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살아있는 피부로 만든 로봇의 얼굴입니다

[AI요약] 보다 인간과 유사한 사이보그를 개발하기 위해 스스로 치유하고 미소를 지으며 섬세한 살아있는 피부층으로 덮인 로봇 얼굴이 공개됐다. 로봇에게 인간과 같은 외관을 부여하기 시작한지 수십년, 이제 로봇에게 ‘진짜 피부’가 생겼다.

로봇 피부는 스스로 치유하고 미소를 지을 수 있다. (사진=도쿄대학교)

아직은 다소 섬뜩하긴 해도, 스스로 치유하고 미소 지을수 있는 로봇 얼굴이 공개됐다.

실험실에서 배양한 살아있는 피부로 만든 로봇 기술에 대해 뉴욕포스트 등 외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 도쿄대학교, 미국 하버드대학교 등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로봇 피부는 콜라겐 모델에서 성장한 인간 피부 세포의 혼합물로, 대학 연구실에서 만들어졌으며 3D 프린팅된 수지 베이스 위에 배치됐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이 프로젝트의 과학자들은 살아있는 피부가 인간처럼 치유하고 느끼는 로봇을 만드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과 다른 동물에는 피부를 밑에 있는 근육과 조직에 고정시키는 인대 네트워크가 있으며, 이 네트워크는 꽤 잘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연구팀은 살아있는 피부가 인공 기질에 밀접하게 달라붙고 찢어지거나 의도하지 않은 왜곡 없이 다양한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는 버전을 만들수 있는지 테스트했다.

실험실에서 자란 피부는 미소를 지을 수 있는 간단하고 작은 로봇 얼굴에 부착되었으며 조직은 스스로 치유될 수 있다. 인간의 피부가 상처를 치유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로봇 피부가 손상되면 스스로 복구할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터치 및 온도 감지와 같은 감각 기능을 통합하는 것은 살아있는 조직에서 더 실현가능하며, 연구팀은 피부의 진피세포를 먼저 배양한 뒤 그 위에 표피세포를 추가해 구조를 완성했다.

이를 통해 피부와 로봇 사이에 부드럽고 강한 결합이 형성되는데, 이는 피부의 자연스러운 유연성과 강력한 접착 방법은 피부가 찢어지거나 벗겨지지 않고 로봇의 기계적 구성 요소와 함께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이번 연구로 공개된 해당 로봇 피부는 현실적이거나 아름답게 보이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단지 살아있는 조직을 로봇 하부 구조에 부착하는 잠재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실에서 배양된 살아있는 피부를 가진 로봇 얼굴이 공개됐다. (사진=도쿄대학교)

연구실에서 제작된 피부의 능력은 화장품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이 로봇을 한달 동안 웃는 표정으로 두었을 때, 그 조직이 피부의 표정 주름 모양을 복제한 것을 발견했다. 손바닥 크기의 실험실 칩에서 주름 형성 재현을 통해 오히려 주름 형성을 예방, 지연 또는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을 테스트하는 데 동시에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람과 정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로봇에 살아있는 피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구 개발에 10년 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케우치 쇼지 도쿄대학교 교수는 “이 살아있는 피부는 의료, 서비스, 동반자, 휴머노이드 로봇 등 인간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로봇에 특히 유용할 것”이라고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좀더 좀 더 인간과 같은 모습을 얻기 위해 표면 주름과 더 두꺼운 표피의 필요성과 같은 새로운 과제를 확인했다”며 “앞으로 땀샘, 피지선, 모공, 혈관, 지방 및 신경을 통합함으로써 더 두껍고 더 현실적인 피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정민 기자

znryu@daum.net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한수연 피처링 COO “SNS 트리플 미디어 전략을 통한 마케팅 데이터 구축과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한수연 피처링 COO가 강조한 ‘트리플 미디어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콘텐츠 반응과 인플루언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체크하고 분석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런 점에서 피처링은 글로벌 1600만개의 소셜미디어 채널과 3억개 이상의 콘텐츠를 분석하는 데이터 엔진, ‘피처링 AI’를 통해 브랜드 조건에 맞는 데이터 분석부터 효율 높은 캠페인 데이터 분석을 효과적으로 돕고 있다. 앞서 한 COO는 각각의 미디어 전략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피처링의 활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도 했다.

‘디지털 마케팅 임팩트 2024 현장’…데이터, AI, 그리고 디자인을 통해 찾는 성공적인 브랜드 전략은?

격변을 거듭하고 있는 디지털 마케팅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마케터, 디자이너, 광고 기획자를 위한 컨퍼런스, 올해 4회를 맞이한 ‘디지털 마케팅 임팩트 2024(DMI 2024)’가 ‘디지털 마케팅 임팩트×어바웃디’라는 타이틀로 28일 성대한 막을 올렸다.

AI가 작성한 레포트를 제출하면 들킬까요?

이제 인간 학생과 AI가 작성한 레포트의 차이점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 영국의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AI가 제출한 시험은 무사히 대학 시스템을 통과했으며, 오히려 인간 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번 실험으로 인해 앞으로 대학이 학생을 평가하는 방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에만 AI?···이통사들도 AI 도입·활용한다

이통사업자들은 AI 스마트폰의 등장에 따라 AI를 활용하는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을 수 없고 어느새 세계적 추세다 됐다. 이에 따른 기대 효과와 영향으로는 예측적 통신망 관리, 소비자 통신 품질 만족, 효율적이고 즉각적인 고객 문의 대응, 콜센터 일자리 잠식(AI기반 컨택센터 확산에 따른), 그리고 개도국 이통사업자들의 통신서비스 향상 등이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