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생이 왔다더니, 이제는 알파세대가 온다고?

임홍택 작가의 <90년생이 온다>라는 책이 있었다. '회사 내에서는 막내급 사원이면서도 시장에서는 트렌드를 이끌어나가는 중심'이라고 언급하면서 90년대생의 문화와 트렌드를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고 있다. (일종의) '기성세대를 위한 가이드북'이라고 하니 지금의 MZ세대를 이해하기 위한 참고서 같은 개념이라 하겠다. 사실 세대를 구분하는 책은 적지 않다. 서점에만 가도 쉽게 볼 수 있다. 지금 이 사회는 굳이 세대를 나누고 있지만 결국 같은 '인간(human)'이고 동일한 시대를 살고 있지 않은가. 물론 태생의 시기가 다르고 그에 따라 수용하게 되는 문화와 트렌드에 반응하는 '원초적이면서 근본적인' 본능 역시 다를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 이러한 가이드북이 필요했던가. 과거에도 X세대라 칭하며 '젊은 사람들'의 트렌드를 꼬박꼬박 다루기도 했지만 이만큼이나 세대를 구분했던 적이 있을까? 1900년대를 넘어 2000년대로 넘어왔지만 밀레니엄이라는 키워드 자체도 촌스러워진 만큼 세상이 변했고 <90년생이 온다>라고 하는 책의 제목처럼 정말 우리(기성세대)는 90년대생을 마냥 어린아이가 아닌 현실세계의 후배들로 맞이하게 되었다. 학교나 회사라는 공간에서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지니 특별한 가이드북 없어도 (비록 같은 세대는 아니더라도) 사람으로서 동료로서 서로를 이해하며 지내고 있는 중이다. 그런 와중 MZ세대와 90년생에 이어 Z세대와 알파세대로 그 중심축이 천천히 이동하는 걸 목격하고 있다. Z세대 이른바 '젠지'(Generation Z)  출처 : personifycorp.com/blog

세대(Generation)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온 각자의 환경과 사회와 문화와 현재의 시간을 반영하고 또 구분 짓는다. 기업들의 홍보나 프로모션 전략 역시 이를 반영하기도 한다. 신문이나 방송, 책을 포함한 수많은 미디어에서 이를 꾸준하게 이야기한다. 심지어 광고에서도 말이다. 그러니 우리 머릿속에 어느 순간 자리를 잡고 아예 떠나질 않는 것 같다. 'MZ'라는 알파벳이 새겨져 있는 지금 이 순간 우리는 그다음 세대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때'를 맞이했다. 얼마 전 90년생이 왔다더니 이제는 알파세대가 온단다. 우린 또다시 이들 세대를 위한 가이드북을 펼쳐봐야 하는 것인가?

 알파세대(Generation Alpha)  출처 : goodmorningamerica.com via ABC news

그렇다면 알파세대의 특징은 무엇일까? 알파벳 순서만 봐도 X, Y 그리고 Z세대(MZ에서 M은 '밀레니엄')까지 온 셈인데 여기서 끝이 아니라면 다시 알파벳 'a'부터 시작하는 것일까? 이를 구분하기 위해 알파벳 'a'를 '알파'라고 읽고 2010년 이후에 태어난 어린 세대들을 지칭한다. 알파세대를 다루는 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일부 글에서는 2010년 초반부터 2020년 중반까지 걸쳐있다고도 한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는 지금 세대들에게는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있는 그대로 경험해왔다. 5G 시대에 이르렀고 자율주행을 논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이 생활에 안착한 그야말로 테크놀로지 사회를 살고 있다. 그런 와중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까지 경험하고 있는 중이다. 기술 발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 알파세대는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라 아무렇지 않게 컴퓨터나 태블릿을 만지고 또 경험한다. 말하자면 기술 고도화 속에서 태어난 세대인 것이다. 미디어에 노출되는 모습 역시 결코 어색하지 않은 '일상'이 되어버렸다. 김난도 교수가 매년 내놓고 있는 '트렌드코리아' 2023년 버전에서도 알파세대를 두고 '전교 1등'이나 '엄친아'보다 특정 분야에서 인정받는 이들을 바라본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저출산 고령화 사회 속에서 태어나고 자라난 아이들이 철저하게 자기중심적이라 주인공 환상을 가진다고도 했다. 

