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벽 기어오르는 로봇···그리고 꽤 쓸 만한 용도

벽을 기어오르는 로봇이 개발돼 실제로 활용될 전망이라고 뉴아틀라스가 지난 1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영국 워윅대 스핀오프인 하우스보츠(HausBots)는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의 위험을 대신할 ‘HB1’ 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벽을 타고 기어오르며 심지어 천장을 가로질러 가므로 사람들이 더 이상 높은 곳에서 위험한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해 준다.

▲‘HB1’ 로봇은 두 개의 팬(선풍기)을 사용해 자신의 몸체 하부와 벽 사이에 진공 상태를 만든다. 이를 통해 몸 아래로 향하는 힘을 만들면서 스스로 벽이나 천정에서 지탱한다. (사진=하우스보츠, 워윅대)

잭 콘스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이 로봇으로 건물외벽 도장을 할 경우 속도는 3배나 빠르고, 위험은 제로(0)이며, 비용은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밝히고 있다.

‘HB1’ 로봇은 현재 시장 진입을 앞두고 있다.

이 로봇은 4개의 고무타이어로 된 바퀴를 가지고 있으며, 110볼트(V) 전기줄을 통해 지상에 있는 원격 제어 장치에 연결돼 있다.

HB1은 최대 6kg의 부착물을 탑재(장착)해 벽을 기어 오르면서 분무 도장 작업을 하거나, 육안과 초음파 센서로 구조물을 검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 내용에 따라 정밀한 집게를 사용하고, 도장 작업시에는 분무용 기구를 사용한다.

▲HB1은 주로 리모콘으로 작동하지만 벽면 전체에 대한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사진=하우스보츠, 워윅대)
▲HB1은 최대 6kg의 부착물을 탑재(장착)해 벽 분무 도장 작업을 하거나 육안과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는 구조물 이상 검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 내용에 따라 정밀한 집게를 사용하고, 도장 작업시에는 분무용 기구를 사용한다. (사진=하우스보츠, 워윅대)

HB1 로봇이 이처럼 높은 건물 벽이나 기둥에 매달려 오르고 심지어 천정까지 가로질러 다닐 수 있는 원리는 두 개의 통합된 팬(선풍기) 사용에 있다.

이들은 아래로 향하는 힘을 내기 위해 로봇의 앞쪽과 뒤쪽 아랫부분에서 공기를 끌어 들이고, 그 공기를 곧바로 등쪽으로 밀어 내 보낸다. 로봇은 이 설정을 통해 평면이나 곡면, 거칠거나 매끄러운 표면들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전기 도관과 같은 작은 장애물 위로 굴러갈 수 있다.

하우스보츠는 현재 자사 웹사이트를 통해 예비 구매자들을 업데이트 등록을 위해 초청하고 있다. 현재 가격이나 언제 구입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다.

아래 동영상을 통해 HB1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볼 수 있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팀뷰어가 전망하는 2025년 인공지능 발전 방향은?

이번 전망과 관련해 팀뷰어 측은 “AI가 주도하는 변화는 초기 징후를 보고 있지만 진정한 변화는 AI 기능들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될 때 일어날 것”이라며 AI가 기술 지원을 위한 30초짜리 튜토리얼 비디오를 생성한다거나 교육을 위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등의 방식을 언급했다.  

딥엘이 전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의 시대가 온다”

딥엘의 주요 임원들은 내년에 AI가 단순한 툴을 넘어 협업하는 동료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며,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띤 맞춤형 AI 솔루션이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부터 딥엘 전문가들이 전하는 예측하는 2025년 AI 트렌드를 살펴본다.

아하 커뮤니티 앱 토론 결과, 윤석열 대통령 하야·탄핵 81% 찬성

윤석열 대통령의 향후 거취를 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1주일 간 뜨거운 토론이 벌어져 관심을...

유튜브, 4,600만 사용자로 국내 모바일 앱 1위…AI·가상화폐 앱 급성장

유튜브가 2024년 하반기 국내 최다 이용 모바일 앱으로 집계됐다. 전체 순위를 보면 카카오톡(4,539만 명), 네이버(4,341만 명), 크롬(3,741만 명), 구글(3,682만 명)이 2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쿠팡(3천160만명), 네이버지도(2천626만명), 삼성인터넷(2천268만명), 인스타그램(2천262만명), 배달의민족(2천166만명) 등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