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요약] 규제가 성장과 발전을 방해한다는 불만이 있지만 김대표는 규제를 수용하면 발전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대표의 발언은 문화산업에서 정치권의 규제보다는 상호 보완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으며, 게임을 문화산업으로 봤을 때 디지털 배우를 키우는 것이 혁신과 도약을 이끌어 낼 것이라는 그의 사업 철학을 엿볼 수 있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의 소신 발언이 화제다. 국내 ICT(정보통신기술) 업계에서 항상 사업의 발목을 잡는다는 '정부 규제'에 대해 역발상에 가까운 말을 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ICT 업계에서는 "규제가 성장과 발전을 방해한다"는 불만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김택진 대표는 규제를 무조건 반대하기 보단 수용하면 발전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 대표의 이러한 발언은 지난달 27일 엔씨소프트를 방문한 국민의힘 미래산업일자리특위와 가진 비공개 정책간담회에서 나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엔씨소프트의 임원이 김대표의 발언과 그에 담긴 뜻을 설명해 줬다.
"규제에 무조건 반대하기 보다, 아프게 맞으면서 수용하면 그 과정에서 상호 이해가 생기고 서로 변한다고 생각한다."
익명을 원한 해당 임원은 이러한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해 "산업계의 주장만 펼칠 것이 아니라, 왜 그러한 규제가 일어나는지에 대해 산업계 역시 귀담아 들어서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기자에게 설명했다.
게임과 같은 IT산업은 규제 보다는 진흥책이 필요하다는 그동안의 업계 의견에 동의 하지만, 사회적으로 필요한 규제 또한 건전한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로 해석해 달라는 것이다.
김 대표의 발언은 정치권의 규제에 담긴 근거와 산업계의 진행책에 대해 치열하게 논쟁하고 합의하면, 사회발전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취지다. 산업계에서도 정치권의 견제와 규제를 무조건 거부하기 보다 상호 보완할 때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 들일 수 있다.
또한 김택진 대표는 "우수한 젊은 세대 인력의 장점을 경쟁력으로 연결할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신구 세대 차이에 따른 시각의 유연성을 경계했다. 과거 세대의 기준으로 젊은 세대가 부족해 보인다고 속단하지 말고, 젊은 세대의 많은 학습량과 능력을 기존 세대와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이날 감담회에서는 게임 산업에 대한 김대표의 평소 철학도 엿볼 수 있었다. 김 대표는 게임을 디지털 액터(배우)를 만드는 산업이라고 정의했다. 이는 게임의 중요한 기술적 요인이 디지털로 연기하는 배우를 만드는 것이므로, 미래 문화 콘텐츠 또한 디지털 배우의 기반 위에 만들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임을 문화산업으로 봤을 때 디지털 배우를 키우는 것이 혁신과 도약을 이끌어 낼 것이라는 그의 사업 철학을 엿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