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 수준 학교 인프라 뜯어고친다

인터넷 강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의 학교 교육 인프라는 후진국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낙후된 학교 정보통신 인프라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전체 학교의 77%가 가정 인터넷 속도의 10분의1 수준으로 교실에서 고용량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도 어렵고, 원격교육 역시 차질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사진=교육부
사진=교육부

국회 교육위원회 박찬대 의원(인천 연수구갑)은 24일, 열린 교육·문화·사회 대정부 질문에서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그린 뉴딜 사업, 교육재정 증액 등 국가 교육의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중점적 질의를 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지금의 학교는 일부 신축시설을 제외하고 건물은 노후화되고, 공간구조 또한 19세기의 교실형태를 유지해 고교학점제와 같은 미래교육 방향과 수요를 감당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학교 내 정보통신 인프라 역시 매우 낙후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18년 교육부가 실시한 초중등학교 학내망 실태조사에 의하면 전체 학교의 77%가 가정 인터넷 속도의 10분의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뉴딜, 학교 디지털 인프라에 15조3천억 투입

'한국판 뉴딜'을 통해 교육 분야에서는 디지털 교육과 학교 인프라 개선에 집중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또 원격 교육 활성화를 위한 '원격교육기본법(가칭)'도 제정한다.

교육 분야에서는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의 디지털 인프라 도입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둔다. 전국 초·중·고에 디지털 기반 교육 인프라를 조성한다. 2022년까지 전체 학교 교실 38만실에 고성능 와이파이 구축을 완료한다.

교원의 노후 PC와 노트북 20만대도 교체한다. 온라인 교과서 선도학교 1200개교에 교육용 태블릿PC 24만대도 지원할 계획이다.

다양한 교육콘텐츠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학습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통합 플랫폼'을 구축한다. 플랫폼에서는 학습관리, 평가 등 학습 전단계 지원이 가능하다.

원격교육기본법도 제정된다. 원격교육기본법에는 원격교육의 정의, 기본계획 수립, 학교 원격교육 지원사항 등이 담긴다. 코로나19로 원격 수업이 대중화되는 등 교육 환경이 급변하자 이에 따른 관련 법 제정 필요성이 커졌다.

정부는 친환경과 디지털을 융합한 '그린 스마트 스쿨' 구상도 발표했다. 안전하고 쾌적한 녹색환경과 온·오프라인 융합 학습공간을 구현할 방침이다. 초중고 에너지 절감시설 설치 및 디지털 교육환경을 조성한다. 노후학교 대상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및 친환경 단열재 보강공사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학교 내부는 고성능 와이파이가 구축돼 원격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정부는 교육 여건이 열악한 노후학교를 중심으로 5년 동안 2890곳에 15조3000억원을 투자하면 12만4000개의 일자리가 더 생길 것으로 추산했다.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팀뷰어가 전망하는 2025년 인공지능 발전 방향은?

이번 전망과 관련해 팀뷰어 측은 “AI가 주도하는 변화는 초기 징후를 보고 있지만 진정한 변화는 AI 기능들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될 때 일어날 것”이라며 AI가 기술 지원을 위한 30초짜리 튜토리얼 비디오를 생성한다거나 교육을 위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등의 방식을 언급했다.  

딥엘이 전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의 시대가 온다”

딥엘의 주요 임원들은 내년에 AI가 단순한 툴을 넘어 협업하는 동료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며,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띤 맞춤형 AI 솔루션이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부터 딥엘 전문가들이 전하는 예측하는 2025년 AI 트렌드를 살펴본다.

아하 커뮤니티 앱 토론 결과, 윤석열 대통령 하야·탄핵 81% 찬성

윤석열 대통령의 향후 거취를 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1주일 간 뜨거운 토론이 벌어져 관심을...

유튜브, 4,600만 사용자로 국내 모바일 앱 1위…AI·가상화폐 앱 급성장

유튜브가 2024년 하반기 국내 최다 이용 모바일 앱으로 집계됐다. 전체 순위를 보면 카카오톡(4,539만 명), 네이버(4,341만 명), 크롬(3,741만 명), 구글(3,682만 명)이 2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쿠팡(3천160만명), 네이버지도(2천626만명), 삼성인터넷(2천268만명), 인스타그램(2천262만명), 배달의민족(2천166만명) 등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