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서베이, AI 기반 텍스트 분석 기능 출시…서술형 응답, 주제 및 감정 분석 가능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기업 오픈서베이는 14일 AI 텍스트 분석 기능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미지=오픈서베이)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기업 오픈서베이는 14일 AI 텍스트 분석 기능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오픈서베이는 데이터 분석 기능 강화를 위해 리서치&경험관리 플랫폼 데이터스페이스에서 AI 텍스트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이로써 기업은 VoC(Voice of Customer, 고객의 소리) 파악을 위해 수집한 설문조사 주관식 응답 데이터를 ▲ 비슷한 주제끼리 분류하는 주제 분석 ▲ 어조의 긍정∙부정∙중립성을 평가하는 감정 분석 등으로 실시간 분석할 수 있다. 이밖에 ▲ 다국어 번역 ▲ 유사 텍스트 언급 빈도 확인 ▲ 오타 자동 교정 등도 가능하다.

오픈서베이 측은 “AI 텍스트 분석 기능은 데이터 전문가의 분석 기술과 노하우를 제품에 녹여 탄생했다”며 “고객의 생각이나 감정을 담은 주관식 응답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그 경향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돕는 것은 물론 글로벌 고객 리서치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해 단시간 내 텍스트를 번역하고 분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능은 주관식 응답 데이터 분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사람이 직접 분석할 경우 데이터 1천 개 기준 코딩 및 시각화 작업에 5일가량 소요되는 데 반해, AI 텍스트 분석 기능 활용 시 수 분 내로 완료된다.

또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과정에서의 휴먼 에러(Human error, 인적 오류)도 AI가 보완한다. 데이터 입력 중 발생한 오탈자를 자동으로 수정해 분석하고, 분석자 의견에 따라 데이터를 지나치게 상세하게 분류하거나 분석하는 등의 편향성도 줄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황희영 오픈서베이 대표는 ”주관식 응답 분석은 기업 니즈가 높은 기능으로 정식 출시 전부터 소비재, 식음료, 패션, 금융 등의 주요 기업이 사전 신청해 사용했고 VoC 청취에 큰 도움을 받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며 “추후 사진, 영상 등의 비정형 데이터 분석 기능까지 개발을 이어 나가 기업 고객의 데이터 활용을 도울 예정”이라고 전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한수연 피처링 COO “SNS 트리플 미디어 전략을 통한 마케팅 데이터 구축과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한수연 피처링 COO가 강조한 ‘트리플 미디어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콘텐츠 반응과 인플루언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체크하고 분석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런 점에서 피처링은 글로벌 1600만개의 소셜미디어 채널과 3억개 이상의 콘텐츠를 분석하는 데이터 엔진, ‘피처링 AI’를 통해 브랜드 조건에 맞는 데이터 분석부터 효율 높은 캠페인 데이터 분석을 효과적으로 돕고 있다. 앞서 한 COO는 각각의 미디어 전략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피처링의 활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도 했다.

‘디지털 마케팅 임팩트 2024 현장’…데이터, AI, 그리고 디자인을 통해 찾는 성공적인 브랜드 전략은?

격변을 거듭하고 있는 디지털 마케팅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마케터, 디자이너, 광고 기획자를 위한 컨퍼런스, 올해 4회를 맞이한 ‘디지털 마케팅 임팩트 2024(DMI 2024)’가 ‘디지털 마케팅 임팩트×어바웃디’라는 타이틀로 28일 성대한 막을 올렸다.

디디쌤-모두싸인,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로 시너지 기대

하이브리드 교육 서비스 분야 전문 기업 디디쌤(DIDISAM)과 전자계약 제공 업체 모두싸인(modusign)은 양사 서비스 통합과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오아시스마켓, 부자재 줄인 ‘프리미엄 포장’ 이용률 80% 돌파

새벽배송 전문기업 오아시스마켓은 포장재를 최소화한 ‘프리미엄 포장’을 선택한 주문 건이 전체 주문 건의 80%를 돌파했다고 28일 밝혔다. 오아시스마켓에 따르면 ‘프리미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