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챠가 일본으로 간 이유는?

토종 OTT 왓챠가 일본 시장에 진출한다. 

지난 16일 국내 OTT 서비스인 왓챠(WATCHA)는 16일 일본 전역에서 서비스를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왓챠는 2012년 영화 평가 및 추천 서비스 ‘왓챠피디아(구 왓챠)’로 출발한 기업으로,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인 넷플릭스와 경쟁하며 연평균 191%의 매출 증가율로 빠르게 성장했다. 

현재 570만건 이상의 앱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고, 8만편 가량의 영화·드라마·다큐멘터리·예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왓챠의 일본 시장 공략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정된 국내 시장을 여러 기업이 땅따먹기해서는 성과가 없다고 판단한 것. 왓챠는 일본에서도 국내와 마찬가지로 일본에도 100% 구독형 월정액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며, 월 요금 베이직 790엔 프리미엄 1200엔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박태훈 왓챠 대표는 “일본 서비스 출시는 왓챠가 글로벌 OTT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첫걸음이다”고 말했다.

점유율로만 보면 왓챠는 국내에서도 넷플릭스와 웨이브 등에 밀렸다. 물론 왓챠가 영화, 드라마 콘텐츠에 강점을 가지고 있고, 국내 OTT는 방송 등에 치중됐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규모의 차이가 크다.

 

 

데이터와 ‘K’ 내세워 승부한다면 승산 있어

왓챠는 일본은 다르다고 판단했다. 데이터가 그렇지 않다는 것. 왓챠는 일본에서 2800만개의 데이터를 확보해, 일본 고객층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게다가 실질적인 점유율은 다르다고 봤다.

일본 시장은 넷플릭스, 아마존프라임, 훌루, 유넥스트 등 글로벌, 현지 OTT가 경쟁하고 있지만 최근 일본에 진출한 디즈니플러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10%의 점유율로 독주하는 플랫폼은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OTT 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워낙 커서 차별점만 있다면 꾸준히 수익 창출할 수 시장"이라며, “국내 콘텐츠를 일본에서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K’로 상징되는 영화와 드라마 팬을 잡는다면 승산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일본 OTT 시장의 상황은 그리 녹록치 않다. 우선 국내와 마찬가지로 강한 경쟁 상태가 즐비하다. 임프레스 종합 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유료 OTT 시장 1위는 아마존 프라임비디오로 67.9%, 넷플릭스가 약 19.5%를 차지하고 있다.

 

 

 

유다정 기자

yoodj92@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마루에서 만난 사람] 김연석 제틱에이아이 대표 “AI 기업을 위한 원스톱 온디바이스 AI 전환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멜란지는 현재 베타 버전 단계에서도 전 세계에 보급된 모바일 NPU의 80%에 적용 가능한 수준이다. 향후에는 아직 지원되지 않은 나머지 20%를 채워 나가는 것이 목표다. 궁극에는 NPU가 적용된 세상의 모든 기기에서 동작하는 온디바이스 AI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그 시점을 언급하며 ‘공존하는 생태계’에 대한 구상을 털어놨다.

‘로보택시 Vs. 자차 자율주행’ 미래 교통의 승자는?

자율주행차 업계가 숨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GM이 그동안 투자했던 자율주행 로보택시 기업 크루즈에 대한 투자를 전면 중단한 가운데,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로보택시 자회사 웨이모는 오히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우버는 기존 자율주행차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를 전략을 바꾸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애플은 10년 공들인 자율주행차 사업 포기를 결정했으며 테슬라는 해당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마루에서 만난 사람] 문창훈 파워테스크 대표 “어떤 프로세스, 데이터라도 연동할 수 있는 기업용 업무 자동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문 대표와 파워테스크 팀이 각고의 노력을 거듭해 선보인 ‘아웃코드’는 개발인력이 부족한 중소 스타트업, 중견기업이 맞춤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구글시트, 엑셀, 노션 등 이미 기업들이 업무에 사용하고 있는 솔루션의 모든 데이터를 각각의 워크플로우에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노코드인 만큼 직관적인 환경에서 마우스 클릭만으로 각 회사의 업무 환경에 맞춘 최적화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X는 X’ 일론 머스크의 ‘디지털 타운스퀘어’를 탈출하라

언론인, 스포츠클럽, 영화감독과 배우 등 사회 각층 저명한 인사들이 사용자들의 X 이탈 추세에 합류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후 X 내에서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 반유대주의 등 증오 표현이 증가하고 도덕적 가치가 훼손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