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요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의 지원 기관으로 2580곳의 기업·기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데이터 바우처는 데이터 활용 비즈니스 및 제품·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기술 수요 기업에게 신청을 통해 구매·가공 바우처를 정부가 제공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기업을 해당 바우처를 필요 기술을 보유한 공급기업에 관련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2021년 데이터 바우처를 지원하고 활용할 기관, 기업이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2021년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의 지원 기관으로 2580곳의 기업·기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데이터 바우처는 데이터 활용 비즈니스 및 제품·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기술 수요 기업에게 신청을 통해 구매·가공 바우처를 정부가 제공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기업을 해당 바우처를 필요 기술을 보유한 공급기업에 관련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데이터 댐 정책의 주요 연결고리인 데이터 바우처 사업에는 1230억 원의 예산을 투입된다.
데이터 댐이란?
'데이터댐'은 마이데이터 등 새롭게 생성되는 데이터를 한 데 모아, 마치 댐으로 물을 가둬두고 필요한 때 흘려보내듯, 데이터를 모아두고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공공 AI 개발 등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산업에 공급한다는 개념이다. 정부는 약 18조 원 규모로 데이터댐 관련 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
주목할만한 선정 사례로는 스쿨존 내 사각지대에서 어린이를 인식해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어린이 보호 알림이 속도 표출 신호등', 영유아 질병을 비대면으로 조기 진단하는 '영유아 건강신호등 챗봇 서비스' 등 국민의 실생활 안전에 연관된 사업이 있었다.
이외에도 전기차 충전 정보와 캠핑관련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서비스, 혼합현실(MR)을 활용한 디지털 모델하우스,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패션 추천 등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창출 과제도 선정됐다.
이번 데이터 바우처 사업은 일반부문과 사회현안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됐으며, 수요기업 공모엔 6179건이 접수돼 2.4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부문별로 보면, 구매 2207건, 일반가공 1295건, AI 가공 2677건으로 고른 수요를 보였다.
각 비중을 보면, 제조(22.4%), 유통(11.4%), 문화(8.7%), 통신(8.6%), 교육(3.9%) 등을 차지했다.
올해의 경우,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을 통한 변화와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부처의 전문분야 협력을 13개에서 15개 부처로 확대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분야가 아닌 기업에서 전체 약 55%가 선정되어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724건(66.8%), 비수도권 856건(33.2%)으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비수도권 지역의 선정 비율이 높아지긴 했으나, 여전이 2대 가량 차이를 보였다.
정부는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제주 등 지자체와 협력해 다양한 지역기업 대상 수요발굴을 추진했고, 지역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데이터 바우처 사업을 통해 데이터 상품과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사례를 창출·확산해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