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아이폰 사용자들은 신박한 경험을 했다.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를 한 이후 급격하게 배터리 수명이 짧아진 것이다. 배터리 사용량이 급격히 줄어들기도 했고, 심지어 20%의 잔여량이 있음에도 전원이 꺼지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원인은 곧 밝혀졌다. 애플이 고의로 구형 아이폰의 성능을 낮췄기 때문이다. SW 업데이트를 통해 구형 아이폰의 사용성을 현저히 떨어뜨린 이유는 무엇일까. 제품을 아껴서 쓰지 말고, 새로 나온 아이폰을 구매하라는 이유 말고는 다른 것이 없다.
물론 애플은 "배터리 부족에 따른 갑작스러운 전원 꺼짐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를 애플의 '배터리 게이트'라고 부르며, 전세계적인 집단소송에 나섰다. 애플은 꼼수의 대가로 소비자들에게 합의금을 지불할 수 밖에 없었다.
애플은 지난해 3월 미국에서 집단소송을 낸 아이폰 사용자(피해자)들에게 최대 5억달러(약 5600억원)의 합의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어 11월에도 미국의 다른 집단소송 피해자들에게 1억1300만달러(약 1260억원)의 합의금을 지불하게 됐다. 이처럼 미국과 프랑스 등 일부 국가의 집단소송은 합의금을 지급하는 조정으로 마무리됐다.
그리고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와 유럽 외 지역에서 애플이 고의적인 아이폰 성능 저하에 대한 합의금 지급이 결정됐다. 칠레의 소비자 단체가 제기한 소송에서, 15만여명의 피해자에게 25억페소(약 39억원)을 배상키로 한 것이다. 피해자 1인 당 최대 50달러(약 5만6000원)의 합의금을 받게 된다.
한국에서도 지난 2018년 3월 국내 소비자 6만4000여명이 집단소송을 내고 진행 중이다. 칠레의 사례에 따라 국내에서도 합의금 지급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애플의 배터리 게이트는 상도의에 어긋나는 파렴치한 행위다. 애플의 변명대로 노후 휴대폰의 배터리 꺼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는 소비자는 없을 것이다. 고의성이 없다고 주장하면서도, 애플은 화난 소비자를 달래기 위해 배터리 교체 비용을 79달러에서 29달러로 대폭 낮추는 정책을 펴기도 했다.
이외에도 애플은 고압적인 AS 정책에 따른 소비자와의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국내 통신사를 대상으로 한 갑질(국내 통신사에 광고비와 수리비를 부당하게 떠넘긴 행위 등)로 악명이 높다. 결국 애플은 국내에 AS와 관련한 1000억원 규모의 상생방안 및 자진시정안을 제출하면서 은근슬쩍 사태를 넘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 아이폰의 아성은 굳건하다. '콘크리트 지지층'이라고 비유할 만한 아이폰 매니아층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 앱스토어 중심의 생태계 구축도 잘 돼 있고, 애플워치·아이패드·무선이어폰 에어팟과 같이 소비자의 기호를 재빠르게 읽어내는 능력 또한 뛰어나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은 시장 점유율 15%로, 삼성전자(19%)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애플 아이폰의 단순한 시리즈 구성을 볼 때, 아이폰의 점유율은 사실상 1위라고 봐도 무방하다. 중저가폰에서 프리미엄폰까지 전방위 공략을 펼치고 있는 삼성 등 다른 업체에 비해 영업이익률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아이폰은 '스마트폰의 시조'격으로 모바일 시대를 상징하는 아이콘과 같은 제품이다. 소비자들이 애플의 갑질과 꼼수에 분노하면서도, 그 상품성과 상징성에 열광하고 있다는 점은 경쟁사들이 눈여겨 봐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