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1분기 실적 들여다보니… 아이폰↓ 맥·서비스↑

[AI요약] 애플은 올 1분기 매출 972억8000만달러(약 124조원)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 성장했다. 당초 시장 전망치인 938억9000만달러(약 120조원)를 크게 웃돈 실적을 보였다. 아이폰 부문의 실적은 감소했지만, 애플 실리콘 기반 맥과 서비스 부문 매출이 크게 증가한 점이 돋보인다. 대형 인수합병 계획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는 상황이다.

팀 쿡 애플 CEO (사진=애플 유튜브 갈무리)

애플이 올해 1분기 실적치를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 세계적 스마트폰 수요 감소와 공급망 이슈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이뤘다는 평가다. 그러나 애플 주가는 시간 외 시장에서 2% 남짓 하락했다.

경제매체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올 1분기 매출 매출 972억8000만달러(약 124조원)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 성장했다. 당초 시장 전망치인 938억9000만달러(약 120조원)를 크게 웃돈 실적을 보였다. 이에 따라 주당순이익(EPS)도 전망치인 1.43달러를 훌쩍 뛰어넘은 1.52달러로 집계됐다.

부문별로는 아이폰 부문 매출이 505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했다. 월가 전망치인 478억8000만달러 역시 웃돈 실적을 보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스마트폰 수요 감소로 인해 매출 증가폭이 둔화된 점은 시장의 우려로 작용했다.

매출 성장 폭이 컸던 부문은 맥과 서비스 부문이다. 애플 실리콘 기반의 신제품으로 좋은 시장 반응을 얻고 있는 애플의 맥 제품은 관련 매출 104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73% 증가했다.

애플 앱 스토어와 애플뮤직, 애플TV+ 등 구독 서비스가 주를 이루며 효자 상품으로 등극하고 있는 서비스 부문은 198억2000만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이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7.28%나 늘어났다. 시장조사기업 마에스트리(Maestri)에 따르면, 애플의 서비스 가입자 수는 지난해 1분기 약 6억6000만명에서 올 1분기 8억2500만명으로 한 해 동안 25% 증가했다.

아이패드 매출은 76억5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 매출이 감소했으나 그 폭이 줄었다는 점에서 선방했다는 평가다.

맥·서비스 매출 증가세 눈길, 대형 인수합병 계획은 "글쎄"

애플은 2분기 실적 전망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여전히 상존하는 코로나19 팬데믹 영향과 시장 불확실성을 이유로 애플은 지난 2020년 2월 이후 실적 전망치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주가 지지를 위한 자사주 매입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애플은 1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애플 이사회가 90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애플은 지난해 약 883억달러 규모로 자사주를 매입한 바 있다. 배당금도 주당 23센트로 5% 인상했다.

애플의 1분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나스닥 시장에서 애플의 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이날 나스닥 시장에서 4.52% 오른 163.64달러에 장을 마쳤던 애플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2.22% 내린 160달러까지 하락했다. 애플의 실적에 대한 기대치가 너무 높았던 부분과 함께 2분기 실적 전망에 대한 시장의 확신이 약해진 것이 주가 하락의 배경이라는 설명이 나왔다.

한편, 인수합병에 대한 애플의 입장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대형 인수합병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혀 배제하지 않는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대형 인수합병 건도 마다치 않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팀 쿡 CEO는 "애플의 초점은 우수한 인재와 IP(지적재산권)를 찾는 일이 우선이다"면서 대형 인수합병 건에 대한 기존의 신중한 입장은 유지했다.

추현우 기자

goodgl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오픈AI ‘샘 알트먼’이 ‘미국 정치판’을 길들인 방법

오픈AI의 CEO 샘 알트먼이 매력적인 언변과 교묘한 로비활동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사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 산업을 대표하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를 매우 공격적으로 비판했던 미국 정치계가 어쩐 일인지 AI 산업을 대표하는 알트먼에게는 부드럽다. 알트먼은 미국 정치판을 어떻게 길들인 것일까.

하루앞둔 미 대선···빅테크들, 트럼프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 이면엔

실리콘 밸리 빅테크 리더들의 친 트럼프 분위기가 트럼프의 잠재적 보복 우려 때문인지, 정부사업 계약으로 보상받길 원해서인지인지, 아니면 해리스 민주당 후보가 승리할 경우 추가 감독 및 규제를 받을까 봐 경계해서인지를 단언할 수는 없다. 하루앞으로 다가온 미 대선 후보에 대한 빅테크 CEO들의 ‘전략적 모호성의 이면을 들여다 봤다.

[인터뷰] 방은혜 밀리의서재 AI서비스본부장 “AI를 접목한 플랫폼 기반 독서 경험 강화,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2016년 등장한 밀리의서재는 오랜 세월 오프라인에 머물고 있던 사람들의 독서 습관을 플랫폼으로 확장하며 독서 경험의 혁신을 이뤄냈다. 그리고 지금, 밀리의서재는 또 한 번의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AI서비스본부’를 신설하고 자사 플랫폼에 AI 기술 접목을 본격화한 것이다. 이에 테크42는 AI 격변이라는 파고에 맞서 정체성을 지켜가며 조용한 혁신을 시도하고 있는 밀리의서재가 나아갈 방향과 전략을 방은혜 AI 서비스본부장을 만나 직접 들어봤다.  

미국, 실리콘밸리서 중국 무인차 업체들에게 눈뜨고 코베이다

중국이 2025년까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고가 되려는 기술에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배터리, 그리고 자율주행차가 있다. 그런데 지난 수년간 미국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중국 자율주행차 업체들에게 중요 정보유출을 당하는 줄도 모른 채 미국땅에서 자사 자율주행차를 마음껏 테스트하고 배워 갈 수 있도록 해 주었다는 지적과 경고가 나왔다. 중국과 기술전쟁중인 미국 연방정부와 주 정부가 중국 자율주행차 기술업체들에게 미국 땅에서 눈뜨고 코베이면서도 모른 채 방치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