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적이고 까다로운 AS 정책으로 소비자들의 원망이 자자했던 애플이 애플 고객센터 외에서도 수리를 허용하는 것에 결국 동의했다. 내년부터 아이폰이나 맥 PC 사용자들은 제품이 고장났을 경우, 애플을 통하지 않고 직접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가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를 수리할 수 있는 권리를 제조사 밖으로도 확대토록 한 요구를 받아 들인 것이다.
17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2022년부터 아이폰과 맥의 자가수리를 허용하는 '자가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내년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우선 적용된다.
애플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아이폰12나 아이폰13에 한해 부품 및 수리 도구를 직접 판매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후 세계 각국으로 이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이다. 대상 제품의 경우 M1 맥북을 비롯한 애플 전제품으로 단계적으로 늘려갈 방침이다.
애플의 AS 정책은 매우 폐쇄적이고 고압적이었다. 여기에 더해 매우 비싸다. 특히 아이폰 새 제품의 액정이 깨졌을 경우, 반강제적으로 리퍼폰으로 바꿔야 하는 등 소비자 선택권이나 수리권에 대한 배려는 아예 없었다.
그러나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7월 행정명령을 발령했다. 소비자들이 전자기기를 수리해 사용할 권리를 확보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자가 수리를 제한하는 제조업체의 관행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것인데,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기업이 애플이다. 애플의 공동창업자 스티브 워즈니악 또한 소비자의 수리권 보장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여왔다.
이는 소비자 중요한 권리를 빼앗고 있다는 애플에 대한 비판 외에도, 환경 문제와 직결이 된다. 전자제품 쓰레기를 줄이는 데에도 수리권 권리 보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싼 수리비 때문에 망가진 제품을 쉽게 바꾸는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애플의 나쁜 면모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폭로도 있었다. 최근 전자기기 자가수리방법 공유 사이트인 '아이픽스잇'에서, 사설수리점에서 아이폰13의 페이스ID를 수리할 경우 애플이 해당 기능을 강제 정지시킨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이에 소비자들의 거세게 비판을 했고, 여론은 점점 애플에게 불리하게 돌아갔다. 앞서 애플은 아이폰 구입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배터리 성능을 급격하게 낮춰서 신제품 구매를 유도하는 등의 악행(?) 전력이 있기도 했다.
결국 애플은 미국 행정부의 수리권 보장 행정명령과 여론의 악화에 백기를 들고, 논란의 자가수리 금지 정책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