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지킴이’ 제클린, 대덕벤처파트너스 투자 유치

제주지역펀드운용사 대덕벤처파트너스와 제주도 창업 보육 기업 제클린의 성공적 매칭을 축하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성하 대덕벤처파트너스 파트너, 차승수 제클린 대표, 이병선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사진=제클린)

제주도가 배출한 기후테크 스타트업 제클린은 기술사업화 기업 투자 전문 VC 대덕벤처파트너스(DVP)로부터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3일 밝혔다.

2017년 설립된 제클린은 섬유 제품의 친환경 케어, 재생, 공급, 인증 서비스를 통해 패션 산업이 배출하는 섬유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는 기후테크 스타트업이다. 세탁 서비스를 하던 과정에서 제주도 내에서 버려지는 침구 및 의류 폐기물 6,600여 톤 가운데 대부분이 소각되고 버려진다는 환경 문제에 주목, 유명 호텔 및 리조트 등과의 ESG 파트너십을 통해 면화기반의 원료를 공급하고 이 원료를 통해 재생원사, 재생원단으로 탄생시키는 업사이클링 솔루션 개발에 힘써오고 있다.

제클린은 지난 해 중기부 팁스(TIPS) 선정을 통해 ICT기반의 재생 섬유의 이력 추적, 인증, 보상 플랫폼 개발에 나섰다. 또한 국내 면방적 부문 1위 기업인 일신방직과 재생원사 제품의 개발, 생산, 공급, 관리 등 제반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전략적 제휴를 진행, 재생원료, 원사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섬유 산업 활성화에 나서며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앞서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신용보증기금, 서울대기술지주, MYSC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제클린은 소비자가 직접 뽑은 ‘대한민국 올해의 녹색상품’ 선정, 업계 최초 ‘재생섬유’ GR인증 대상 품목 지정 등 효용가치가 높은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제클린은 이번 투자와 함께 베딩 및 패션 제품의 전 생애 주기 이력 관리, 보상 체계를 기반으로 한 재생 섬유 플랫폼 서비스 구축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최근에는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의 지원 사업 선정에 따라 폐의류 수거와 보상, 재생까지 하나로 연결하는 지속가능한 의류 재생 비즈니스 개발에도 착수했다.

또 다양한 사업 파트너들과의 협력 네트워크 확대에 박차를 가하며 고품질 재생 원료의 안정적 수급 구조 마련은 물론 재생 원사 기반의 응용 제품 확대 및 본격적인 브랜딩화 준비도 착수한다. 유통구조 효율화 및 사업성 극대화를 위해 내륙지역으로의 사업장 확장을 서두르는 한편 전략적 제휴를 통한 남미 시장 진출도 적극 타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석훈 대덕벤처파트너스(DVP) 대표는 “생소하지만 미래 필수 기술로 예상되는 섬유 재생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이루어 내고 있다는 점과 재생 산업에서 필수 요소인 안정적 원료 공급망 구축, 그리고 본 사업의 전략적 동반자 일신방직 및 섬유 업계 제휴사와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미래 성장성을 평가하고 투자를 결정했다”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이 대표는 “향후 재생 비율, 투명한 제조 이력 공개 등 섬유, 패션 산업은 기후위기에 따른 규제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기에 관련 시장의 성장 속 더 많은 플레이어들의 등장은 물론 경쟁도 본격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차승수 제클린 대표는 “이번 투자를 통해 제클린의 재생 원료화 관련 기술력과 재생 섬유 제품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고도화할 것”이라며 친환경 섬유 재생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될 수 있어서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아산나눔재단, 포용적 창업 지원 프로그램 ‘아산 상회’ 2025년 참가팀 모집

아산나눔재단은 포용적 창업지원 프로그램 ‘아산 상회’의 2025년도 참가팀을 모집한다고 24일 밝혔다. 다음달 24일까지 모집이 진행되는 ‘아산 상회’는 아산 정주영 현대...

오렌지플래닛 창업재단 부산센터, 제 3회 대학생 게임 개발자 캠프 성공적

스마일게이트 오렌지플래닛 창업재단(이하 오렌지플래닛)은 부산센터에서 열린 ’제3회 부산 대학생 게임 개발자 캠프(이하 캠프)’를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오렌지플래닛에 따르면 20일...

[인터뷰] 크래용 정래준 대표, 이선영 부대표 “폐원단으로 고부가가치 인테리어 자재를 만들었습니다”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차별적인 디자인의 인테리어 자재를 만들 수 없을까?’ 크래용 팀의 새로운 시도는 이와 같은 질문으로 시작됐다. 그리고 이들은 단기간에 특별한 소재를 개발하고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시중에 존재하지 않은 커스터마이징된 디자인을 탑재한 인테리어 자재를 선보였다. 크래용 팀이 선택한 소재는 다름 아닌 폐기되는 의류 원단이었다.

아산나눔재단, 데스커와 스타트업 사무환경 지원 업무협약 체결

아산나눔재단은 워크 앤 라이프스타일 가구 브랜드 ‘데스커(Desker)’와 스타트업의 사무환경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아산나눔재단과 데스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