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리스트만 만들어도 돈이 된다고?

알 수 없는 알고리즘으로 알게 된 흥미로운 서비스 <흐름 드 살롱>을 리뷰.

플레이리스트만 만들어도 돈이 된다?

<흐름 드 살롱>은 소셜 오디오 플랫폼으로, 직접 음악을 만들거나, 라디오를 진행하지 않아도 기존의 고퀄리티 콘텐츠를 하나의 플레이리스트로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콘텐츠를 큐레이션 하는 사람도 크리에이터로 활동할 수 있다. 오디오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면서 좋은 콘텐츠가 많이 나온 만큼, 그것을 '골라' 주는 것도 하나의 창작 영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최근 개편한 카카오 <뷰>가 떠오른다. 카카오는 누구나 <뷰 에디터>가 되어 콘텐츠에 대한 자신의 취향과 관점을 '뷰 보드'로 발행할 수 있도록 했다. 뷰 보드를 작성하는 이들은 자신의 보드를 선호하는 사람과 소통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다. 콘텐츠 창작자만이 아닌 편집자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글로 적힌 콘텐츠는 링크를 통해 큐레이션 하면 그만이지만, 오디오는 저작권 때문에 쉽지 않다.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유튜브 영상을 보면 대부분 수익 창출을 할 수 없다. '흐름 드 살롱'이 가진 강점은 저작권이다. 그들은 지상파 라디오나 음원을 저작권 걱정 없이 송출할 수 있도록 음악 저작권을 자체 보유하면서, DJ들이 저작권 걱정 없이 팔로워들에게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살롱>이라는 소셜 오디오 스페이스를 추가해 기존 <흐름>에서 <흐름 드 살롱>이라는 앱으로 재탄생했다.

<흐름>에서 음악을 듣고, <살롱>에서 이야기하고.

<흐름 드 살롱>의 서비스는 두 가지로 나뉘는 독특한 형태다. <흐름 Hreum>에서는 DJ들이 공유하는 플레이리스트를 들을 수 있다. 음악뿐 아니라 MBC, SBS, KBS 등 방송 3사의 라디오도 들을 수 있다. 선정된 흐름은 단순 플레이리스트가 아니고 DJ의 방송이기 때문에 노래를 변경하거나, 순서를 바꿀 수 없다. 마치 방송을 듣는 것처럼 정해진 노래를 들어야 한다. 만약 따로 노래를 듣고 싶다면 아웃링크로 연결되는 유튜브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아마 인앱에서 재생되어야 광고 수익을 배분할 수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살롱 Salon>에서는 클럽하우스, 카카오 음, 스푼 라이브처럼 실시간 라이브를 진행할 수 있다. 최대 8명이 동시에 스피커로 참여할 수 있다. 다른 서비스와 가장 큰 차이점은 연결하는 방식, <흐름>의 플레이리스트 활용, 다양한 토픽 지원이다.

개인이 방송을 만들고 누구나 들어오게 하는 방식의 클럽하우스나 음과는 달리 <살롱>은 랜덤으로 연결된 다른 사람과 방송을 동시에 열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매칭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매우 심심하기>라는 기능을 쓸 수 있는데 앱 내 화폐인 별 10개가 소모된다. 별은 개당 100원 정도이니, 한 번 연결에 1,000원 정도를 쓰는 셈이다.

<살롱>에서 라이브를 진행할 때 '심심하지 않도록' 콘텐츠와 오디오를 지원한다. 다른 DJ들이 만든 <흐름>을 내 라이브에 불러와서 배경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음량도 조절 가능하고, 나에게만 들리게 설정할 수 있다. 카카오 음을 쓰면서 대화 주제가 떨어지면 어색한 상황이 왕왕 있다. 확실히 저작권 걱정 없는 배경음악은 대화의 윤활유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토픽 TOPIC> 기능을 활용하면 라이브 진행이 어색해지지 않도록 이야깃거리를 제공한다. 최근 IT 이슈, 랜덤 질문, 밸런스 게임, 라이어 게임, 음악 이야기 등 토픽을 선정할 수 있고, 이에 관심 있는 시청자가 방송에 유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무나 DJ로 활동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DJ가 흐름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심사 과정이 따로 존재한다. <흐름>에 가입해서 플레이리스트 제목, 장르, 태그를 작성하고 흐름을 구성할 오디오를 30분 이상 구성해야 한다. 다음의 조건에 맞지 않으면 DJ로 승인해주지 않는 것 같다. 마지막 조건의 경우, 걸러내기 까다로울 것 같은데 어떤 기준이 있는지 궁금하다.

