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코리아 13년만에 밝힌 실적보니… 영업이익률 최소화로 쥐꼬리 법인세 꼼수

[AI요약] 애플코리아가 지난 2009년 이후 13년만에 실적을 공개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올린 매출액은 7조 1000억원이다. 법인세는 벌어들인 수익에 비해 턱없이 적은 629억원에 불과하다. 매출 대비 0.9%에 불과한 것이다. 애플이 법인세를 적게 내기 위해 영업이익률을 의도적으로 낮췄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애플코리아가 지난 2009년 이후 13년만에 실적을 공개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올린 매출액은 7조 1000억원이다. 2009년 당시 감사보고서에 따른 매출액 1783억원에 비해 약 40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영업이익은 1115억으로 20배 증가했다.

문제는 영업이익률이다. 애플이 잡은 영업이익률은 1.6%에 그쳤다. 2009년 영업이익률 3.2%에서 반토막이 난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법인세는 벌어들인 수익에 비해 턱없이 적은 629억원에 불과하다. 매출 대비 0.9%에 불과한 것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애플이 법인세를 적게 내기 위해 영업이익률을 의도적으로 낮췄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실제 애플코리아의 영억이익률이 줄어들었을까 보면 의아한 부분이 적지 않다. 업계에서는 애플의 생산시설이 국내에 없다는 이유로 해외 애플 판매망에서 기기를 들여올 때부터 매출원가를 높게 잡은 탓이라고 지적한다.

실제 지난해 애플코리아의 매출원가는 6조 7804억원이었다. 매출액의 95.5%가 원가라는 의미다. 대부분의 돈은 애플의 아시아·태평양지역 거점인 싱가포르 소재 법인 ‘애플 사우스 아시아(Apple South Asia Pte Ltd)’로 갔다. 업계에서는 이를 우리나라(27.5%)에 비해 낮은 싱가포르(17%)의 법인세율을 이용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 외에도 애플코리아는 주식 배당금으로 9809억원을 책정했는데, 이는 지분 100%를 보유한 미국 본사로 돌아간다. 거액의 본사 배당은 애플 외에도 외국계 기업들이 수익을 이전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2020년 국내에서 애플이 앱스토어로 벌어들인 매출은 139억달러(약 16조 5000억원)에 달하지만 이는 애플코리아와 전혀 관계가 없다.

아이폰 등 기기 제조를 담당하는 애플 본사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기준 29.8%였다. 주로 판매와서비스를 담당하는 애플코리아의 영업이익률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차이가 적지 않은 것이다.

애플코리아는 지난해 판매장려금, 주식보상비용 등이 포함된 총급여액에서 각각 전년 대비 269억원, 149억원을 늘렸다. 또 투자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R&D 지원센터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아카데미 개소를 준비하는데 적잖은 비용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2월 오픈한 여의도 매장에도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투입한 비용과 투입 할 비용의 구분이 확실치 않아 “앞으로 들어갈 돈까지 미리 비용으로 잡아 뒀을 것”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애플의 꼼수와 극적으로 대비되는 것은 지난해 5조원 대 매출을 올린 네이버가 낸 법인세다. 2020년 네이버의 법인세는 4300억원에 달한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드론? UFO?’ 미국 상공 ‘자동차 크기 비행체’ 정체는?

바다 위를 비정상적인 패턴으로 비행하는 자동차 크기 만한 비행체 50대를 목격한다면? 내 머리 위를 날고 있는 스쿨버스 크기 만한 비행체를 목격하게 된다면? 현재 미국 전역 상공에서 목격되고 있는 미스터리한 비행체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가면서, 진실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1km 밖 인마살상’ 소형드론엔···초강력 레이저 총 탑재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중국 국방과기대학(國防科技大學) 연구진이 그동안 불가능한 것으로만 여겨져 왔던 사람은 물론 장갑차 철판까지 뚫는 초강력 레이저총을 탑재한 소형 드론 개발에 성공했다. 소형 드론에 강력한 레이저총을 탑재할 수 있는 기술력은 지금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기에 주목받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육안으로는 피아 식별조차 불가능한 1km 밖 거리에서도 적군을 정확히 공격할 수 있다.

[인터뷰] 백명현 스테이지랩스 대표 “아티스트와 팬을 연결하는 양방향 라이브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 백명현 대표가 창업한 스테이지랩스는 K-팝 디지털 포토카드 플랫폼 ‘tin(틴)’을 비롯해 CJ ENM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탄생한 글로벌 K-팝 컬쳐 플랫폼 ‘엠넷플러스’, 최근 론칭한 ‘링크(liNC)라는 삼각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그렇게 확보한 글로벌 이용자 수가 무려 1200만명에 이른다. 특히 자체 개발 플랫폼 ‘링크(LiNC)의 경우 이용자의 84%, 누적 매출의 95%가 글로벌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다. 갖 론칭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놀라운 지표가 아닐 수 없다.

트럼프 2기 행정부, AI규제 완화한다는데... AI 산업계 어떻게 달라질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으로 미국의 AI 정책이 큰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AI 혁신과 국가안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바이든 행정부의 AI 규제를 대폭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