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부자 나라의 일자리’부터 대체하는 이유

[AI요약] AI가 금융, 의료, 법률과 같은 분야의 고도로 숙련된 사무직부터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직업군은 OECD 회원국 전체 고용의 약 27%를 차지하고 있어 AI 혁명이 ‘부자 나라’의 직업군부터 대체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경제국들이 AI 혁명으로 일자리 격변의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미지=OECD)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인공지능(AI) 혁명에 가장 쉽게 대체될 직업군과 이유에 대해 파이낸셜타임즈, 더가디언 등 외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OECD는 현재 일자리의 4분의 1 이상이 다가오는 AI 혁명에서 쉽게 자동화될 수 있는 기술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을수 있다고 경고했다. OECD는 3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국가로,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 부유한 국가와 멕시코, 에스토니아와 같은 일부 신흥 경제국이 포함돼 있다.

점차 낮은 비용으로 복잡한 서면 작업을 수행할수 있는 생성AI의 급속한 발전과 이러한 신기술 채택의 용이성은 OECD 경제가 직업군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AI 혁명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게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AI가 대체할 금융, 의료, 법률과 같은 분야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은 고도로 숙련된 사무직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OECD 회원국 전체 고용의 약 2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와 같은 회원국에서 훨씬 더 높고 영국과 미국에서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OECD가 예상한 AI가 대체할 위험이 가장 큰 직업군은 쉽게 자동화될 가능성이 큰 100가지 기술과 능력 중 25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직업이 선정됐다.

OECD는 지난해 조사에서 근로자 5명 중 3명은 향후 10년 동안 AI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발표한바 있다. 당시 설문조사는 OECD 7개국의 제조 및 금융 분야 2000개 기업의 5300명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해당 설문조사 결과는 챗GPT(ChatGPT)와 같은 생성 AI가 폭발적으로 등장하기 전에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많은 노동자가 AI로 인한 실직의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경제학자들은 AI 기술이 경제 성장을 촉진할 가능성이 클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초 생성 AI 채택과 관련된 생산성 향상이 10년 동안 전 세계 생산량을 7% 증가시킬수 있다고 관측하면서도, 이 기술이 3억개의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번에 발표된 OECD 보고서도 AI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임금을 인상하며 많은 근로자가 이러한 기술이 위험하거나 지루한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직장에서의 즐거움이 향상됐음을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다.

OECD는 “직장에서 생성 AI를 대량으로 채택할 경우 실직과 윤리적 문제가 촉발될 것”이라며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경제국들은 노동 시장의 격변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테파노 스카르페타 OECD 고용·노동·사회 담당 국장은 “지금까지 노동 시장에 대한 생성 AI의 제한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대체 잠재력이 여전히 상당하다”며 “이는 임금 감소와 실직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카르페타 국장은 “AI 사용이 데이터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투명성, 편견과 차별, 자동 의사 결정 및 책임과 관련된 심각한 윤리적 문제를 수반한다”며 “AI의 이점이 위험을 능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긴급한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정민 기자

znryu@daum.net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오픈AI ‘샘 알트먼’이 ‘미국 정치판’을 길들인 방법

오픈AI의 CEO 샘 알트먼이 매력적인 언변과 교묘한 로비활동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사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 산업을 대표하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를 매우 공격적으로 비판했던 미국 정치계가 어쩐 일인지 AI 산업을 대표하는 알트먼에게는 부드럽다. 알트먼은 미국 정치판을 어떻게 길들인 것일까.

하루앞둔 미 대선···빅테크들, 트럼프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 이면엔

실리콘 밸리 빅테크 리더들의 친 트럼프 분위기가 트럼프의 잠재적 보복 우려 때문인지, 정부사업 계약으로 보상받길 원해서인지인지, 아니면 해리스 민주당 후보가 승리할 경우 추가 감독 및 규제를 받을까 봐 경계해서인지를 단언할 수는 없다. 하루앞으로 다가온 미 대선 후보에 대한 빅테크 CEO들의 ‘전략적 모호성의 이면을 들여다 봤다.

[인터뷰] 방은혜 밀리의서재 AI서비스본부장 “AI를 접목한 플랫폼 기반 독서 경험 강화,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2016년 등장한 밀리의서재는 오랜 세월 오프라인에 머물고 있던 사람들의 독서 습관을 플랫폼으로 확장하며 독서 경험의 혁신을 이뤄냈다. 그리고 지금, 밀리의서재는 또 한 번의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AI서비스본부’를 신설하고 자사 플랫폼에 AI 기술 접목을 본격화한 것이다. 이에 테크42는 AI 격변이라는 파고에 맞서 정체성을 지켜가며 조용한 혁신을 시도하고 있는 밀리의서재가 나아갈 방향과 전략을 방은혜 AI 서비스본부장을 만나 직접 들어봤다.  

미국, 실리콘밸리서 중국 무인차 업체들에게 눈뜨고 코베이다

중국이 2025년까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고가 되려는 기술에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배터리, 그리고 자율주행차가 있다. 그런데 지난 수년간 미국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중국 자율주행차 업체들에게 중요 정보유출을 당하는 줄도 모른 채 미국땅에서 자사 자율주행차를 마음껏 테스트하고 배워 갈 수 있도록 해 주었다는 지적과 경고가 나왔다. 중국과 기술전쟁중인 미국 연방정부와 주 정부가 중국 자율주행차 기술업체들에게 미국 땅에서 눈뜨고 코베이면서도 모른 채 방치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