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으로 구글에 도전장 낸 네이버, 편한 쪽이 이긴다

[AI 요약] 네이버가 이미지 검색 기능을 출시했다. 스마트 렌즈를 통해 이미지를 입력하면 원하는 개념을 바로 찾을 수 있고, 쇼핑 렌즈로 어떤 물건을 찍으면, 비슷한 물건의 쇼핑 정보와 유사한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장 10년 전부터 구글이 먼저 시작한 서비스로, 1, 3가지로 차이에 따른 이용자 분화도 일어날 것이다.


네이버가 이미지 검색 분야 구글의 야성에 도전한다. 네이버가 이미지 검색 기능을 출시했다.

길을 걷다 예쁘게 피어 있는 꽃을 발견하거나 이름을 알고 싶은데 검색하기 애매한 상황. 이런 상황에 네이버 스마트 렌즈를 통해 이미지 자체로 검색이 가능하다.

패션, 인테리어, 잡화, 식물 등을 검색할 때 구체적인 단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여러 차례 다양한 검색어를 입력해야 한다.

하지만, 네이버 스마트 렌즈를 통해 이미지를 입력하면 원하는 개념을 바로 찾을 수 있다.

또 쇼핑 렌즈를 통해 어떤 물건을 찍으면, 그와 비슷한 물건의 쇼핑 정보를 네이버 스토어로 제공한다. 자기가 구매하고 싶은 물건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문자인식은 외국어 번역할 때 유용한 기능이다.

모르는 단어를 비추면 해당 단어를 인식하고 번역까지 도와준다. 또한, 와인라벨을 촬영하면 평점과 랭킹,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로 검색할 시 검색결과로 제공된 이미지를 토대로 추측한 키워드, 추측한 대상에 대한 사전 또는 콘텐츠 정보, 유사한 이미지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유사한 상품 이미지 및 상품정보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이러한 이미지 검색이 가능해졌다.

 

이런 이미지 검색은 약 10년 전부터 구글이 먼저 시작한 서비스이기도 하다. 구글 이미지 검색도 사진 파일을 업로드하면 해당 사진의 정보나 웹 페이지를 검색해준다.

구글 모바일 서비스의 경우 카메라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이미지를 첨부하면  검색 결과가 나온다.

예를 들어 선풍기를 찍어 이미지 검색한다면 비슷한 상품을 파는 상점의 정보부터 해당 제품의 가격까지 모두 알려준다. 그외에도 꽃, 음식, 인물, 상점, 잡화 등 여러 분야를 이미지 검색으로 찾을 수 있다.

향후 양사의 검색 기능에 차이에 따른 이용자 분화도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유다정 기자

yoodj92@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마루에서 만난 사람] 김연석 제틱에이아이 대표 “AI 기업을 위한 원스톱 온디바이스 AI 전환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멜란지는 현재 베타 버전 단계에서도 전 세계에 보급된 모바일 NPU의 80%에 적용 가능한 수준이다. 향후에는 아직 지원되지 않은 나머지 20%를 채워 나가는 것이 목표다. 궁극에는 NPU가 적용된 세상의 모든 기기에서 동작하는 온디바이스 AI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그 시점을 언급하며 ‘공존하는 생태계’에 대한 구상을 털어놨다.

‘로보택시 Vs. 자차 자율주행’ 미래 교통의 승자는?

자율주행차 업계가 숨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GM이 그동안 투자했던 자율주행 로보택시 기업 크루즈에 대한 투자를 전면 중단한 가운데,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로보택시 자회사 웨이모는 오히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우버는 기존 자율주행차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를 전략을 바꾸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애플은 10년 공들인 자율주행차 사업 포기를 결정했으며 테슬라는 해당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마루에서 만난 사람] 문창훈 파워테스크 대표 “어떤 프로세스, 데이터라도 연동할 수 있는 기업용 업무 자동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문 대표와 파워테스크 팀이 각고의 노력을 거듭해 선보인 ‘아웃코드’는 개발인력이 부족한 중소 스타트업, 중견기업이 맞춤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구글시트, 엑셀, 노션 등 이미 기업들이 업무에 사용하고 있는 솔루션의 모든 데이터를 각각의 워크플로우에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노코드인 만큼 직관적인 환경에서 마우스 클릭만으로 각 회사의 업무 환경에 맞춘 최적화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X는 X’ 일론 머스크의 ‘디지털 타운스퀘어’를 탈출하라

언론인, 스포츠클럽, 영화감독과 배우 등 사회 각층 저명한 인사들이 사용자들의 X 이탈 추세에 합류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후 X 내에서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 반유대주의 등 증오 표현이 증가하고 도덕적 가치가 훼손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