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AI 기술 양적 팽창했지만, 질적으로는 기대 이하"

인공지능(AI)은 최근 국내 빅테크 트렌드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걸맞게 우리나라의 AI 기술은 지난 10여년 간 빠른 속도의 양적 팽창을 이뤄냈다. 그 결과 AI 특허 출원 규모는 세계 4위 수준을 기록했다. 좋아하긴 이르다. 그 특허의 질적 수준이 미국, 캐나다 등 AI 강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KAIST 혁신전략 정책연구센터(CISP)와 클래리베이트가 AI 분야의 기술혁신 및 주요 이슈를 공동으로 분석한 보고서(글로벌 AI 혁신경쟁 : 현재와 미래)에 드러난다. 

CISP는 2010~2019년 세계 주요 10개국이 출원한 14만7000여 건의 AI 기술 특허 및 특허 인용지수 등을 분석, AI 발명을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 전개 상황을 파악하고 향후 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 등을 제안했다.

 

AI 특허, 질적으로는 미국 vs 양적으로는 중국 

이 기간 세계 AI 특허 출원 수는 연평균 31.2%씩 증가할 정도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양적인 측면은 중국이 주도하고 질적인 측면에서는 미국이 단연 앞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출원한 AI 발명 특허는 9만1236건으로 전체 AI 특허 출원의 60% 이상을 차지했고, 다음은 미국(2만4708건), 일본(6754건), 한국(6317건), 독일(2280건), 대만(1501건), 캐나다(960건) 등이 뒤를 이었다.

특허인용지수(CPI)로 특허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결과 10개국 CPI 지수 평균은 14%였고, 각국 특허 중 CPI 상위 10% 특허의 비율은 미국과 캐나다가 각각 43%와 약 26%로 1, 2위에 올랐다.

우리나라는 CPI 상위 10% 특허 비율이 약 8%로 1, 2위에 크게 못 미쳤다. 특허 출원 규모가 가장 큰 중국은 CPI 상위 10% 특허가 약 5%였고 일본은 약 7%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AI 기술 발명 증가율과 CPI 상위 10% 비율을 동시에 고려할 때 미국, 캐나다, 영국 등이 AI 기술 선도 그룹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은 양적인 성장 비중이 큰 국가들과는 대비된다고 밝혔다.

김원준 CISP 센터장은 "한국이 전체적인 발명 규모 대비 기술 영향력이 저조한 것은 개선돼야 한다. 이제는 양적인 성장보다는 우수한 기술력 기반의 질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국, 원천기술 등 인재 양성 부문 취약

우리나라는 기초·원천 기술을 연구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 부문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의 AI 특허 출원은 산업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대학이 약 30%,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약 15%를 차지해 산업계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캐나다, 영국 등과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대학은 CPI 상위 10% 특허 비율이 2.8%로 산업계(11.8%)와 출연연(9.5%)보다 훨씬 낮아 국내 AI 특허의 전체적 수준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각국 대학의 CPI 상위 10% 특허 비율은 미국이 37.1%, 캐나다 20.7%, 영국 10.1%, 대만 8.3%, 중국 6.0% 등이었다.

한국은 AI 기술 발명의 규모 면에서 세계 4위에 있지만 그 영향력 측면에서는 더 우수한 기술혁신이 필요하다. 세계적 수준의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글로벌 기술혁신을 고려한 '국가 차원의 AI 전략'이 요구된다.

김원준 센터장은 "AI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질적 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과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AI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긴밀한 산학 협력 체계가 필요하고, 무엇보다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며 "대학 혹은 정부 출연연이 인재 양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윤거성 펄스애드 대표 “셀러의 광고 효율을 높여주는 글로벌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설립 직후 시드 투자 유치에 이어 아마존 광고 기술 분야 파트너 선정, 이어진 CJ ENM으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팁스 선정 등이 모두 지난 몇 개월 사이에 펄스애드가 이뤄낸 일들이다. 놀랍도록 빠른 속도로 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는 펄스애드의 전략과 무기, 다가오는 새해의 계획은 무엇일까? 오는 28일 개최되는 ‘디지털 마케팅 인사이트 2025(DMI 2025)’에서 ‘리테일 미디어의 성장과 브랜드의 채널 전략 변화’를 주제로 발표를 앞둔 윤거성 대표를 만나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어봤다.

‘2024 빅테크 성적표’ AI 지출과 기업 점유율 보기

올해 빅테크의 AI에 대한 기업지출이 올해 500% 급증해 약 19조원을 쏟아부은 것으로 집계됐다. 그동안 AI 시장의 선두에 있었던 오픈AI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50%에서 올해 34%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경쟁사인 앤트로픽의 챗봇 모델 클로드 3.5의 활약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AI부터 암호화폐까지 ‘트럼프 2기’ 변화할 핵심 ‘기술 정책’

도널드 트럼프가 백악관으로 복귀하고 공화당이 양원을 장악하면 의심할 여지 없이 기술 분야가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철학과 함께, 규제보다 혁신에 기반한 그의 행정부 정책은 AI, 사이버 보안 및 기타 핵심 기술 정책 분야의 글로벌 역학을 크게 바꾸면서 급속한 기술 발전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킬러 위성이 등장했다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1977)에 등장한 ‘데스스타’(죽음의 별)는 가상의 우주 정거장이자 슈퍼무기다. 이 영화에 영감을 받은 중국 과학자들이 실제로 ‘데스 스타’를 만들었다. 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은 이 무기는 마이크로파 빔을 집중시켜 적의 위성을 쓸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