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8일 개최된 ‘NEXT MOBILITY: NEMO 2023(이하 NEMO 2023)’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CTO는 ‘AI로 움직이는 이동의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 연설을 통해 AI 대전환 시대에 대비하는 카카오모빌리티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과 AI 기반 플랫폼 생태계 조성 계획 등을 설명했다.
이날 유 CTO의 기조 연설에 앞서 개회사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가 디지털 전환(DX)으로 국내 모빌리티 시장을 혁신 산업으로 진화시키며 플랫폼 주권을 확립해 온 길을 되짚어 보고, 챗GPT로 촉발된 AI 대전환의 시대 속 카카오모빌리티 플랫폼이 지닌 가능성과 비전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모빌리티 시장의 혁신, ‘글로벌’ ‘자율주행’ ‘로보틱스’ 그리고 ‘AI’로 이어간다
유 CTO는 “우리나라는 다양한 플랫폼들이 풍성한 생태계를 형성하며 플랫폼 주권을 확보하고 있는 몇 안되는 국가”라며 “카카오모빌리티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경쟁을 위해 2015년 카카오 T 택시를 출범하며 오프라인 중심의 운송 산업을 디지털전환(DX)해 국내 모빌리티 시장을 혁신 산업으로 진화시킨데 이어,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AI 기반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시대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카카오모빌리티는 인터넷의 등장, 모바일 시대로의 전환에 이어 AI가 몰고 올 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발굴해 나가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 초에 인수한 글로벌 모빌리티 중개 플랫폼 ‘스플리트(Splyt)’를 중심으로 해외 차량 호출 서비스를 크게 확장했으며, 국내에 입국하는 해외 여행객들을 위한 인바운드 서비스도 기술 개발을 마치고 서비스 개시를 준비 중이다. 또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개발해 온 자율주행, 운행 관제 및 디지털트윈 등의 기술을 공유하고, 미래를 이끌 새로운 AI 기술 비전을 제시해 AI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국내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유 CTO는 “이번 NEMO 2023을 통해 글로벌, 자율주행, 로보틱스, 그리고 인공지능의 무한한 가능성을 포함해 미래 대한민국의 플랫폼 생태계의 미래를 선보이고자 한다”며 ‘AI로 움직이는 이동의 미래’을 주제로 기조 연설을 이어갔다.
AI로 움직이는 이동의 미래
유 CTO는 기조연설을 통해 디지털과 모바일 시대에 발맞춰 카카오모빌리티가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동 서비스 전반을 혁신하고, AI 기술을 통해 바꾸어나갈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에 대해 소개했다.
유 CTO는 “생성형 AI가 고도화됨에 따라 이동의 수요와 공급 양 측면 모두에서 진일보한 인공지능이 도입되는 시기가 곧 도래할 것”이라며 “수요의 측면에서는 여객, 물류, 서비스 등 모든 이동 영역에서 인공지능이 맥락을 이해하고 정보를 처리해 수요를 발현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공급 영역에서는 이미 자율주행 운송 및 로봇 배송과 같이 플랫폼과 결합해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들이 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유 CTO는 카카오모빌리티는 AI 대전환 시대를 대비해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 인공지능을 플랫폼에 통합하기 위한 다양한 기반 기술을 준비하고 있으며, 플랫폼의 진화를 위해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연동을 통한 수요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먼저 ‘글로벌 비즈니스’와 관련해 최근 영국의 스플리트(Splyt)를 인수해 전 세계 다양한 이동 수요를 통합하고 고도화 작업을 꼽을 수 있다. 이어 카카오모빌리티는 ‘라스트마일 물류’ 분야에서 지난달 개발자 센터를 오픈, 다양한 물류 시스템과 쉽게 연동 가능한 준비를 마쳤다.
유 CTO는 “이를 통해 20여 개 이상의 파트너들이 카카오모빌리티의 물류 API를 활용해 배송을 요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외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 로봇 등 인공지능 기반 이동 서비스’를 위한 기반 기술 고도화 작업도 진행 중이다.
기조 연설 말미, 유 CTO는 “최근 생성형 AI 기술을 필두로 기존의 규칙과 패턴 기반의 정보 처리 능력을 넘어서 간단한 추론과 창작까지 가능한 수준의 AI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라우팅 엔진, TMS 엔진, Pricing 엔진, 배차 엔진 등 다양한 AI 기술을 기반으로 각기 장점이 다른 AI 기술들의 결합을 통해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유 CTO는 “이처럼 더욱 새로워진 AI 엔진들과 플러그인들을 다양한 파트너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모빌리티 AI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행사는 유 CTO에 이어 올리버 레츠버그 구글 AI 및 데이터 제품 담당 부사장의 ‘AI 전환 시대의 진화와 혁신’을 주제로,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CEO가 ‘개인화된 모빌리티와 생성형 AI의 만남’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