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배출량 줄이자" IT기업의 데이터센터 혁신

[AI 요약]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는 it기업들은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노력을 진행 중이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2017년부터 미국의 알래스카나 스웨덴 등에 데이터를 구축해 냉각에 드는 비용을 줄이는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비트코인과 기후변화대책을 세워 2014년 데이터센터 가동률을 친환경적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로 IT 기반의 비대면 서비스가 늘면서, 데이터센터의 전력량도 급증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전력이 들어간다. 방대한 양의 서버와 이를 냉각하는데 드는 막대한 전기 사용량이 필요하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전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은 전체 전력 생산량의 1% 수준이다. 지난해에 이어 2021년 새해에도 코로나19 영향으로 그 사용량은 더욱 늘어 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는 IT기업들이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노력을 다각도로 진행 중이다.

데이터센터 내부 이미지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 내부 이미지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대표적인 IT기업 구글과 페이스북은 지난 2012년부터 데이터센터를 미국의 알래스카나 스웨덴 등의 추운 지역에 데이터를 구축해 냉각에 드는 비용을 줄이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자연의 찬 바람을 이용해 냉각에 필요한 전력 사용을 줄임으로써,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 또한 지난 2012년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2030년까지 탄소 마이너스 실현을 공언했다. 그 일환으로 2018년부터 영국 스코트랜드 북부에 수중 데이터센터 '나틱'을 운영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한 바 있다.

MS의 수중 데이터센터 (사진=마이크로소프트)
MS의 수중 데이터센터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은 지난해 열린 파리기후협정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대책을 세웠다. 자사의 데이터센터와 공장 등에 재생 에너지 사용으로의 전환을 추구한다. 데이터센터 및 생산라인 95개에 대한 재생 에너지 전환 지원책을 발표했다. 올해 초 애플은 기업 운영방침을 '탄소 중립'으로 세우고 2030년까지 전체 공급망과 제품 라인업을 '탄소-프리(carbon-free)'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 중 탄소 배출량 절감에 동참하는 대표적인 IT기업은 네이버다. 지난 2014년  데이터센터 '각'을 강원도 춘천 지역에 설립해 냉각 효율을 낮추는 동시에 지자체의 세금 혜택 지원까지 챙겼다. 특히 냉각 효율 부분에서는 강원도의 찬 공기와 지하수를 활용해 연간 에어컨 가동률을 30일 이하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전경 (사진=네이버)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전경 (사진=네이버)

네이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1년간 21만키로와트시(kWh)의 전력 사용량을 줄여 약 97톤 가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였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관계자는 "올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데이터센터 가동률이 더욱 높아졌다. 네이버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며, "2022년 세종시에 구축하는 데이터센터 역시 친환경적인 설계로 구축/운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창선 기자

july7su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드론? UFO?’ 미국 상공 ‘자동차 크기 비행체’ 정체는?

바다 위를 비정상적인 패턴으로 비행하는 자동차 크기 만한 비행체 50대를 목격한다면? 내 머리 위를 날고 있는 스쿨버스 크기 만한 비행체를 목격하게 된다면? 현재 미국 전역 상공에서 목격되고 있는 미스터리한 비행체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가면서, 진실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1km 밖 인마살상’ 소형드론엔···초강력 레이저 총 탑재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중국 국방과기대학(國防科技大學) 연구진이 그동안 불가능한 것으로만 여겨져 왔던 사람은 물론 장갑차 철판까지 뚫는 초강력 레이저총을 탑재한 소형 드론 개발에 성공했다. 소형 드론에 강력한 레이저총을 탑재할 수 있는 기술력은 지금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기에 주목받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육안으로는 피아 식별조차 불가능한 1km 밖 거리에서도 적군을 정확히 공격할 수 있다.

[인터뷰] 백명현 스테이지랩스 대표 “아티스트와 팬을 연결하는 양방향 라이브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 백명현 대표가 창업한 스테이지랩스는 K-팝 디지털 포토카드 플랫폼 ‘tin(틴)’을 비롯해 CJ ENM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탄생한 글로벌 K-팝 컬쳐 플랫폼 ‘엠넷플러스’, 최근 론칭한 ‘링크(liNC)라는 삼각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그렇게 확보한 글로벌 이용자 수가 무려 1200만명에 이른다. 특히 자체 개발 플랫폼 ‘링크(LiNC)의 경우 이용자의 84%, 누적 매출의 95%가 글로벌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다. 갖 론칭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놀라운 지표가 아닐 수 없다.

트럼프 2기 행정부, AI규제 완화한다는데... AI 산업계 어떻게 달라질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으로 미국의 AI 정책이 큰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AI 혁신과 국가안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바이든 행정부의 AI 규제를 대폭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