘시프트 컴슨’ Take-off 임박

고속 자율비행 AAM 비행체 ‘시프트 컴슨’(SHIFT Compson) 시제기. (사진=TIE)

혁신적 기술을 적용한 독보적 컨셉의 AAM 비행체 제작 과정과 개발 로드맵을 공개, 국내 AAM 시장에 신선한 반향을 일으킨 디스이즈엔지니어링(this is engineering 이하 ‘TIE’)의 고속 자율비행 AAM ‘시프트 컴슨’이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냈다.

31일 TIE는 지난 해 7월 ‘Ascend 070423’ 행사를 통해 공개 당시부터 업계 관계자들의 기대를 모아온  ‘시프트 컴슨’이 드디어 이륙을 위한 최종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시프트 컴슨’은 틸트로터와 멀티로터의 장점을 극대화한 기술을 적용해 기체의 안전성을 극대화하면서도 비행속도와 거리의 이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개발한 수직이착륙기(eVTOL)다.

이번에 공개한 기체는 TIE의 독보적인 비행체 제어 원천기술과 항공기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속도 330km/h, 비행거리 280km 이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된 5인승 수직이착륙 AAM 비행체 ‘시프트 컴슨’의 2인승 시제기다.

시제기는 현재 기체 제작∙조립, 항공전자장비/배터리 시스템 장착 및 외부 도장 외 기체 제작에 대한 설계 오차 점검과 장착된 통신, 항법, 항전, 배터리 시스템 등 전체 시스템에 대한 기능점검까지 완료한 상태다. 현재는 추력장치와의 체계 통합을 위한 최종 조립 단계를 기다리고 있다.

추력장치는 TIE 자체 실험설비에서 자체 개발한 비행제어시스템과의 연동에 대한 최종 성능점검을 진행하고 있으며, 완성된 기체와 결합 후 지상테스트를 거쳐 올 상반기에 본격적인 비행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프트 컴슨’,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는 도전의 결과

고속 자율비행 AAM 비행체 ‘시프트 컴슨’(SHIFT Compson) 시제기. (사진=TIE)

TIE 측은 “기존 항공기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물론 전자, 통신, 자율 비행, 컴퓨터 비전, 머신 러닝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AAM 개발은 매우 고된 과정으로 AAM을 개발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업이 장기간의 개발과정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점에 제한된 인프라속에서도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단기간에 독보적 컨셉의 ‘시프트 컴슨’ 시제기를 개발한 것은 AAM 업계에서도 유래가 없는 놀라운 성과”임을 강조했다.

TIE는 여러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기존 항공기 개발에 적용하는 SEP(System Engineering Process)를 시스템 엔지니어링 Philosophy에 기반한 First-Mover로서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애자일(Agile)방식을 적용, 개발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했다.

또한 기존 AAM 기체 형상의 장단점을 분석, 최적의 Performance를 발휘할 수 있는 기체 개념을 결정하는데 심혈을 기울이며 세계 최초로 혁신적 컨셉의 시제기를 탄생시켰다. 분할구조의 배터리 팩 시스템과 방열구조 및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개발 경우 높은 전류로 인한 발열 감소와 안전에 중점을 두도록 설계하며 만전을 기했다.

세계 최초 독자적인 STAC 시스템을 적용한 '시프트 컴슨', 도심내 비행에 최적화

TIE의 시프트컴슨은 STAC이라는 분산제어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 적용해 제작했다. TIE에 따르면 세계최초로 전방향 틸트가 가능한 4개의 로터그룹에 대한 분산제어와 고정익이 결합된 독창적인 구조로 설계되어 장거리 항속 및 고속비행이 가능하고, 민첩성(Agility)이 뛰어나며, 동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탑승객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로터그룹이 최적의 제어상태를 이루어 강풍에 대한 대응력도 뛰어나 도심 항공교통 수단에 최적화된 기체로 평가받는다.

이번 시제기는 미래 도심내 무인비행체 증가에 대비해 자체 개발한 자율비행기술들이 적용되어 전방향 장애물 인지 및 회피가 가능하여 도심내 비행에 대한 안전성을 최대화했다.

TIE 측은 “시제기 개발 성과는 이제 우리나라도 AAM 산업을 이끌어 나가는 대표 딥테크(Deep-tech)기업을 보유, 미래 항공 모빌리티 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현재 비행테스트를 위한 장소 선정을 위해 국토부, 항공안전기술원, 지자체 등 관계 부처들과 협의를 진행 중으로, 추진시스템의 기체 결합과 함께 빠른 시일 내 테스트비행 계획을 알릴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홍유정 TIE 대표는 “이번 시제기 개발은 TIE 개발팀 전체의 혁신적 사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이를 통해 미래 항공 모빌리티 분야를 선도하는 대표기업으로써 빠르게 경쟁우위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크래용 정래준 대표, 이선영 부대표 “폐원단으로 고부가가치 인테리어 자재를 만들었습니다”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차별적인 디자인의 인테리어 자재를 만들 수 없을까?’ 크래용 팀의 새로운 시도는 이와 같은 질문으로 시작됐다. 그리고 이들은 단기간에 특별한 소재를 개발하고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시중에 존재하지 않은 커스터마이징된 디자인을 탑재한 인테리어 자재를 선보였다. 크래용 팀이 선택한 소재는 다름 아닌 폐기되는 의류 원단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양자 컴퓨팅 상용화 이정표 세우나…‘마요라나 1’ 공개

손바닥 크기의 마요라나 1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토폴로지 코어(Topological Cor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양자 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Qubit)를 단일 프로세서에 100만 개 이상 집적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졌으며, 오류 저항성을 하드웨어에 갖춘 내결함성 구조(fault-tolerant)로 더욱 안정적인 양자 연산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방식으로 큐비트를 제어할 수 있어 신뢰성을 높였다.

메디웨일, 망막AI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조기 예측 가능성 확인…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메디웨일은 망막 이미지에서 측정한 생체 나이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한 연구를 발표했다고 18일...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대로 로봇팔 조작해 글씨 썼다

미국 뉴럴링크(Neuralink)사가 사지마비 환자에게 자사의 무선 뇌 임플란트 칩(N1)을 이식한 후 생각만으로 마킹펜을 쥔 로봇 팔을 조종해 화이트보드에 ‘Convoy’(‘호송’이라는 뜻)라는 글자를 쓰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