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아마존웹서비스)을 시작하기 전인 2000년대 초반, 아마존은 몇 분기 내 파산을 앞에 두고 있었다.
서버 유지 등 운영 비용을 점점 늘어났고 수익은 점점 둔화됐다.
변화를 통한 도전이 필요한 시기였다.
그때 제프 베조스 전 CEO는 물었다.
"1900년에는 회사 내 전력 발전기가 있었고, 지금은 없다. 2000년에는 데이터센터가 있다. 이 역시 옮길 수 있지 않을까?"
물러나는 제프 베조스, 직원들에게 "발명하고 호기심 유지하길"
그렇게 아마존은 클라우드로의 전환하는 도전을 감행했다.
실패한다면 아마존 홈페이지는 문을 내리지만, 성공한다면 인프라 비용의 80%를 감소할 수 있다.
그렇게 아마존은 서버를 오픈소스 기반의 리눅스로 교체하며 데이터센터를 회사 밖으로 빼냈다.
지금 AWS의 시작이다.
그리고 2006년 아마존은 공식으로 AWS를 론칭했고, 기하급수적으로 확장하는 인터넷 생태계와 함께 급성장했다.
2020년 4분기 아마존은 1000억 달러 매출, 213억 달러 순이익을 올렸다. 전년 대비 84% 성장이다.
코로나 19로 전 세계인의 온라인 쇼핑액 폭주는 물론, 온라인 커머스 확장에 따른 클라우드 사용량 증가 효과다.
"이제 전산실은 없습니다"
그 이후 클라우드 업계는 무한 확장했다.
가트너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약 400조 원으로 전망된다.
올해보다 약 40% 성장한다는 예상이다.
그러면서 IT 기업의 숙명과도 같았던 전산실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이제 전살실이라는 이름의 데이터센터가 남아 있는 곳은 일부 공공기관이나 금융권 뿐이다.
최근에는 그마저도 클라우드로 전환 중이다.
게다가 우리 정부는 현재 각 행정기관·공공기관 전산실에 흩어진 IT시스템을 2025년까지 모두 클라우드로 이전·통합할 계획이다.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컨퍼런스'에서 하승철 행안부 디지털정부 기반 총괄은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 향후 행정·공공기관은 자체 전산실을 가질 수 없다"고 단언했다.
여기서 일부 경우란 국가 안보 관련을 의미한다.
"서비스만 잘 만들면 된다"
클라우드의 활성화는 작은 기업의 창출로도 이어졌다.
커머스 스타트업 대표 고진영(가명)도 자신의 창업은 클라우드 덕분이라고 말한다.
엔지니어 출신인 그는 과거 데이터센터 비용에 대한 망설임 때문에 항상 창업을 망설이곤 했다.
그러다 3년 전에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가 우리나라에 확산된 시기에 맞춰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고 대표는 "벽은 없다. 이제 정말 서비스만 잘 만들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창업 지원 사업인 예비창업패키지로 창업하고, 초기 창업 지원 사업까지 수행 중이다.
많은 기업들이 더 이상 인프라를 구축할 걱정 없이 도전적으로 각종 서비스를 론칭하기 시작했다.
무리한 인프라 도입으로 운영 비용에 대한 고민도 사라졌다.
클라우드 이후 100만 이상의 MAU를 유지할 수 있는 서버 유지는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