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차세대 통신 분야도 선도하기 위해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을 선도하고자 실질적인 첫걸음을 내딛는 셈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삼성전자, 카이스트 등 37개 공동연구기관이 참여하는 ‘6G 핵심기술개발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6G 연구사업을 크게 5대 중점분야로 나눈 뒤, 분야별 총 8대 전략과제를 기관들이 나누어 진행한다.
먼저 초성능ㆍ초대역 분야는 6G 후보 대역인 테라헤르츠(THz)에서 테라바이트(Tbps)급 전송속도를 확보하기 위한 목표를 지니고 있다.
연구진은 해당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무선통신, 광통신, RF 부품, 안전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면서 이전보다 빠른 전송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케 할 전망이다.
초공간 분야는 기존 세대에는 없는 기술 분야로서 이동통신 기술과 위성통신 기술을 융합, 활용하여 해상·오지·재난 상황에서도 기가(Gbps)급 서비스를 제공할 ‘3차원 공간 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현재 지상 중심(고도 120m 이하) 이동통신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 비행기, 드론 등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초지능ㆍ초정밀 전달 분야는 ▲간섭이 많이 이뤄지는 환경에서도 원활한 접속을 가능케 하는 ‘지능형 무선 액세스 기술’▲사용자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능형 6G 코어 네트워크 기술’▲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데이터 지연으로 인한 차이가 적도록 보장하는 ‘종단간 고정밀 네트워크 기술’을 다루며 네트워크 인프라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계획이다.
ETRI는 그간 TDX부터 5G 기술 개발까지 우리나라 정보화혁명을 이끌며 ICT 발전사와 맥을 같이해왔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원은 공동연구기관들과 협력을 통해 6G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전 산업의 지능화를 이루며 국가 이동통신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연구원은 2019년에는 핀란드-오울루 대학과 함께 6G 공동연구를 위한 MoU를 체결하며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왔다. 작년에는 6G 주요 기술 분야, 핵심 성능 지표, 사용 시나리오 등을 개발해 ‘6G Insight’ 간행물을 발간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6G 구현에 핵심 주파수로 불리는 테라헤르츠 연구도 오랜 시간 진행해왔다.
광대역 검출소자, 비파괴 측정용 장비 등 테라헤르츠를 이용한 산업용 기술을 개발하면서 축적한 노하우가 차세대 이동통신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방승찬 ETRI 통신미디어연구소장은 “연구원이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됨으로써 핵심 원천기술과 IPR을 확보하여 국제 표준기술을 선도하는데 많은 동력을 얻었다. 국내 연구진들과 힘을 모아 6G도 세계 최초 상용화를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