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소문만 무성하던 ‘한국판 뉴딜’이 베일을 벗고 실체를 드러냈다.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은 대한민국의 새로운 100년 설계”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에 오는 2025년까지 국고 114조원을 직접 투자하고 민간과 지자체까지 포함해 약 160조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를 통해 임기가 종료되는 2022년까지 약 89만개, 2025년까지 약 19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아울러 “튼튼한 고용·사회 안전망을 토대로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을 두 축으로 세워 세계사적 흐름을 앞서는 선도국가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한국판 뉴딜의 구체적 청사진
정부가 이날 발표한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에 고용사회안전망 강화를 축으로 한다. 먼저 디지털뉴딜에 58조2,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90만3,000개를 만든다.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뉴딜·그린뉴딜을 양대 축으로 한다. 당장 올해 3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편성한 4조8,000억원을 포함해 2022년까지 67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이후 2023~2025년 3년간 92조3,000억원을 더 투자해 총 160조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에는 각각 58조2,000억원, 73조4,000억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정부는 디지털뉴딜로 65만9,000개, 그린뉴딜로 33만9,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강화 차원에서 공공데이터 14만개를 공개해 ‘데이터 댐’을 구축하고 2022년까지 초중고교에 고성능 와이파이를 100% 구축할 예정이다.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자 20만명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기기를 보급해 1차의료 질환 관리를 하며 비대면 의료에도 시동을 건다.
그린뉴딜에는 73조4,000억원을 투입해 일자리 65만9,000개 창출에 나선다. 공공임대주택·어린이집 등 노후건축물 23만채부터 제로에너지화를 추진하고 스마트그린도시 25곳을 조성한다. 저탄소·분산형에너지 확산을 위해 전기차 113만대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하며 노후경유차 116만대의 조기 폐차를 지원한다.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160조원을 투입하는 한국판 뉴딜을 통해 추격형에서 선도형 경제로, 탄소 의존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대전환을 이루겠다는 각오다.
고용사회안전망 강화에는 28조4,000억원을 투자해 새 일자리 33만9,000개를 만든다. 1,367만명인 고용보험 가입자 수를 2025년에는 2,100만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2차 고용안전망인 국민취업지원제도도 내년 1월부터 도입한다. 문 대통령은 5개년 계획을 제시하며 “우리 정부의 마지막 해인 2022년까지 국고 49조원 등 총 68조원을 투입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은 대한민국 대전환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판 뉴딜에 투입되는 160조원 중 63%에 이르는 100조9,000억원은 이른바 ‘10대 대표과제’에 집중된다.
10대 과제는 디지털뉴딜 3개와 그린뉴딜 3개, 디지털·그린 융합과제 4개로 각각 구성됐다. △데이터 댐 △인공지능(AI)형 정부 △스마트 의료 인프라(이상 디지털) △그린 스마트 스쿨 △디지털 트윈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스마트그린 산단(이상 융합과제) △그린 리모델링 △그린 에너지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이상 그린)로 사업이 나뉜다.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과제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28조9,000억원) 사업이다. 전기차와 수소차를 각각 113만대, 20만대 보급(누적)하고 노후 차량·선박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한다.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한 사업용 수소차 연료보조금도 올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충전소는 450곳까지 늘린다.
그린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서는 15년 이상 노후 공공임대주택과 어린이집·보건소·의료기관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고 단열재는 고성능 제품으로 교체한다. 박물관 등 문화시설 1,148곳에는 에너지저감장치가 설치된다. 태양광 사업은 주민참여 이익공유 형태로 추진되고 주택·상가 20만곳에 신재생설비 설치비를 지원하는 그린 에너지 사업도 추진된다.
디지털뉴딜 중 핵심 과제는 이른바 ‘데이터 댐’ 사업이다. 14만2,000개 공공데이터를 대외에 전면 개방해 활용도를 높이고 올 하반기 중 범국가적 데이터 정책을 수립할 민관합동 컨트롤타워를 설립할 계획이다. 전국에 5세대(5G) 이동통신망을 깔기 위한 세제 지원도 추진된다. 현재 14.3%인 5G 보급률을 2025년 70%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AI형 정부 사업을 통해서는 행정·공공기관 100% 클라우드 전환, 공공서비스 80% 이상 디지털화가 추진된다. 국회와 중앙도서관 소장 학술지·도서 125만건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10대 과제 중에는 스마트 의료 인프라 사업도 포함됐는데 사실상 비대면 의료 도입을 위한 시도로 읽힌다. 입원 환자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의료기관 협진이 가능한 디지털 기반 스마트병원 18개를 설립하고 호흡기 전담 클리닉도 내년까지 총 1,000개를 설치한다.
그린 스마트 스쿨 사업을 통해서는 2022년까지 전국 38만개의 초중고 교실에 와이파이를 조기 구축하고 노후 PC와 노트북도 교체한다. 최소 2,890개 학교 건물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고 단열재도 친환경으로 교체하는 작업도 진행한다. 아울러 원격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원격교육기본법 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판 뉴딜의 수혜주는 어디?
향후 5년 동안 그린뉴딜에는 73조 원, 디지털 뉴딜에는 58조 원의 투자가 들어가면서 증시에도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재원이 투입되는 국가적 프로젝트인 만큼 영향 또한 클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국판 뉴딜의 양대 축 중 하나인 '그린 뉴딜'과 관련해서는 신재생 에너지가 관심 업종으로 꼽힌다. 이에 태양광, 풍력 등 관련 업체들이 부각되고 있다. 전기차, 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수소차 관련주도 관심이 커질 전망이다. 이미 수혜주로 점쳐지며 기대를 모아 왔지만 이날 예정된 발표와 함께 수소관련 업체들이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과 관련해선 디지털 인프라 관련주, 언택트 관련주, 클라우드 관련주가 주목된다. 5G와 관련해서 KT·SK텔레콤·LG유플러스 등 통신주뿐 아니라 장비주들의 수혜도 점쳐지고 있다. 또한 언택트 대표주인 카카오, 네이버도 한국판 뉴딜 정책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제회복과 혁신성장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가 가속화 될 전망"이라며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수혜주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온라인화, 클라우드, 재택근무, 원격진료와 관련된 주식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