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과 유튜브 뉴스이용 강세...2021년 언론수용자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언론수용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4대 뉴스 이용 매체는 TV(83.4%), 인터넷 포털(79.2%),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26.7%), 메신저 서비스(17.2%)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터넷 포털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뉴스 이용이 강세를 보였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며 모바일 인터넷 기반 매체 이용이 다시 늘어난 가운데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은 2020년(66.2%) 대비 3.5%p 상승한 69.7%로 70%에 가까운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으며,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뉴스 이용률은 2.3%p 상승한 26.7%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이 뉴스 매체로서 텔레비전을 제외한 전통매체, 혹은 다른 인터넷 기반 매체보다 더 공고한 위치를 점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뉴스 및 시사정보를 얻는 주요 경로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선택한 비율도 2.8%에서 5.0%로 증가했으며, 특히 60대 이상에서 세 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0.7%→2.6%). 한편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자 중 98.4%가 유튜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플릭스가 20.3%, 네이버TV가 12.2%로 그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특히 넷플릭스는 2019년 이후 이용률이 가파르게 상승했다(2019년: 2.2% → 2020년: 11.0% → 2021년: 20.3%).

올해는 인터넷 기반 매체 중 포털의 이용이 전 세대에 걸쳐 두드러졌다. 포털을 통한 뉴스 이용률은 79.2%로 작년보다 3.4%p 증가했는데 모바일을 통한 포털 뉴스 이용률은 78.5%로 작년보다 3.6%p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대~40대의 모바일을 통한 포털 뉴스 이용률은 90%를 상회하며, 50대도 2020년 77.5%에서 85.9%로 크게 늘었다. PC 인터넷을 통한 포털 뉴스 이용률 또한 전년에 비해 4.9%p 증가한 27.6%였다. 특히 20대는 39.3%에서 48.0%로 8.7%p, 30대는 36.8%에서 48.7%로 11.9%p, 40대는 26.5%에서 32.6%로 6.1%p의 큰 상승폭을 보였다. 인터넷 포털은 뉴스 및 시사정보를 얻는 주요 경로로도 텔레비전(53.9%) 다음으로 많이 선택됐다(35.9%).

뉴스 미디어 유형별로는 텔레비전의 신뢰도(3.74점, 5점 척도 평균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터넷 포털(3.50점)을 제외하고 종이신문(3.37점), 라디오(3.27점) 등 전통매체에 대한 신뢰도가 대체로 높은 편이었다. 반면, 인터넷 기반 매체의 신뢰도는 인터넷 뉴스 사이트(3.22점)를 제외하고 모두 2점대 수준(온라인동영상플랫폼: 2.95점, 메신저서비스: 2.94점, SNS: 2.88점)으로 뉴스 및 시사 전반 신뢰도인 3.32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매체사는 KBS(27.5%), 네이버(17.3%), MBC(11.5%), YTN(9.8%), JTBC(7.0%)의 순으로 나타났다. YTN과 JTBC의 자리가 바뀐 것을 제외하면 순위는 지난해와 같으나 온라인 매체의 약진이 눈에 띈다. 네이버가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라고 응답한 비율은 작년보다 4.5%p나 높아졌다. 또한, 유튜브가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라는 응답은 3.2%로 조선일보(2.8%)와 연합뉴스TV(2.8%)보다도 높았다. 다만 신뢰도에 대한 응답은 영향력 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KBS(23.0%), 네이버(12.6%), MBC(12.4%), YTN(11.4%), JTBC(9.1%) 등의 순으로 영향력 순위와 비슷하지만 유튜브(1.9%)는 10위로 밀려났다. 영향력에 대한 인식과 별개로 신뢰도 면에서는 여전히 기존 언론사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코로나19의 확산이 지속되면서 올해는 코로나19 관련 뉴스 이용 행태를 살펴보기 위한 문항도 추가하였다. 코로나19 관련 뉴스 및 정보를 얻는 주이용 경로로 지상파 채널이 3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터넷 포털(28.7%), 종합편성·보도·기타 TV 채널(19.8%) 순이었다. 이용 경로별 신뢰도와 도움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도 지상파 채널이 각각 38.1%, 36.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터넷 포털(각각 25.8%, 24.9%), 종합편성 채널·보도·기타 TV 채널(각각 21.3%, 21.5%)이 뒤를 이었다(1순위 응답 기준)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팀뷰어가 전망하는 2025년 인공지능 발전 방향은?

이번 전망과 관련해 팀뷰어 측은 “AI가 주도하는 변화는 초기 징후를 보고 있지만 진정한 변화는 AI 기능들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될 때 일어날 것”이라며 AI가 기술 지원을 위한 30초짜리 튜토리얼 비디오를 생성한다거나 교육을 위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등의 방식을 언급했다.  

딥엘이 전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의 시대가 온다”

딥엘의 주요 임원들은 내년에 AI가 단순한 툴을 넘어 협업하는 동료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며,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띤 맞춤형 AI 솔루션이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부터 딥엘 전문가들이 전하는 예측하는 2025년 AI 트렌드를 살펴본다.

아하 커뮤니티 앱 토론 결과, 윤석열 대통령 하야·탄핵 81% 찬성

윤석열 대통령의 향후 거취를 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1주일 간 뜨거운 토론이 벌어져 관심을...

유튜브, 4,600만 사용자로 국내 모바일 앱 1위…AI·가상화폐 앱 급성장

유튜브가 2024년 하반기 국내 최다 이용 모바일 앱으로 집계됐다. 전체 순위를 보면 카카오톡(4,539만 명), 네이버(4,341만 명), 크롬(3,741만 명), 구글(3,682만 명)이 2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쿠팡(3천160만명), 네이버지도(2천626만명), 삼성인터넷(2천268만명), 인스타그램(2천262만명), 배달의민족(2천166만명) 등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