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가 클라우드 끝판왕이 된 이유는?

[AI 요약]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위치는 압도적이다. 시장 점유율에서 확실하게 드러난다. AWS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며 매우 저렴하다는 강점을 가진다. 지속적으로 AWS 서비스 가격 인하에 따른 잠재 고객 유인 효과가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미 클라우드는 금융의 위상을 넘어섰다. 클라우드워스(cloudwars)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상위 10위 클라우드 기업의 시가총액 합계는 약 5조 2000억 달러(한화 약 6068조 4000억원)로, 은행의 시가 총액 합계인 약 4조 8000억 달러(약 5601조 6000억원)보다 4000억 달러 이상 높다.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의 위치는 압도적이다. 아마존의 AWS,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 구글의 GCP는 하이퍼 스케일 급의 클라우드 공급 업체로 묶이지만, AWS 앞에는 '울트라'라는 수식어까지도 붙어야 할지 모른다. 이는 시장 점유율에서 확실하게 드러난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0년 기준 AWS의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IaaS) 시장 점유율은 40.8%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위인 MS 애저 점유율 19.7% 보다 2배 이상 높다. 2017년에는 AWS를 통하는 컴퓨팅 사용량이 AWS를 제외한 14개 기업의 컴퓨팅 사용량을 합한 것보다 무려 10배가 넘는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무엇이 이토록 AWS를 크게 만든 것일까? 현 아마존 CEO이자, 전 AWS CEO였던 앤디 제시는 AWS의 강점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간단하다. AWS는 규모의 경제를 이뤄 매우 저렴하다"

그도 그럴 것이 AWS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날로 규모를 키워가면서 서비스 제공 가격을 인하하는 정책을 펼쳤다. 2019년 기준 무려 67차례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그럼에도 영업이익률은 30% 수준이다.

삼성증권 글로벌 리포트에 따르면, AWS 서비스 가격 인하에 따른 잠재 고객 유인 효과가 오히려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성장이 가격 인하로 인한 매출액 감소 효과를 압도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AWS의 '클라우드 선순환' 비즈니스의 핵심이기도 하다.

클라우드 선순환, '성장'이 '감소'를 압도한다

사실 AWS의 시작은 아주 작았다. 아마존을 운영했던 제프 베조스가 작은 기업들이 웹사이트 같은 인프라에 너무 많은 비용을 들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했던 실험(?) 같은 것이었다. 그래서 무엇보다 저렴해야 했다. 그래서 작은 기업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이들 기업은 AWS를 더 많이 사용하고, 또 이게 다시 투자로 이어졌다.

그때의 작은 기업들에 넷플릭스, 에어비앤비, 슬랙 등 지금은 '잘 나가는' 기술 기반 IT 서비스 기업들이 포함돼있다. 그 기업들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더 큰 인프라가 필요해졌고, 덩달아 AWS도 함께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출처: AWS

삼성전자의 AWS 도입 이유는 AWS가 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과정을 그대로 보여준다.

삼성전자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에 AWS를 도입한 것에 대해, 윤진수 삼성전자 빅데이터그룹 상무는 "삼성전자는 매년 수 억대가 넘는 전자기기를 판매하고 있다. 이렇게 판매한 기기를 IoT의 영역으로 확대 중"이라며, "클라우드 서비스는 시스템 운영 비용이 효율적이고, 인프라에서 나오는 데이터가 자연스럽게 분석 환경으로 넘어가야 하며, 이러한 관리 시스템을 매우 쉽고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을까? 아니다.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당근마켓, 마켓컬리, 지그재그, 클래스101, 선데이토즈 등 성장을 예약해 둔 기업들이 AWS의 주요 고객이다. 물론 삼성전자, 대한항공, 카카오, LG전자, 카카오, 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 KBS, CJ오쇼핑 등 다수 기업이 AWS 기반으로 자신들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WS의 선순환은 계속되고 있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마루에서 만난 사람] 김연석 제틱에이아이 대표 “AI 기업을 위한 원스톱 온디바이스 AI 전환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멜란지는 현재 베타 버전 단계에서도 전 세계에 보급된 모바일 NPU의 80%에 적용 가능한 수준이다. 향후에는 아직 지원되지 않은 나머지 20%를 채워 나가는 것이 목표다. 궁극에는 NPU가 적용된 세상의 모든 기기에서 동작하는 온디바이스 AI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그 시점을 언급하며 ‘공존하는 생태계’에 대한 구상을 털어놨다.

‘로보택시 Vs. 자차 자율주행’ 미래 교통의 승자는?

자율주행차 업계가 숨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GM이 그동안 투자했던 자율주행 로보택시 기업 크루즈에 대한 투자를 전면 중단한 가운데,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로보택시 자회사 웨이모는 오히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우버는 기존 자율주행차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를 전략을 바꾸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애플은 10년 공들인 자율주행차 사업 포기를 결정했으며 테슬라는 해당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마루에서 만난 사람] 문창훈 파워테스크 대표 “어떤 프로세스, 데이터라도 연동할 수 있는 기업용 업무 자동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문 대표와 파워테스크 팀이 각고의 노력을 거듭해 선보인 ‘아웃코드’는 개발인력이 부족한 중소 스타트업, 중견기업이 맞춤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구글시트, 엑셀, 노션 등 이미 기업들이 업무에 사용하고 있는 솔루션의 모든 데이터를 각각의 워크플로우에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노코드인 만큼 직관적인 환경에서 마우스 클릭만으로 각 회사의 업무 환경에 맞춘 최적화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X는 X’ 일론 머스크의 ‘디지털 타운스퀘어’를 탈출하라

언론인, 스포츠클럽, 영화감독과 배우 등 사회 각층 저명한 인사들이 사용자들의 X 이탈 추세에 합류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후 X 내에서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 반유대주의 등 증오 표현이 증가하고 도덕적 가치가 훼손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