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콘텐츠의 새로운 바람 CCO

저작권은 경제적 측면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자라면 누구나 주의를 기울이는 부분입니다. 그러나 블루칩 PFP인 BAYC가 홀더들에게 저작권 사용을 허락하며 NFT의 선두주자였던 크립토펑크를 앞지른 사례가 있습니다.

지난 글 참고

NFT 대장, 크립토 펑크의 위기 

NFT 아트의 변화와 발전

M1 및 M2 혈청을 사용하여 생성된 돌연변이 유인원. BAYC

BAYC가 이후 큰 주목을 받자 크립토펑크 역시 홀더들에게 IP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겠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습니다. 크립토펑크 홀더들이 어떻게 IP를 사용할지 그리고 홀더들의 새로운 생각이 더해져 어떻게 확장될지 기대됩니다. 이처럼 과거 저작권에 엄격했던 예술 시장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행보가 NFT생태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저작권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 있음 'All rights reserved'
  2. 저작권의 조건부 사용 가능 'Some rights reserved'
  3. 저작권 없음 'No rights reserved'

오늘 이야기할 부분은 3번으로 저작권자가 IP 사용을 허락하는 'No rights reserved는 COO(Creative Commons Zero)로 표기합니다. 이 표기가 있는 저작물은 저작권자가 권리를 공유하는 것으로 누구나 사용 가능합니다. 굳이 출처를 표시해야 할 의무 없이 저작물을 자유롭게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으며 상업적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들은 왜 경제적 측면을 포기하며 저작권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 걸까요?

바로 문화의 형성과 기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젝트의 확장을 촉진하여 보다 활기차고 참여도가 높은 커뮤니티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좋은 작품이라도 문화적 관련성에 따라 그 성공 여부가 달라지게 됩니다. 저작권을 허용할 경우 각 개인의 경험과 각 국가의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재생산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최근 새로운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는 밈이 가진 능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밈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가 생성되고 공유됨에 따라 공동의 가치를 공유하는 집단의식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더 많은 해석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플라이휠 효과를 통해 각 추가 콘텐츠 또는 상품이 원본의 가치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결국 플랫폼 네트워크 효과와 유사하게 더 많은 사용자가 합류할수록 더 가치가 높아지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NFT커뮤니티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가치 계층을 구축할 수 있는 CCO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낯선 사람들과의 신뢰를 형성하고 협력할 수 있게 하며 콘텐츠의 맥락이 중요한 NFT씬에서 참여자가 공동의 스토리를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게 합니다.

앞으로 CCO는 NFT 프로젝트가 IP를 개발하고 구축할 때 취할 수 있는 많은 전략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이는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풍부하고 확장된 생태계의 잠재력을 창출하는 NFT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크립토펑크와 BAYC와 같은 블루칩 NFT들의 CCO행보가 문화의 다양성을 만들고 선한 영향을 발휘하여 더 다양한 CCO프로젝트가 탄생하길 기대합니다.

본 기사의 원문은 이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NFT 아트 연구가

parkjejung14@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RPG에서 OTT로", 한국 모바일 시장 변화

"한국은 여전히 강력한 게임 시장이지만, MMORPG의 수익 감소는 숏폼 비디오, 웹툰, OTT 서비스 등으로 인한 콘텐츠 경쟁의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기업의 탄소 배출, 데이터 시각화로 관리할 수 있을까?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공급망 탄소 배출량 대시보드 유난히 더웠던 이번 여름, 여러분은 탈 없이 보내셨나요? 해가 져도 가시지 않는...

다이소에서 만 원짜리를 팔게 된다면

유통업계가 소문 만으로도 긴장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모두가 긴장했을 겁니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다이소 가격대가 1만 원까지 확대될...

비전프로 국내 출시에 앞서... (지난 반년의 경험, 그리고 비전 OS 2의 가능성)

애플의 증강현실(AR) 헤드셋 ‘비전 프로’가 11월 15일 드디어 국내 시장에 출시됩니다. 비전 프로는 지난 2월 미국에서 첫 출시된 이후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