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인프라테크의 ‘Mitum(미텀)’, TTA서 고성능 블록체인 입증

블록체인 원천기술 개발기업 소셜인프라테크는 독자 기술로 개발한 블록체인 메인넷 ‘Mitum(이하 미텀)’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의 엄격한 V&V(Verification&Validation) 시험을 통해 고성능 블록체인 네트워크임을 입증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소셜인프라테크에 따르면 미텀은 이번 테스트에서 일반 CPU를 사용하는 저사양 서버 4개 노드로 진행했음에도 트랜잭션 생성에 최대 5,657TPS(Transactions Per Second)를 기록하며 빠른 속도와 높은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로, 높은 TPS 성능은 미텀이 다양한 산업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한다.

소셜인프라테크는 블록체인 핵심 인프라인 ‘메인넷'을 국산화 하겠다는 목표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독자기술로 개발한 코어엔진 Mitum-BFT는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합의 알고리즘의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팅 제거와 능동적인 Proposal, 비동기 네트워크의 합의 과정을 최적한 고성능 합의 알고리즘으로써 즉각적인 Finality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셜인프라테크 측은 “코어엔진은 특히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STO(Security Token Offerings, 토큰증권) 등의 금융 분야에서 즉각적인 Finality는 거래의 안정성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소셜인프라테크는 초경량 블록체인 미텀-i(Mitum-i)와 서비스형 블록체인 미닉(MINIC)으로 지능형 CCTV, AIoT 등과 같이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이 결합한 산업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김종현 소셜인프라테크 공동대표는 “이번 TTA 인증은 미텀이 다양한 산업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기반 성능을 확인한 것”이라며 “앞으로 최적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능 개선과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블록체인 기술로 K-블록체인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메디웨일, 망막AI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조기 예측 가능성 확인…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메디웨일은 망막 이미지에서 측정한 생체 나이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한 연구를 발표했다고 18일...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대로 로봇팔 조작해 글씨 썼다

미국 뉴럴링크(Neuralink)사가 사지마비 환자에게 자사의 무선 뇌 임플란트 칩(N1)을 이식한 후 생각만으로 마킹펜을 쥔 로봇 팔을 조종해 화이트보드에 ‘Convoy’(‘호송’이라는 뜻)라는 글자를 쓰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팔로알토 네트웍스, 딥시크에서 보안 취약점 발견…“AI에 특화된 보안 솔루션 필요”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업인 팔로알토 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는 자사 위협 연구 기관 ‘유닛42(Unit42)’의 조사를 바탕으로 딥시크가 ‘탈옥(jailbreaking)’ 공격에 취약하며, 전문 지식이나...

[인터뷰] 서광열 코드박스 대표 “스타트업 투자 매칭은 물론 상장 기업, 개인사업자 법인 전환까지 지원하는 ZUZU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코드박스 서광열 대표와의 만남은 약 2년 만이다. 2년 전 5000곳의 기업 고객 확보를 목전에 두고 있던  주주(ZUZU)는 이제 9400곳이 넘는 고객사가 이용하는 대세 서비스가 됐다. 당시 “주주(ZUZU)를 창업과 관련된 모든 라이프 사이클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고도화시키겠다”고 했던 서 대표는 자신의 말을 모두 현실로 이뤄낸 듯했다. 스타트업과 투자자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소하는 서비스를 하나 둘 내놓다 보니 이젠 그 조차도 주주(ZUZU)가 제공하는 기능과 서비스를 모두 헤아리지 못할 정도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