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이루다'가 남긴 숙제...AI 윤리 제도 개선 나선다

[AI 요약] 최근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이루다'의 개인정보보호 논란이 빼놓을 수 없었습니다. 각종 지원사업과 제도개선을 통해 AI 서비스를 지원하고 AI 윤리규범을 구체화 하는 정책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최근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이루다'의 개인정보보호 논란이 거셉니다.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들이 나왔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AI 윤리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 계기였기도 하죠. 성희롱과 성소수자 및 장애인 혐오 발언 학습. 인종차별까지 인간의 추악한 본성이 드러나는 장소가 돼버렸습니다. 젠더 문제도 불거졌고요. 결국 숱한 논란 끝에 이루다 서비스는 운영 중단을 하게됐습니다. 이루다가 남긴 숙제가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죠.

이에 따라 정부도 관련 제도 개선에 나섰습니다. 사실 AI 윤리 제도는 안했다기 보다 못했던 부분이 크죠. B2C 개념의 활성화된 서비스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어찌보면 이루다가 큰 일을 한 걸까요?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루다를 계기로, AI 이용자와 사업자에게 교육과 컨설팅을 지원하고 AI 윤리규범을 구체화 하는 등 정책 기반을 마련키로 했습니다.

방통위는 국내 ICT 제도 규제기관입니다. 규제는 혁신산업에 불필요한 걸림돌이 되기도 하지만, AI 윤리와 같이 민감한 부분에는 꼭 필요한 규제들을 만들어 넣어야 합니다.

방통위는 AI 윤리에 대해 이렇게 강조했습니다.

"최근 AI 채팅 로봇(이루다)의 혐오·차별적 표현, 이루다 대한 이용자의 성희롱성 발언 등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사업자·이용자·정부 등 모두가 AI 윤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각자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와 함께 사람 중심의 AI 서비스가 제공되고, AI 서비스가 활용되는 과정에서 이용자 보호원칙이 지켜질 수 있도록 각종 지원사업과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AI 챗봇 '이루다' (이미지 = 이루다 페이스북)
AI 챗봇 '이루다' (이미지 = 이루다 페이스북)

AI 윤리 제도 어떻게 바뀌나?

이에 대해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AI 서비스는 많은 순기능이 있지만 올바른 윤리와 규범 없이는 이용자 차별과 사회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기술 혜택은 골고루 누리되 부작용은 최소화하도록 사람 중심의 AI를 위한 정책을 촘촘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먼저 정부는 AI 서비스에서 이용자 보호를 가장 큰 원칙으로 삼아 이용자 교육과 사업자 컨설팅, 제도개선 등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올해부터 이용자에게 AI 서비스의 비판적 이해 및 주체적 활용에 대한 교육을 시작합니다. 이용자가 AI 서비스에 활용된 알고리즘의 편향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안 등을 포함돼 있습니다.

내년부터는 AI 윤리교육 지원 대상을 이용자에서 사업자로 확대해 스타트업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 설계 시 AI 역기능 등 위험관리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AI 서비스 이용자 보호를 위해 규범과 제도를 구체화합니다.

앞서 2019년 11월 차별금지와 인간존엄성 보호 등을 골자로 한 ‘이용자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원칙’을 토대로, 이를 실천할 구체적 사례와 방법 등을 업계와 공유할 계획입니다.

특히 사업자의 규제 부담 및 AI 서비스의 혁신 저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민간의 모범 사례를 적극 발굴해 실행 지침의 토대로 삼을 방침이라고 하네요. 중장기적으로는 이용자에게 피해를 야기한 AI 서비스의 책임 소재 및 권리구제 절차 등을 포괄하도록 기존 법체계를 정비합니다.

이를 위해 방통위는 지난해 1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내에 지능정보사회 정책센터를 설립하고 지난해 9월부터 센터 내 법제 연구반을 구성해 운영 중입니다.

아직은 전체적인 방향성만 세워진 상황입니다. 이용자들과 사업자에게 어떻게 실적용이 되는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겠죠. 제 2의 이루다 서비스가 나왔을 때, 우리의 AI 윤리는 조금이나마 나아졌을까요?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헤즈볼라 겨냥한 ‘죽음의 삐삐’ 폭발···멀웨어, 문자, 그리고 의문의 헝가리 업체

17일 오후(현지시각) 중동 분쟁지역 중 하나인 레바논 여러 도시에서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 대원들의 무선호출기(페이저·일명 삐삐) 수천대가 치명적인 폭발을 일으켰다. 분명해지는 것은 이번 사건이 사전에 무선호출기 공급망과 어떻게든 연결돼 있었고 여기에 폭약이 들어갔을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에 멀웨어와 휴민트 개입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가장 유력한 배후로 이스라엘이 의심받고 있지만 확증은 없고, 이스라엘은 함구하고 있다.

“당신은 인간인가요?” 샘 알트먼의 디스토피아 ‘월드ID 홍채 디지털 여권’

갑자기 온라인에서 우리와 공존하는 다른 존재가 생겨나 다른 사람들과 구별할 수 없게 되며, 심지어 그들은 매우 똑똑하다. 문제는 AI의 특정 목표는 사회가 원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을수 있다는 점이다. 샘 알트먼은 그가 만들고 있는 AI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우리를 구하고자 한다. 그의 계획은 지구상의 모든 사람의 눈동자를 스캔하고 자신이 만든 암호화폐로 모든 거래를 지불하게 만들려는 시도가 포함된다.

전기차 전환 흐름에 퍼펙트스톰···EU거인들이 맞닥뜨린 고통스런 진실

올초부터 서서히 부상하기 시작한 전기차의 낮은 성장세가 유럽의 전기차 제조업체들의 완전전기차 전환 계획을 잇따라 연기 또는 폐기하게 만들고 있다. 세계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전기차전환 계획 항로에서 퍼펙트스톰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저렴한 모델 부족, 느린 충전소 인프라 확대, 미중 기술경쟁에 따른 중국산 차량에 대한 관세 부과 부담 등이 그것이다. 사진은 완전 전기차로의 전환계획이나 당초 계획한 새 전기차 출시 계획 및 완전전기차 전환 시점을 연기한 볼보와 메르세데스 전기차 컨셉카(왼쪽부터)와 폭스바겐의 차량들이다.

‘AI FOR ALL’, 머신러닝 솔루션으로 몰로코가 만들어가는 ‘AI 수익화’ 혁신

몰로콘24 키노트 발표에 나선 안익진 몰로코 대표. 애플, 구글, 메타 등이 구축한 글로벌 광고 생태계의 영향력을 벗어나 독자적인 머신러닝 솔루션으로 혁신을 선보이는 기업이 바로 몰로코다. 몰로코는 스트리밍 플랫폼·앱·게임·커머스 등의 분야에서 고도화된 자사의 머신러닝 솔루션을 적용해 놀라운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어 냈고, 그 결과 2020년 150억원을 기록했던 매출은 최근 1.5조원으로 100배 급증하며 시장에 놀라움을 던지고 있다. 그러한 몰로코의 성과와 비즈니스 혁신 사례는 최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신한카드 아티움에서 개최된 ‘MOLOCON SEOUL 2024: AI FOR ALL’을 통해 소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