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에 5500억 투자, 넷플릭스는 메기가 될까


[AI 요약] 넷플릭스는 한국에 제작 기반을 갖추고 꾸준히 투자하여 전세계에 배급하겠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 넷플릭스가 한국의 콘텐츠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여실히 드러나는 대목이며, 자체 스튜디오 마련과 콘텐츠 투자 확대로 인해 넷플릭스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게 되겠다.


1999년 2월. 한국의 첫 블록버스터급 액션 영화 '쉬리'가 개봉됐습니다. 쉬리는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엇죠. 국내 잔치이긴 했어도 각종 영화제를 휩쓸었고요. 무엇보다 한국 영화의 수준은 쉬리를 기점으로 대폭 상향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쉬리 이전의 한국영화는 서정성을 빼면 모든 면에서 '수준 이하'였습니다. 이 영화가 K콘텐츠의 초석을 다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겁니다.

헐리우드 영화와 팝송을 비롯해, 당시 대중은 국내 대중문화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던 '일본 음악과 만화', '홍콩 영화', '미국 드라마'에 열광했습니다.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저들과 같은 콘텐츠를 만들지 못 할 이유가 없다"라는 도전정신(?)이 날로 커져갔고요. 좋은 아티스트들이 등장했고 BTS로 대표되는 K팝, 대장금을 시작으로 전세계에 스며든 드라마, 영화, 웹툰 등 한국의 문화, 즉 K콘텐츠에 전세계인들이 열광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도 K콘텐츠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나섰습니다. 2016년에 국내에 진출한 넷플릭스는 5년 여 동안 K콘텐츠에 7억달러(한화 약 7,757억원)를 투자했습니다. 적지 않은 수준이지만 그렇다고 많은 액수도 아닌데요...

그런데 25일 넷플릭스는 올 한해에만 한국에 5억달러(약 5,541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시아 전체 투자액 10억달러의 절반을 한국에 쏟아 붓는 거예요. 단순히 제작비를 대주는 것에서 벗어나, 한국에 제작 기반을 갖추고 꾸준한 투자를 통해 K콘텐츠를 전세계에 배급하겠다는 전략입니다.

김민영 넷플릭스 한국 및 아태지역 총괄 디렉터
김민영 넷플릭스 한국 및 아태지역 총괄 디렉터

이날 김민영 한국 및 아태지역(인도, 일본 제외) 콘텐츠 총괄 디렉터는 온라인으로 넷플릭스의 한국 진출 5주년 간담회에서 이 같은 계획을 설명했어요. 이미 지난해에 넷플릭스 엔터테인먼트라는 한국 콘텐츠 법인을 설립했고, 경기도 파주시와 연천군에 제작 스튜디오 2곳을 장기 임대계약으로 확보했다고도 전했습니다.

넷플릭스는 '킹덤'으로 한국 콘텐츠의 강렬함과 가능성을 알게 됐고, '스위트홈'의 대박으로 K콘텐츠에 직접적인 관여를 해야겠다는 확신이 섰습니다.

김 총괄은 "전세계 2,200만 가구가 스위트홈을 즐겼다는 소식이 있었다. 한국 콘텐츠는 국경을 넘어 190여 개국 팬들의 마음을 흔들고 있다"고 강조했고, "K콘텐츠라는 단어를 자연스럽게 들을 수 있다. 글로벌 대중문화의 트렌드를 한국이 이끌고, 넷플릭스가 기여할 수 있게 돼 좋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넷플릭스가 한국의 콘텐츠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여실히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자체 스튜디오 마련과 콘텐츠 투자 확대로 인해 넷플릭스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게 되겠죠. 열악한 제작 현장 및 환경, 빈약한 자본력 위에 세워진 국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업계가 긴장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킹덤에 비중 있는 조연으로 출연한 한 중견 남성배우(자기 이름을 말하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는 "사극 드라마에 엄청난 제작비를 투자하는 모습에 넷플릭스가 완성도 높은 작품을 내놓은 이유를 알 수 있었다"며, "(넷플릭스라고 해서)배우가 출연료를 더 많이 받는 것은 아니었지만, 제작 환경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는 경험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 넷플릭스 구독자는 380만명을 돌파했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온라인 및 SNS 시장의 구글과 페이스북 처럼 국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장은 넷플릭스가 주도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특히 K콘텐츠의 해외 진출 측면에서는 글로벌 플랫폼과 자본력을 갖춘 넷플릭스의 장점이 두드러지기에 웨이브티빙, 시즌, 왓챠 등 국내 OTT 서비스가 넘어야 할 벽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날 영화 '옥자' 이후 한국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에 대한 소개도 이어졌습니다. 바이러스가 창궐한 한반도 액션 블록버스터 '카터'와 성적인 취향을 다룬 인기 웹툰 원작을 기반으로 만드는 '모럴센스'가 제작됩니다.

벌써 국내 시장 42% 차지한 넷플릭스...OTT 쿼터제 도입될까?

한편 넷플릭스의 국내 OTT 시장 독주를 막기 위한 'OTT 쿼터제'가 정부 차원에서 논의 중입니다. 해외 OTT 사업자에게 자국의 콘텐츠 30%를 의무 편성하도록 하는 유럽식 모델인데요...국내 스크린 쿼터제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넷플릭스의 지난해 국내 결제금액은 5,173억원으로 전년 2,483억원 대비 108% 증가했고, 국내 OTT 시장의 42%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넷플릭스에 대한 위기감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세바스찬 슈뢰텔 유아이패스 제품담당부사장 “AI의 기능을 극대화한 자동화 비즈니스 플랫폼을 소개합니다”

이어 ‘AI 서밋 2024’를 위해 방한한 세바스찬 슈뢰텔 (Sebastian Schrötel) 유아이패스 제품 총괄 부사장이 유아이패스 오토파일럿의 다양한 기능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월드코인, AI 시대 맞아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 구축 야망…가능성은?

월드코인 시스템에서 인증에 사용되는 맞춤형 생체 인식 장치 '오브'. AI 시대 전환과 함께 부상하는 새로운 신생 코인이 바로 ‘월드코인’이다. 최근 월드코인을 개발한 TFH(Tools for Humanity) CEO 겸 공동창업자인 알렉스 발라니아 방한하며 다시금 주목 받고 있는 월드코인(WLD)에 대해 알아봤다.

애플은 다를까?...아이폰16으로 구현할 ‘애플의 AI’

애플이 드디어 AI 기능이 탑재된 신제품 스마트폰 시리즈를 선보인다. 이번에 공개할 아이폰16 시리즈에는 애플의 자체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이 탑재될 예정으로 사용자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 규제 논의 신중하게 접근해야…중요한 것은 ‘소비자 후생’과 ‘혁신 보호’

최근 논란이 재점화 된 플랫폼 규제 입법과 관련해 각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섣부른 규제 도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지만 한편으로 플랫폼의 관행적인 영업 방식에 따른 폐해를 단속할 규제 도입에 대한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다. 최근 ‘플랫폼 규제 공정성 그리고 디지털 신보호주의, 쟁점 및 진단’을 주제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가 주관해 국회에서 진행된 세미나에서는 이렇듯 복잡다단한 플랫폼 규제에 대해 주목할 만한 의견들이 나왔다.