디지털로 진화하는 인류, 호모 사피엔스.  출처 : una nueva especie homo-digitalis

어떤 전문가들은 (알파세대를 두고) 디지털 호모 사피엔스 혹은 모바일 호모 사피엔스라고도 한다. 좀 더 과하게 말하면, (Z세대에 이어 새로운 알파로 넘어가는 세대의 변화에 대해) 아예 새로운 종족의 탄생처럼 빗대어 이야기하기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사피엔스(Sapiens)'는 라틴어로 '현명하다'는 뜻이고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현명한 인류'를 의미한다. 사실 우리 모두 같은 '호모 사피엔스'라는 개념 속에 태어나고 또 그렇게 살고 있다. 디지털 호모 사피엔스라던가 가상과 현실의 융합 속에서 태어난 디지털 신인류인 것처럼 '메타 사피엔스'라는 말도 하지만 결국 다 '인간'이다. 아무리 디지털화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어쨌든 지금의 세대를 잇는 아이들이니 위에서 언급한 종족으로서 구분 짓는 인류가 아니라 '대한민국(우리)의 미래'라고 하는 편이 훨씬 편하고 정겹게 느껴진다. 

지금의 아이들은 인공지능과 대화를 하고 디지털 디바이스를 자유롭게 다룬다. 충분히 그럴만하다. 기성세대가 보기엔 굉장히 놀라운 발전일 수 있다. 그렇다고 지금의 아이들이 아예 책을 보지 않거나 '디지털'이라는 것과 24시간 내내 붙어있는 것도 아니다. 책도 읽고 그림도 그리고 놀이도 한다. 다만 디지털이라는 것 자체가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폭넓게 자리하고 있다는 것. 그것은 곧 기술 친화적 세대라는 걸 증명한다. SNS라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트렌드가 기술 역사에 있어 아주 짙은 기록이 되었고 유튜브를 넘어 틱톡이라는 숏폼까지 다양한 플랫폼들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트렌드와 기술을 결합한 'Be Real'이라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도 생겨났다. 심지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2022년 올해의 앱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숏폼이라는 것도 10대들 주도하에 트렌드를 이끌어냈던 동영상 플랫폼이라고 봐도 무방하겠다. 로블록스 역시 어린 세대들을 중심으로 확장된 오픈월드 세계관의 플랫폼이었다. 틱톡이나 로블록스 내에서도 콘텐츠가 꾸준하게 소비되고 있지만 동시에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크리에이터의 역할도 함께 하고 있다. 다양한 콘텐츠를 접하면서 상호 소통하는 것 역시 어색하지 않게 이뤄지고 있다는 걸 쉽게 볼 수 있을 것이다. 트렌드의 다양성과 무한한 콘텐츠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나아가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넘나들면서도 디지털 테크놀로지라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Generation Alpha.   출처 : currencymarketing.ca

MZ세대를 넘어 알파세대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이러한 트렌드를 주도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해가 거듭될수록 또 어떠한 것들이 탄생할지 알 수 없다. 알파세대도 시간이 흐르면서 나이가 들 것이고 그들을 잇는 또 다른 세대가 전혀 다른 트렌드를 이끌게 될지 모를 일이다. 

어쩌면 디지털이라는 것과 소통하는 알파세대가 부모든 친구들이든 진짜 '인간'과 불통하는 사례들이 생겨날 수도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들이 있다. SNS를 통해서야 자신의 기분을 이야기하고 로봇이나 인공지능과 대화를 하거나 메타버스라는 공간에서 자신을 대변하는 캐릭터를 통해 활동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도 딱히 다르지 않지만) 일부 미디어나 전문가들은 알파세대의 성향과 특징을 단정 짓기도 하지만 반드시 이뤄내야 할 행복추구보다 디지털 친화에만 집중하는듯 하다. 디지털이라는 세계는 무한하지만 인간은 아날로그가 공존하는 현실세계와 동떨어져 살 수 없다. 결국엔 함께 살아가야 하는 운명, 우리는 그들의 성향과 그들이 일으키는 문화적 트렌드까지 제대로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겠다.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이룬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편리하면서도 삶의 질을 높여주지만 정말 행복한가에 대한 문제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다. 이러한 변화를 온몸으로 맞이하는 알파세대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리얼 행복'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도록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이 글의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pen잡은루이스

tech42@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K-예능 성공 공식

얼마전에는 <흑백요리사>라는 예능 콘텐츠가 큰 인기를 얻었는데, 올해 최고의 히트작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흑백요리사>의 성공은 K-예능의 잠재력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는데, 2013년 넷플릭스에서 큰 사랑을 받았던 또 다른 K-예능 <피지컬 100>과의 공통점이 눈에 띤다. 

"RPG에서 OTT로", 한국 모바일 시장 변화

"한국은 여전히 강력한 게임 시장이지만, MMORPG의 수익 감소는 숏폼 비디오, 웹툰, OTT 서비스 등으로 인한 콘텐츠 경쟁의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기업의 탄소 배출, 데이터 시각화로 관리할 수 있을까?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공급망 탄소 배출량 대시보드 유난히 더웠던 이번 여름, 여러분은 탈 없이 보내셨나요? 해가 져도 가시지 않는...

다이소에서 만 원짜리를 팔게 된다면

유통업계가 소문 만으로도 긴장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모두가 긴장했을 겁니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다이소 가격대가 1만 원까지 확대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