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요약] 네이버와 카카오가 콘텐츠 IP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일본에서도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행보가 지속되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일본 지상파 방송국 TBS와 CJ ENM, 스튜디오드래곤 등과 함께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한다. 카카오픽코마는 일본 종합 콘텐츠 기업 카도카와의 지분을 매수하며 오리지널 콘텐츠 IP 확보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콘텐츠 지식재산권(IP)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일본에서도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행보가 지속되고 있다. 네이버웹툰이 최근 국내 및 일본 기업과의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일본 시장 영향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카카오 역시 일본 카카오픽코마를 필두로 일본 시장 1위를 지키며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에 들어갔다.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일본을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갈 전략적 요충지로 보고 있다. 일본은 만화 시장 규모가 큰 데다 디지털 만화 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합작법인 설립 등 공격적으로 일본 공략, 네이버
네이버웹툰은 일본 콘텐츠 시장 공략을 위해 일본 지상파 방송국 TBS와 CJ ENM, 스튜디오드래곤 등과 함께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한다.
네이버웹툰의 일본 계열사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는 CJ ENM-스튜디오드래곤과 함께 일본 내 합작법인 ‘스튜디오드래곤 재팬’을 상반기 내 설립한다. 아울러 일본 지상파 방송사 TBS, 일본 웹툰 제작사 샤인 파트너스와 함께 5월 중으로 한국 내 웹툰 스튜디오 ‘스튜디오 툰’ 합작법인도 설립한다.
스튜디오드래곤 재팬은 일본에 현지 스튜디오를 설립해 일본을 겨냥한 영상을 제작한다. 네이버는 라인망가가 가지고 있는 IP를 제공하고, CJ ENM과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을 맡는다.
스튜디오 툰은 일본 방송사 TBS와 일본 웹툰 제작사 샤인 파트너스가 한국에 웹툰 제작 스튜디오를 만들고, 오리지널 웹툰을 제작해 네이버웹툰과 라인망가에 선보인다. 또한 TBS는 웹툰 중에서 선별해 드라마로 제작, 일본 안방을 공략하게 된다.
한편, 네이버웹툰은 세계 최대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한 뒤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를 설립한 바 있다. 보유 IP로 영상화를 추진하는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는 현재 10여 개 국가에서 100건 이상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로써 네이버웹툰은 국내와 북미에 이어 일본에서도 영상화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을 발판 삼아 글로벌로, 카카오픽코마
카카오 역시 일본 카카오픽코마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카카오픽코마는 2020년 7월 일본 비게임 앱 부문 매출 1위를 차지하고 시장 점유율 65%로 1위 자리를 굳히고 있다.
카카오는 올해 1분기 보고서를 통해 일본 도쿄거래소에 상장된 카도카와의 주식 80만6400주를 약 242억원에 추가 매수했으며, 총 8.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카도카와는 만화·애니메이션·소설 등 다수의 오리지널 IP를 보유한 일본의 종합 콘텐츠 기업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카카오픽코마가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 IP 확보를 위한 ‘글로벌 IP 얼라이언스’ 구축 전략을 보아 카도카와가 일본 시장 공략의 파트너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3월 프랑스에서도 픽코마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북미 지역에서 2024년까지 연간 거래액 5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카카오 픽코마는 현재까지 전 세계 만화 앱 매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카카오는 앞으로 자·관계사 플랫폼을 통해 북미, 아세안, 중화권, 인도, 유럽 등 글로벌 플랫폼 네트워크를 확대할 계획이다. 2024년까지 글로벌 거래액을 현재 대비 3배 성장을 목표로, 북미, 아세안에 자사 플랫폼 노하우와 콘텐츠 역량을 집중투자한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일본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네이버웹툰은 라인망가를 통해 지난 2013년 일본 시장에 진출했다. 하지만 경쟁사인 카카오픽코마가 빠르게 치고 올라오며 1등 자리를 내줬다. 픽코마는 2020년 7월 일본에서 만화앱 월간 매출 1위를 기록한 이후 지금까지 선두를 지키고 있다.
유럽 웹툰 시장에서는 네이버가 우세하다. 2019년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지난해 독일어 서비스를 출시했다. 올해 프랑스어 플랫폼에 약 200개, 독일어 플랫폼에 100여개 작품을 추가해 콘텐츠를 강화할 계획이다. 북미에서도 월간활성사용자수(MAU) 1400만명을 돌파하며 네이버가 빠르게 치고 나가는 중이다.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