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년까지 ‘메타버스 세계 시장 점유율 5위 달성’을 목표로 생활, 관광, 문화예술 등 분야별 메타버스 플랫폼 발굴을 대대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20일 열린 제5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4대 추진전략과 24개 세부과제를 골자로 한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디지털 뉴딜 2.0’ 초연결 신산업 육성을 위해 수립한 첫 번째 종합 대책이다.
현재 시장점유율 12위 추정되는 가운데 2026년 글로벌 메타버스 점유율 5위를 목표로 하고 같은 기간 메타버스 전문가 누적 4만 명, 공급기업 매출액 50억 원 이상 22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 새로운 유형 메타버스 플랫폼 발굴, 지원
정부는 일상생활과 경제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존 플랫폼과 차별화되고 새로운 유형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발굴·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류 콘텐츠 파워를 메타버스 플랫폼의 경쟁력으로 이어가기 위한 전통문화·예술, 게임·애니메이션, 패션,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사업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지역 특화 소재와 메타버스를 결합해 지역 경제 활성화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지자체마다 개별 플랫폼이 난립하지 않도록 통합 플랫폼에 연동해 지원한다.
국민 누구나 디지털 창작물을 대체불가능토큰(NFT)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원하고, 메타버스 활용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 메타버스 인력 양성
정부는 ‘메타버스 아카데미’를 신설해 올해 실무 전문인력 180명을 양성하고, 재직자 등 700명에게 실무역량 강화교육을 제공한다.
이에 메타버스 기술과 인문사회 분야 4년제 대학이 연합한 융합 전문대학원 설립과 운영을 지원한다.
또 석·박사 대상 ‘메타버스 랩’을 올해 10개에서 2025년까지 17개로 늘려 메타버스 솔루션 개발과 창업을 돕고, 실감미디어 분야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 학사와 석·박사 과정도 지원할 방침이다.
▲ '메타버스 허브' 4대 초광역권 확산
메타버스 기업 통합지원 거점으로서 판교를 시작으로 ‘메타버스 허브’를 4대 초광역권(충청·호남·동북·동남)으로 단계적으로 확산한다.
이에 메타버스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실증 시설과 기업 육성 및 인재 양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유망 기업을 발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실증·사업화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M&A 활성화 등 혁신 분야 창업 패키지 사업을 통해 메타버스 스타트업의 사업화를 돕는다.
▲ 메타버스 공동체 가치 실현
정부는 메타버스 윤리원칙을 수립하고, 구체적 실천지침을 도출해 확산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불법 유해 정보를 차단해 건전한 메타버스 환경을 조성하고, 디지털 재화·용역에 대한 실태 점검과 소비자 청약철회권 보장 등으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한다.
아울러 공동체 가치 실현을 위한 서비스 개발과 수요 창출을 돕는 메타버스 사회 혁신 센터가 운영될 예정이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메타버스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지털 신대륙이자 기회의 공간”이라며 “이번 전략을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메타버스 선도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