  • 같은 가수, 앨범만 공유 (00의 00집 앨범)
  • 같은 노래를 중복, 혹은 연속해서 삽입.
  • 공유가 아니라 개인 청취 목적으로 만든 플레이리스트.

DJ도 크리에이터니까. DJ의 일상 공유와 별 후원.

<흐름 드 살롱>을 쓰면서 가장 참신하면서 어색하다고 느껴졌던 부분은 <DJ 페이지>다.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 DJ들도 하나의 크리에이터기 때문에 Fan들이 팔로우하고, 구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DJ들은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개인 인스타그램 링크로 바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구독자들은 DJ에게 후원하면서 자신의 팬심을 드러낼 수 있다. 앱을 둘러보면서 각 DJ들이 후원받은 내역을 살펴보니 보통 5000원 ~ 5만 원 선으로 가볍게 선물을 전하는 것 같다. 다만, 큐레이팅 형태로 콘텐츠를 만드는 DJ들이 자신의 일상을 왜 공유하고 싶어 할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실제로 피드에 아무것도 올리지 않은 DJ들이 많았고, 올린 사람도 자신의 사진보다는 상관없는 이미지와 짧은 글이 주를 이루었다.

플레이리스트와 라이브 방송, 왜 동시에 해야 할까?

나만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들고, 사람들과 공유하여 수익까지 낼 수 있는 <흐름>, 그리고 클럽하우스, 카카오 음처럼 <흐름>을 활용해서 라이브를 진행할 수 있는 <살롱>. 두 서비스 모두 매력적이다. 다만 왜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는 사람이 방송도 해야 하지?라는 점은 의문이다. 아직까지는 두 개로 나뉜 서비스가 하나의 서비스처럼 잘 연결되지 않고 약간 힘겹게 붙여놓은 느낌이 든다. <라이브 방송 기능>, <다른 사람과 음성 연결>, <플레이리스트 공유>, <일상을 공유하는 Feed> 각각 기능이 서비스의 강력한 가치 제안으로 묶여야 할 필요성이 보인다.

그럼에도 카카오 뷰처럼 콘텐츠 큐레이터를 하나의 크리에이터로 규정하려는 시도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앱 완성도가 떨어져서 플레이리스트를 재생하면 재생 핸들이 화면을 뚫고 나가버린다거나(?)하는 현상을 발견하기도 했지만, 앞으로의 발전이 궁금해지는 서비스. 작게나마 응원해본다.

본 글의 원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바다김

jyee5001@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미니 PC부터 코파일럿까지, 마이크로소프트가 생각하는 컴퓨팅의 미래 [이그나이트2024]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2024에 담긴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미니 PC가 주목받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인공지능과 클라우드를 중심에 둔 마이크로소프트의 전략이 잘 보이는...

퇴사는 배신? No! 제대로 헤어지는 법

오프보딩(Off-Boarding)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보통 몇 번의 이직을 할까요?  커리어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10명 중 7명이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는데요....

테크놀로지 아트의 현재와 미래

디지털 미술 유통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요 연구 : 인터뷰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한 디지털 미술 유통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요 연구에 조사기관인...

아마존 하울, 테무 열풍을 잠재울 수 있을까?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테무의 트래픽이 불과 2년 만에 아마존의 91% 수준에 도달했고, 곧 추월할 수도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겁니다. 성장 정체에도 불구하고 테무는 빠르게 서비스 대상 국가를 확장하고 있고, 현재는 무려 70개국 이상으로 진출한 덕분인데요.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는 아직 아마존에 미치지 못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은 아마존도 무시할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