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경로를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활용의 핵심은 지도 데이터다. 이를 운용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네이버지도가 가장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고 이어서 카카오내비가 다음으로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맵은 데이터 소모량이 가장 적게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은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앱) 무선데이터 소모량 측정 결과' 내용에 나와있다.
이번 측정은 방송통신위원회가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를 통해 지난 4월 20일부터 6월 말까지 약 2개월간 실시했다. 수도권(서울 서초대로~수원시 권선구·약 24㎞)과 지방(천안 아산역~아산시 인주면, 약 24㎞) 구간으로 나눠 초행길에서 3차례에 걸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다운 받는 방식'과 '미리 지도를 내려받아 저장한 경우'로 측정했다.
지도 다운로드 여부 상관 없이…네이버지도 > 카카오내비 > 티맵 순
측정 결과 지도를 내려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도권에서 운행했을 경우 평균 48.3분이 소요됐다. 이때 데이터 사용량은 네이버지도가 15.9MB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카카오내비가 9.1MB, 티맵이 6.2MB 순으로 확인됐다. 동일한 조건에서 네이버지도가 티맵에 비해 데이터 소모량이 약 2.5배(9.7MB) 많은 셈이다.
지도를 미리 내려받은 이후 측정한 결과에서도 평균 운행시간은 43분이 소요됐다. 역시 사용된 무선 데이터량은 네이버지도는 15.2MB, 카카오내비 5.5MB, 티맵 3.7MB 순으로 나타났다. 네이버지도의 데이터 사용량은 티맵에 비해 4.1배(11.5MB) 많았다.
지방에서의 데이터 사용량도 실시간과 지도를 저장한 경우의 데이터 사용 패턴이 수도권과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데이터 사용량은 지도를 내려받아 사용하는 것이 유리했다. 지도를 저장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실시간으로 운행하면 평균 10.4MB(3사 총 31.2MB)가 소요됐지만 지도를 저장한 후 사용하면 평균 8.1MB(3사 총 24.4MB)가 소요돼 데이터 사용량이 28.4%로 절약됐다.
양 의원은 "무료 서비스로 몸집 키운 뒤 일방적으로 유료로 전환하는 서비스는 국민 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라도 정부가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민의 알권리와 가계 통신비 절약 차원에서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다른 서비스의 무선 데이터 사용량 조사까지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