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시동 거는 ESG, 새로운 아젠다 될까?

ESG 경영은 단순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그치지 않는다.

ESG로 돈이 몰리고 있다.

ESG란?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약자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그 예로 환경은 탄소 배출, 친환경 제품 개발 등, 사회는 인적 자원 관리, 하도급 거래, 공정 거래 등, 지배구조는 주주 권리, 이사회 구성 및 활동, 감사제도 등이다.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에 따르면, ESG를 필수 조항으로 설정한 자산의 규모가 22년 말 약 60조 달러(6경 735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자산운용 시장이 ESG에 대한 기업의 성과를 투자 잣대로 삼겠다는 의미다.

2019년 기준, 미국 GDP가 21조 4277억 달러, 우리나라가 1조 6463억 달러임을 감안한다면, ESG를 실행하지 않는 기업은 투자 고려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미국의 경우, 2025년까지 전문 투자 자산의 절반 이상이 ESG를 필수 조항으로 설정된 기업으로 향할 전망이다.

이를 반영하듯 월스트리트저널, 모건스탠리, 스탠더드앤드푸어스 등 미디어, 글로벌 지수 기관도 ESG를 기업 평가 요소에 포함하고 있다.

이제 ESG 추진은 '왜 해야 하는가'가 아닌, '어떻게 해야 하는가'로 질문을 달리해야 하는 때가 됐다

네이버, 중장기 전략 세워 추진

지난 달, 네이버는 컨퍼런스콜을 통해 ESG 경영 추진 상황을 공유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의 ESG 경영은 목표와 계획에 맞춰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2040 카본 네거티브'를 수행하는 환경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친환경 이커머스 생태계 조성, 인재 유치 및 양성, 파트너 성장 지원 확대, 주주가치 제고 등 4가지를 핵심 골자로 하는 중장기 ESG 경영 전략을 공개한 바 있다.

'2040 카본 네거티브'는 이산화탄소 감축량을 배출량 보다 줄이겠다는 계획으로, 2050년까지 '0(ZERO)' 상태인 탄소 중립을 만들겠다는 정부의 목표보다 한발 더 나아갔다.

해외의 경우, MS가 2030년까지 카본 네거티브를 달성하고, 2050년까지 MS가 배출한 모든 이산화탄소의 양만큼을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미 MS는 탄소 중립을 달성한 상태다.

네이버의 ESG  이슈 구분

카카오, 오너가 나서서 ESG 위원회 이끌어

카카오는 역시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1월 사내 ESG 위원회를 신설했다. 위원장은 김범수 의사회 의장이 맡는다.

오너가 나서서 ESG 경영에 무게를 두고 움직이겠다는 의도다.

카카오의 경우, 기부 플랫폼 카카오같이가치 등 사회 관련 사업을 주도적으로 펼쳐왔다.

ESG위원회를 통해 범위를 환경과 지배구조 영역으로까지 확장해갈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인 로드맵은 오는 상반기 중 발표되는 카카오 ESG 보고서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관리 애매한 ESG 데이터, 비즈니스도 꿈틀

그러나 ESG는 측정하기 애매한 수치들로 이뤄졌기 때문에, 이를 데이터화해 성과 측정하기 쉽지 않다.

삼성SDS에 따르면, 국내 기업 ESG 데이터 수집 및 작성의 수작업 의존도는 90%에 달한다.

이 때문에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신뢰도 역시 높지 않기 때문에 ESG 관련 비즈니스도 꿈틀거리고 있다.

한 벤처캐피탈(VC) 관계자는 "기업의 ESG 역시 성과의 하나로, 향후 재무 요소처럼 기업 평가 지표로 자리잡을 것"이라며, "이를 관련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니즈도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출처:삼성SDS 데이터 기반 디지털 ESG 추진방안
ESG 활동 데이터 수집에 IT를 활용하지 않는 기업이 압도적으로 많다. (출처:삼성SDS 데이터 기반 디지털 ESG 추진방안)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마루에서 만난 사람] 김연석 제틱에이아이 대표 “AI 기업을 위한 원스톱 온디바이스 AI 전환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멜란지는 현재 베타 버전 단계에서도 전 세계에 보급된 모바일 NPU의 80%에 적용 가능한 수준이다. 향후에는 아직 지원되지 않은 나머지 20%를 채워 나가는 것이 목표다. 궁극에는 NPU가 적용된 세상의 모든 기기에서 동작하는 온디바이스 AI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그 시점을 언급하며 ‘공존하는 생태계’에 대한 구상을 털어놨다.

‘로보택시 Vs. 자차 자율주행’ 미래 교통의 승자는?

자율주행차 업계가 숨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GM이 그동안 투자했던 자율주행 로보택시 기업 크루즈에 대한 투자를 전면 중단한 가운데,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로보택시 자회사 웨이모는 오히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우버는 기존 자율주행차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를 전략을 바꾸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애플은 10년 공들인 자율주행차 사업 포기를 결정했으며 테슬라는 해당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마루에서 만난 사람] 문창훈 파워테스크 대표 “어떤 프로세스, 데이터라도 연동할 수 있는 기업용 업무 자동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문 대표와 파워테스크 팀이 각고의 노력을 거듭해 선보인 ‘아웃코드’는 개발인력이 부족한 중소 스타트업, 중견기업이 맞춤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구글시트, 엑셀, 노션 등 이미 기업들이 업무에 사용하고 있는 솔루션의 모든 데이터를 각각의 워크플로우에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노코드인 만큼 직관적인 환경에서 마우스 클릭만으로 각 회사의 업무 환경에 맞춘 최적화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X는 X’ 일론 머스크의 ‘디지털 타운스퀘어’를 탈출하라

언론인, 스포츠클럽, 영화감독과 배우 등 사회 각층 저명한 인사들이 사용자들의 X 이탈 추세에 합류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후 X 내에서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 반유대주의 등 증오 표현이 증가하고 도덕적 가치가 훼손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